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의 뒷면을 볼수없는 과학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달이 한쪽면만 보이는 이유는 달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이 설명으로 혹시나 잘 이해가 안가신다면 축구공이나 달걀을 손에 쥐고 한바퀴돌리면서 실험해보셔도 됩니다.달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의 차이가 조금이라도 발생한다면, 시간이 오래걸리겠지만 언젠가는 달의 모든면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완벽하게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같다면, 우리는 달의 뒷면을 볼 수 없을것입니다.그렇지만, 달의 공전 궤도는 언젠가 조금은 줄어들 것이고, 주기 또한 바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먼 훗날에는 뒷면도 볼 수 있을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4
0
0
우리 은하에도 블랙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리은하 중심에도 블랙홀이 존재합니다.추가로 말씀드리면 블랙홀을 최초로 직접 관측한것은 2019년이고 이를 공로로 2020년에는 노벨물리학상을 타기도 하였습니다. 블랙홀의 영향을 받으려면 블랙홀에 영향권내에 진입해야하는데, 우리는 블랙홀을 기준으로 원운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빨려들어가지 않습니다. (지구가 태양에 근접하지 않는 이유와 같죠.) 하지만, 원운동은 가속운동이고 태양계에 속한 지구도 가속운동을 하므로 중력파를 방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에너지가 손실되고있기 때문에 언젠가는 블랙홀의 영향권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대략적으로라도 계산이 필요한데, 아직 계산은 해보지 않았습니다. 혹시나 시간이 되어 계산을 해보게 된다면 추가 답글 달아드리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4
0
1
태풍으로 창문이 흔들릴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신문이나 종이를 덧대 붙여놓거나, 테이프를 창문과 창틀사이에 붙이시면 깨지는데 예방하실수 있을것입니다. 창문과 창틀사이를 꽉 고정하는 느낌으로요. X자로 붙이시면 큰 효과를 보실수 없습니다. *참고: 태풍이 불때 외부에서 바람의 세기가 세고 창문을 지나는 공기의 흐름이 빨라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이에 의해 창문이 깨집니다. 그래서 단단히 고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8.03
0
0
지구과학과 중력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위 질문은 우리가 경험적으로 이해할수있습니다. 엘리베이터를 탈때 엘레베이터가 1층에서 위층으로 올라가는 순간에 우리 몸이 무거워진다는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반대로 엘리베이터가 내려가는 순간에 몸이 가벼워진다는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또 자동차를 탔을 때 코너를 돌면서 몸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느낄수 있을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물체가 가속(속력이 점점 빨라지거나 느려지는 운동)운동을 하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이러한 가속도를 마치 중력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가속도=중력 은 아니지만 가속운동을 할 때 힘을 받으니 그 힘을 중력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그래서 비행기가 빠른 속도로 커브를 하거나 회전을 할 때 아주 큰(5G 이상)힘이 작용합니다. 지구에 의한 중력을 증가해서 받는것은 아니고 운동에 의한 힘을 받는것인데 이를 중력의 크기의 배수로 표현한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3
0
0
지구는 왜 공전과 자전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두 물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중력이 작용하면 지구는 태양에게 다가가야합니다. 하지만 공전함으로써 그 거리를 유지할 수 있죠.지구가 공전과 자전을 하는 이유는, 태양계가 생성될때로 거슬러 올라가야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오랜 시간에 거쳐 우주의 작은 먼지들이 중력에 의해 서로 뭉쳐 태양이되고, 지구가 되었습니다. 먼지들이 뭉칠 때 정적인 상태에서 뭉친것이 아닌 일정 방향으로 운동을 하면서 나선을 그리며 뭉쳤기 때문에 뭉쳐진 후에도 계속해서 회전 운동을 한다고 이해하시면 될것같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3
0
0
핵분열과 핵융합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구성되어있습니다.핵분열의 경우 원자핵이 쪼개지면서 질량손실이 일어나는데요. 이때 E=mc^2에 의해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가 방출되는것입니다.핵융합의 경우는 두 원자핵이 합쳐지며 손실된 질량에서 얻어지는 에너지를 의미합니다.핵분열의 경우 불안정한 원자에서 핵융합에 비해 비교적 쉽게 일어날 수 있어서 핵무기나 원자력발전에 사용되구요. 핵융합의 경우 환경이 갖춰줘야하는데, 고온 고압에서 잘 일어나므로 별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학문 /
화학
22.08.03
0
0
태풍의 회전방향이 남반구와 다른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남반구과 북반구에서 회전방향의 차이가나는것은 지구의 자전때문입니다. 적도를 기준으로 북반구와 남반구는 대칭적인데, 적도에서 북반구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자전하고, 남반구를 바라보는 방향일때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자전하기 때문이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3
0
0
달은 왜 지구에서 한쪽면만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한쪽면만 보이는 이유는 달의 자전속도와 공전속도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이 설명으로 혹시나 잘 이해가 안가신다면 축구공이나 달걀을 손에 쥐고 한바퀴돌리면서 실험해보셔도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3
0
0
양자 물리학이 어떤 학문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역학은 원자단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것입니다.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런데 전자가 원자핵 주변에 어떤 형태로 어떻게 운동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싶다고 생각해보죠.흔히 잘 알고있는 예시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는 중력을 받아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를 설명할 수 있죠. 이것이 고전역학입니다. 무거운 짐을 들기위해선 물체의 중력만큼의 힘이 필요하죠.하지만 원자 세계에서는 원자핵 주변으로 전자가 돌고있다를 기술하기위해서는 중력, 만유인력으로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양자역학으로 설명이 가능하죠.양자역학에서 설명하는 현상들에 대해서 알고자하면 양자역학과 관련된 책이나 유튜브를 보면 도움이 될듯합니다. 원자세계에서는 우리가 흔히 경험하는 세계와는 다른 현상이 일어나고 쉽게 받아들일 수 없는 현상들이 많이 있습니다.예시로, 양자역학에서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어내어 전자의 운동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자는 원자핵 주변을 돌고있는것이아닌 확률적으로 분포하는것입니다. 원자핵 주변에 특정 위치에 특정한 확률로써 존재하는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8.03
0
0
지구 외 다른 행성이나 은하계에도 생명체가 있을 확률은 얼마정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확정이 된 연구나 발견은 없지만 지구와 유사한 행성들이 발견되는것으로 봐서는 생명체가 없다고 단정짓기도 어렵습니다. 앞으로도 지속될 연구이고 시간이 흐르면서 우주산업기술이 발달함으로써 밝혀질것으로 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3
0
0
568
569
570
571
572
573
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