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다는 왜 소금 으로 되어 있는 물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형성되면서 다양한 물질이 만들어졌는데, 해저에 암석, 바위 등에 있는 염분이 용해(바다물에 녹음)되면서 바닷물이 염분으로 구성되어있게 되었습니다. 현재도 지속적으로 용해가 이루어지고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0
구름 모양이 각기 다른이유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를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하지만 크게 보면 얇은 구름, 두꺼운 구름 등 어느정도 형태가 잡힐 수 있습니다. 이는 지형이나 기류의 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0
건물 옥상 이동통신 대형안테나는 전자파 문제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실 건물 옥상에 있는 안테나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하고 위험성이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반면,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 핸드폰에 의한 영향이 훨씬 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2
0
0
겨울에 별이 잘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보다 겨울에는 기온이 낮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빛 산란의 영향이 줄어듭니다. 또한 대기중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의 농도도 줄어드는 시기이기 때문에 선명하게 보이는 이유이죠.군대에서는 도시보다 시골에 위치하고 주변에 빛의 양이 적기 때문에 더욱 많고 선명히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1
0
0
식사 후에 오는 식곤증의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밥을 먹으면 소화를 위해 음식이 위장으로 몰려 뇌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피로감을 느끼는 것입니다. 음식을 많이 먹을수록 식곤증이 심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2.08.21
0
0
날달걀을 깨면 쌍란인 경우가 있는데요. 만약 쌍란을 부화시키면 쌍둥이가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쌍란의 알이라고해서 꼭 쌍둥이 병아리가 나오는것은 아닙니다. 달걀 껍질의 크기는 정해져있고 협소하기 때문에 쌍둥이의 병아리가 생존하기엔 열악한 환경입니다. 쌍둥이 병아리가 호흡해야할 산소도 부족하고 공간도 협소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쌍둥이 병아리가 나오지않고 둘이 죽거나, 한마리만 살아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1
0
0
우주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충분히 생각할수있습니다. 과학적 비판적인 자세입니다. cg일 수도 있죠. 하지만, 논문이라는 검증을 거쳐 과학적 사실로 인정받기 때문에 우주에 대한 자료를 cg라고 보기엔 어렵습니다. 만약 cg라면 과학계와 NASA가 작정하고 우리를 속여야하기 때문에 큰 리스크를 짊어지고 하는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cg라고 보기엔 어렵고 논문을 찾아보며 조금 더 논리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1
0
0
산소가 있는 행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확정이 된 연구나 발견은 없지만 지구와 유사한 행성들이 발견되는것으로 봐서는 산소가가 있는 행성이 있을 가능성이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될 연구이고 시간이 흘러 우주산업기술이 발달함으로써 산소가 있는 행성이 밝혀질것으로 봅니다. 지구 환경과 유사해 보이는 제2의 지구가 후보로 여러개 발견된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거리가 멀어 아직 우리의 기술로 도달은 어려울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1
0
0
매미의 생의 주기에 대해서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매미는 성충(매미)가 되기까지 7년이란 세월을 견뎌냅니다. 이후 성충이되어 지상생활을하는데 7~20일정도의 생활을 한다고 합니다. 이 짧은 기간동안 노래도하고 짝짓기도하고 날아다니기도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1
0
0
별똥별, 운석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똥별은 소행성 조각이나 우주의 쓰레기가 지구로 떨어지면서 대기와의 충돌로인해 불타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별똥별이지만 소행성 조각, 운석의 크기가 클경우 대기와 마찰하며 다 타지 못합니다. 그래서 땅에 운석이 떨어질 수 있는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1
0
0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