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금까지 발견된 원소는 몇가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발견된 원소는 총 118개 입니다. 또한 안정적이고 이보다 더 큰 원소를 발견하기위한 노력을 하고 있고,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원소도 존재합니다.
학문 /
화학
22.08.23
0
0
샤페론과 프로테아솜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샤페론의 도움으로 복원이 안되는 단백질인 경우에, 유비퀴틴을 부착해서 프로테아솜이 분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3
0
0
단백질 2차 구조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N, O, F 등 전기 음성도가 강하고 크기가 작은 2주기 원소와 수소를 갖는 분자가 이웃한 분자의 수소 원자 사이에서 생기는 정전기적인력으로 일종의 분자간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2.08.23
0
0
졸리면 왜 눈꺼풀이 무거웁게 느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잠이오게되면 뇌에서 눈커풀이 감기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하지만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할때 우리는 잠을 자지 않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눈커풀이 내려오는것을 억지로 막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낮에 잠이오면 눈커풀이 무겁다고 느끼는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08.23
0
0
고래는 물밖에서 얼마나 버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래가 물밖으로 나오는 이유는 호흡을 하기 위해 산소를 충전하러 나오는것입니다. 우리가 잠수 할 때 숨을 폐속에 담아두고 1분정도 버틸 수 있는 이유와 같습니다. 고래가 물밖으로 나오게 되면 숨을 쉬기 곤란한 상황에 놓입니다. 이는 고래의 거대한 몸이 허파를 짓누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물밖으로 나오면 한 시간도 안돼 죽을 가능성이 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3
0
0
밥먹으면 체온이 올라가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식사를 하는 것은 소화 운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체온이 상승합니다.
학문 /
화학
22.08.23
0
0
과학쪽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더디게 느껴지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기술이 많이 발달하고 10~20년전에 비해 생활속의 풍경도 많이 변하였습니다. 에어컨, 차량, 냉장고, 세탁기 모두 스마트폰으로 작동이 가능할 정도로 변하였죠. 그리고 지금도 전기차가 많아지는 추세로 변하고있습니다. 세상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있죠. 사람마다 혁신의 정도는 다르게 와닿겠지만, 객관적으로 본다면 여전히 혁신이 일어나고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3
0
0
우유는 물보다 빨리 어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조금 복잡한 이유가 있는데, 우유와 물의 특성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우유의 어는점은 -0.5도 정도이고, 물의 어는점은 0도 입니다. 그리고, 비열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열 교환이 잘 안일어나는 정도입니다. 비열이 크면 열 교환량이 작습니다. 우유의 비열은 물보다 작기 때문에 우유의 열교환이 잘 일어납니다. 또한, 우유는 점성이 물보다 크고 얼음 결정이 될 시에 분자간의 배열 변화도 더욱 빠릅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유가 물보다 빨리 어는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08.23
0
0
태양의 빛과 열 에너지 출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별 중에 하나로, 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수소핵 2개가 헬륨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수소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헬륨핵 질량보다 큰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습니다. 태양의 수명은 100억년 정도이고, 현재 태양의 나이는 46억년이라고 밝혀져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3
0
0
텀블러의 보온은 어떤 원리로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텀블러를 퉁퉁 쳐보시면 느낌이 오시겠지만, 이중으로 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중으로 된 공간 사이에 공기가 들어있는데, 이렇게 공기층을 두면 열 차단에 효과적입니다. 공기층은 열전달율이 매우 낮아 텀블러에 담긴 차에 열을 거의 뺏기지 않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3
0
0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