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생명과학 공부중에 모르는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DNA나 RNA로 만들어진 유전 물질을 보호하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바이러스라고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2
0
0
우주탄생의 기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과학적으로 이게 절대적으로 맞는것이다 라고 할만한 연구까진 진행된것은 없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가장 각광받는 이론은 빅뱅 이론이죠. 한점에서 폭발하여 우주가 탄생되었다는것이죠. 하지만 이 폭발이 어떻게해서 발생했는지는 아직 모릅니다. 무에서 유가 창조되었다면 어떤 원리로 창조되었는지를 설명해야합니다. 이를 설명하는데, 물리적인 법칙에 위배가 될수도있으며, 위배가 되지않는 선에서 설명을 하려고하여도 또다른 무언가를 입증해야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0
열역학에서 4과정 외과정에 대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께서 질문하신 4가지가 대표적이고 문제를 풀기에도 유리한 조건입니다. 그 외에 특정한 조건없는 과정 변온, 변적, 변압 상황에서의 과정이 있을 수 있으며, 기체내 분자수가 변화하는 과정도 있을 수 있습니다. 상황은 만들기 나름이라 이와 같이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08.22
0
0
철새들은 겨절에따라 이동하는데 어떻게 찾아가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에 대해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철새들이 지나다니는 특정한 항로가 있다고 합니다. 이 항로를 따라 이동을 하는것이죠. 또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어 방향을 찾는데 유리하죠. 중간중간 쉬면서 날기도하고 잠을 자면서 날기도 한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0
적색편이가 우주팽창의 근거가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적색편이를 잘못알고계십니다. 적색편이는 일정한 파장을 방출하는 광원이 관측자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광원이 관측자로부터 멀어지면 광원에서 방출되는 파장보다 관측자한테 도달하는 파장이 길어집니다. 이를 적색편이라합니다. 우주가 팽창하는 증거로 적색편이가 있는데, 우주가 팽창하면서 지구(관측자)로부터 별(광원)은 매시간 멀어지고있습니다. 이때 별에서 분출되는 파장보다 지구에서 관측하는 파장의 길이가 길어지는것을 보고 우주가 팽창하고있구나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0
다이소듐(disodium)과 소듐(sodium)의 차이점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 다이소듐은 소듐 2개가 붙어있는 분자식을 의미합니다. 소듐은 Na+로 개별적인 분자입니다.2. 다이소듐은 화장품에 주로 포함된 성분으로 유해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화장품의 부식이나 세균감염을 예방시키고 금속이온의 활성을 방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8.22
0
0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전의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사용된 목재는 소금을 절이고 말리기의 과정을 많이 반복하였는데, 이 목재가 뒤틀리거나 갈라지는것을 방지하였습니다. 또한 자연건조가 과학적으로 되도록 설계된곳에 보관중이라 4계절 내내 썩지않고 보존될수있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0
건전지와 껌종이로 불내는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건전지 윗부분을 굳이 긁어내지않아도 가능합니다. 건전지의 +극부분에 껌종이의 알루미늄 박 부분을 접촉시키고 -극 부분에도 껌종이의 알루미늄 박 부분을 접촉시키게 되면 알루미늄이 도체라 전류가 흐릅니다. 이때 전류가 흐르면서 열이발생하는데 이 열로 껌종이에 불을 붙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2
0
0
유튜브에 주파수 영상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그렇게 되지않습니다. 만약 그렇게 되는것이 있다면 모두가 돈을 벌어 부자가 되었을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2
0
0
소리도 에너지이면 사람이 말하는데 칼로리를 소모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소리를 내는것도 몸의 근육을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소모되는 행위입니다. 하지만 말하는것은 아주 소량의 에너지의 소비로 살이 빠질정도로 에너지가 소비되진않습니다. 대신 노래를 부르면 더욱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에 어느정도 효과는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08.22
0
0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