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생선이나 낙지 문어,장어 같은것들이 잘렸는데도 계속 움직이는 이유는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생명체가 움직일 수 있는 이유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뇌에서 명령을 내려 움직이는것도, 물고기, 문어, 낙지와 같은것들도 전부 전기적인 신호로 움직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머리를 잘랐는데도 여전히 움직이는 이유는 반사적인 신경이나 독립적인 신경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경우 무릎 반사가 예인데 무릎 반사는 대뇌의 관여없이 반응하는 무조건 반응입니다. 무릎-척수-발 까지의 신경경로로 되어있죠. 이처럼 물고기, 문어, 낙지에게도 뇌와 독립적인 반사체계와 신호체계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잘게 잘라도 움직일 수 있는 이유죠.
학문 /
생물·생명
22.08.27
0
0
유산소 운동시 산소섭취율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호흡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이나 생물, 동물의 호흡은 모두 에너지를 얻기위한 과정입니다. 그리고 호흡에는 산소가 필수적이죠. 이 산소를 체내 흡수된 영양분과함께 에너지로 전화하는 과정을 호흡이라고합니다.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죠. 그런데 만약 산소섭취율이 낮다면 운동하는데 사용할 에너지가 많진 않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조금만 뛰어도 숨을 헐떡이는 이유죠. 숨을 헐떡이는건 외부로 부터 산소를 많이 얻기 위함이고 곧 에너지를 많이 생산해내고자 하는 몸의 반응이죠.그리고 유산소 운동이라도 몸에서 적정량의 산소를 공급시키지 못하면 무산소 운동이 되어버릴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08.27
0
0
얼음에 있는 물층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실로 얼음을 자를 수 있는 이유는 실의 압력으로 얼음 결정 사이에 인력을 깨뜨리기 때문입니다. 또한 실이 지나간길은 매우 좁기 때문에 얼음 끼리 서로 맞닿을수가 있습니다. 얼음끼리 서로 맞닿게되면 얼음-물-얼음 식으로 배열이 된 상태입니다. 또 얼음의 온도는 0도 이하이기 때문에 얼음 사이에 낀 물을 충분히 얼릴 수 있죠. 그래서 얼음 사이 물이 얼면서 얼음끼리 다시 붙는 이유입니다. 간혹 아이스크림에 혀를 댔는데 달라 붙는 경험을 하실 수 있을겁니다. 이도 같은 원리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7
0
0
가을 오면 하늘이 높아보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부터 이해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우리나라 여름은 다른 계절에 비해 가장 습한 계절입니다. 그말은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많다는 의미이고 수증기가 많은 공기가 상승기류를 만나면 하늘로 올라갑니다.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팽창하고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온도가 떨어지면서 수증기가 물로 바뀌죠. 그러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래서 다른 계절에 비해 여름에 뭉개구름이 많이 낀 이유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7
0
0
퐁퐁과 비누의 세척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물의 대부분은 기름때입니다. 비누도 기름때를 잘 제거시키지만 퐁퐁이 기름때를 지우는데 더 특화되어있죠. 퐁퐁의 종류에 따라 성분의 차이가 있겠지만 계면활성제, 베이킹소다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비누는 지방유를 비롯하여 석탄이나 석유류에서 합성된 인공 지방유 등이 있고 이러한 지방유를 과학적으로 변조하여 물에 잘 녹거나 잘 풀어지도록 한것이죠.
학문 /
화학
22.08.27
0
0
매미소리가 큰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크기가 작다고 큰소리가 안나는것은 아닙니다. 매미는 마치 호루라기와 같죠. 작은 몸을 통으로 소리를 공명시켜 큰 소리를 냅니다. 매미가 처음부터 소리가 컸던것은 아닙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도시화가 되고 주변 소음이 생겨나기도 하고 매미간의 경쟁에서 이기기위해 매미의 소리가 커졌습니다. 매미는 주로 구애를 위해 소리를 냅니다. 구애에서 이기기위해 더욱 큰소리를 내기 시작한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8.27
0
0
실제로 이온음료가 물보다 흡수가 빠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실제로 이온음료와 물의 흡수속도는 비슷합니다. 하지만 이온음료는 탈수증세를 예방하는데 탁월하며 나트륨과 같은 이온이 함유되어 성분보충면에 있어서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2.08.27
0
0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위에서 서식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위에서 서식할 수 있는 이유는 바깥쪽 막에서 염기성을 생성해내 중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위장에서 많은 영양분들이 소화되는데 그 중 단백질이 소화될때 요소가 만들어집니다. 만들어진 요소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분해해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를 만듭니다. 이 때 만들어진 암모니아는 염기성으로 위 내부의 산성을 중화시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산성인 환경 내에서 살 수 있게 해주는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8.27
0
0
샤넬 장미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샤넬 장미는 백장미 잎 끝에 검은색 색소를 첨가해 만든것입니다. 생물자체가 그렇게 개량된건아닙니다. 물론 백장미를 사용하지않고 조화로도 제작이 가능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7
0
0
사람은 잠은 왜자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나 동물은 깨어있는 동안 생명 활동을 하는데 그 동안 근육, 뇌 등 육체적 정신적 피로도가 쌓입니다. 이러한 피로도를 회복해주기위해서 잠을 자는것이죠. 그리고 하루 적정 수면량은 7~8시간이 적당하며 이는 사람마다 조금씩은 다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8.27
0
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