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세상에서 가장 오래사는 동물은 무엇이며 장수비결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수명이 긴 종은 해파리가 있습니다. 해파리는 노화가 되긴 하지만, 계속해서 몸을 재생시키기 때문에 오히려 젊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파리는 다른 종의 먹잇감이 될 수 있기에 늙어죽기보다 먹잇감으로 죽는게 많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8
0
0
빗물은 왜 차갑지 않고 미지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차가운 빗물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여름에 내리는 비의 경우 따듯한 기단에 의해 구름이 형성된 부분의 기온이 높을 수 있어 빗방울이 따뜻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빗방울도 지상보다는 시원하거나 차갑기 때문에 비가 내리면 기온이 떨어지게 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우리나라는 여름에 무조건 습하고 겨울에 무조건 건조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에 따른 날씨는 기단의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북서쪽에 차고 건조한 기단, 북동쪽에 차고 습한 기단, 남서쪽에 따뜻하고 건조한 기단, 남동쪽에 습하고 따뜻한 기단이 있죠. 계절이 바뀌면서 기단의 세력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온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년 같은시기에 같은 기단이 세력이 강하지만 세력차가 조금씩 나기 때문입니다.겨울에는 한랭하고 건조한 북서쪽 기단의 영향을 받으며, 여름에는 습하고 따뜻한 남동쪽 기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우리 눈의 각막은 380nm이하의 빛은 통과 시키지 못한다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380nm이하의 짧은 파장의 빛도 눈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각막은 곡선의 형태를 띠고있기 때문에 큰 굴절률을 가진 짧은 파장의 빛을 망막에 거의 도달하지 못하게끔 형성되어있습니다. 하지만,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통과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380nm이하의 파장 빛은 자외선 영역대 이상으로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빛이 망막에 닿게되면 신경이나 시각세포가 손상을 입기 때문에 좋진 않죠. 그래서 낚시를 하거나 눈이 많이 내린날 물이나 눈에서 반사된 빛이 눈을 손상시킬 수있기 때문에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터널에 들어가면 왜 귀가 먹먹해 지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을 받는 이유는 외부의 압력의 변화로인해 신체 내부의 압력을 맞춰주기 때문입니다. 이는 귀에 있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입니다. 터널의 경우 앞뒤를 뺀 사방이 가로막혀있으며, 차량이 이동하는 구간으로 기체의 흐름이 생깁니다. 이 때 기체의 압력이 바깥보다 강해져 압력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른면으로 생각하면 막혀있는 터널의 소리는 갇혀있기 때문에 터널 밖과 달리 소리가 다르게 와닿을 수 있는데 이것 때문에 귀가 먹먹하다고 느낄수도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17
0
0
비를 품은 구름은 왜 어두운 색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두운 먹구름이 되는 것이죠. 그리고 햇빛이 먹구름에 흡수되기 때문에 우리가 있는 지면까지 잘 닿지 못하여 우중충하고 어두운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지진 발생의 원리와 발생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지구는 판들로 이루어져 있고,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휘발유에 고급휘발유가 있고 일반휘발유가 있는데 둘 차이점은 먼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 휘발유는 옥탄가가 91이상~94미만이며, 고급 휘발유는 옥탄가가 94이상 입니다. 원유에서 정제된 휘발유에 옥탄가를 첨가함으로써 일반 휘발유와 고급 휘발유로 분류되는 것입니다.여기서 옥탄가란 휘발유의 자연 점화를 억제하는 첨가제입니다. 휘발유는 인화점이 -43도로 상온에서 가연성 증기를 만들어냅니다. 즉, 불씨가 있으면 연쇄적으로 불이 붙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옥탄가를 넣게 되면 점화(불이 붙는것을)를 억제시켜줍니다. 즉, 일반 휘발유는 고급 휘발유에 비해 점화가 상대적으로 잘 일어납니다.엔진이 가동되고 피스톤이 움직이면서 압축이 일어나는데, 완전 압축 상태일 때 압축된 열에 의해 압축 시 분사 된 휘발유가 점화(폭발)가 일어나며 팽창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또 다시 피스톤이 압축, 점화, 팽창을 반복하며 엔진이 가동됩니다. 그런데, 만약 휘발유의 옥탄가가 낮다면 피스톤이 완전 압축 되기전에 작은 열기에 의해 휘발유의 점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엔진의 피스톤이 심각하게 마모되고, 벨브의 손상이 생겨 출력이 감소되며, 연비 저하, 매연 증가, 소음 증가 등의 문제점이 생겨납니다. 즉, 엔진 노킹 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엔진에서 마치 툭툭 노크하듯이 소음이 발생하죠.그래서 엔진에 맞는 연료를 파악하여 사용해야 이러한 상황을 모면할 수 있습니다. 차량의 엔진을 파악하여 적절한 연료를 사용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학문 /
화학
23.07.17
0
0
쓰나미는 어떻게 발생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쓰나미는 지진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부에 놓여있지 않지만 일본 바로 남쪽 밑 부분에 판의 경계부가 있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쌓여있기 때문에 강한 지진이 발생할 시 쓰나미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달팽이의 집은 어떻게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팽이의 집은 태어날때부터 가지고 태어나며 크면서 껍질도 같이 커집니다. 껍질이 클 수 있는 이유는 달팽이가 껍질을 키우기위해 점액질을 뿜어내 껍질 바깥쪽을 뒤덮으며 조금씩 크게 만드는 원리입니다. 그래서 달팽이는 칼슘 영양소가 있어야 튼튼한 집을 가지고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민달팽이의 경우 집이 없으며, 태어날 때에도 집이 없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7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