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전기차에는 낙뢰가 안맞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차나 일반차량의 경우 차체가 차폐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벼락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습니다.만약 차량이 벼락을 맞게되면, 내부에 사람들은 무사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차량의 겉 부분이 도체 역할(차폐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내부에 전류가 흐르지않고 차량 표면으로만 전하가 분포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차량 내부는 안전합니다. 하지만 벼락을 맞은 즉시 당황하셨다고 절대 차량 문을 열거나 하시면 안됩니다. 차량 표면에 남아있는 전자(-)가 다수 있기 때문에 문을 열면서 틈이 생기게 되고 문과 차 사이에 전류가 흘러 방전이 일어나 사람을 감전 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부에서는 차와 연결된 쇠, 금속 부위를 만져서는 안되며 구조대를 불러 도움을 요청해야합니다. 그러면 안전히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2
0
0
우주가 팽창할때 블랙홀 부분만 수축하면 모양이 올록볼록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시공간의 모양 자체는 이미 블랙홀의 존재나 다른 질량체의 존재로 올록볼록합니다.그리고 우주의 팽창은 천체간의 거리의 증가로 단순히 생각하면 블랙홀과 다른 천체와 거리가 멀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참고로 블랙홀 자체의 표면적은 0인지 아직 알지는 못합니다. 블랙홀 내부에서는 어떤 물리적인 현상이 발생하는지는 관측할 수 없기 때문에 미지의 영역이라 크기조차 정확한 판단이 어렵습니다. 물론 사건의 지평선 직전까지는 알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2
0
0
물리학에서 고전역학에 대한 내용은 이제 더이상 밝혀질만한 내용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고전역학을 기술하는데 새로운 방법이 나타날 수는 있으나 현상자체에 대해 새롭게 밝혀질 확률은 적습니다. 고전역학은 양자역학의 미시세계, 상대성이론의 거시세계의 중간에 위치한 것이라 우리가 일상적으로 흔히 겪는 현상들에 대해 기술하는 역학이기 때문이죠. 보통 뉴턴역학으로 기술이 가능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2
0
0
물리학적 대칭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영상보다는 책에 잘 나와있습니다. 보통 입자 물리학, 고체 물리학, 광학 등에 잘 나와있습니다. 양자장론책을 보시면 상세히 설명되어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하네요.C는 charge conjugation으로 쉽게 생각해서 전하량을 뒤집었을 때 대칭성을 띠는지에 대한 것이고,P는 Parity로 거울 대칭(왼손-오른손)이라 생각하시면됩니다.T는 Time reversal 로 시간의 흐름을 뒤집었을 때 대칭성을 만족하냐입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lJwfHndHj8c 안될과학 영상에서 다룬적이 있네요 여기도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2
0
6
키가 큰 거인의 움직임이 느리게 묘사되는데, 실제로 움직임이 큰 물체를 보면 아무리 빠르더라도 느리게 느껴지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느리게 묘사되는 이유는 크기가 굉장히 크기 때문입니다. 작은 개미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개미의 다리는 굉장히 빠르게 움직이지만 우리가 보기에는 이동속력이 느립니다. 거인의 경우는 크기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조금만 움직여도 사람에 비해 굉장히 멀리 이동하죠. 그래서 느려보이는 것입니다. 사람이 움직이는 것과 똑같은 행동을 하는 크기가 큰 거인이 움직이는 것은 그만큼 더 먼 거리를 움직여야하기 때문이죠.
학문 /
물리
23.07.12
0
0
태풍이름은 정해지는 방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 이름은 그 국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태풍에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난 태풍들의 이름은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들이죠.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합니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하죠. 태풍이 보통 연간 약 25개 정도 발생하므로 전체의 이름이 다 사용되려면 약 4∼5년이 소요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2
0
0
외계생물이 꼭 지구와 같은 환경에서만 존재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질문자님 생각대로 우리 지구에 있는 생명체와는 전혀 다른 메커니즘으로 생명 활동을 할 수도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습니다. 따라서, 외계생명체에 대한 다양한 가설을 세울 수 있고 질문자님과 같은 생각도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2
0
0
주방에 있는 인덕션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덕션의 경우 전자기 유도로 인덕션에서 자기장을 만들어 인덕션 전용 용기(자성 냄비)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해 가열 시키는 원리입니다. 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자성이 없는 냄비는 사용하지 못하죠. 인덕션에 손을 대도 뜨겁지 않습니다. 하지만 냄비는 뜨거우니 조심하셔야합니다.하이라이트의 경우는 저항이 높은 코일, 열선에 전류를 흘려보내 저항과의 마찰에 의한 열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손을 대면 뜨겁습니다. 화상위험도 있고요.
학문 /
전기·전자
23.07.12
0
0
밝은곳에 있다가 순간적으로 어두워지면 일시적으로 앞이 안보이는 현상은 왜 일어 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의 눈은 어두운 곳에서 잘 보려고 하기 때문에 동공이 확장되며, 밝은 곳에선 빛의 양을 줄이기 위해 동공이 축소되게끔 진화해 왔습니다. 그래서 밝은 곳에 있던 눈은 동공이 축소된 상태이며, 갑자기 어두워 진곳으로 가면 축소된 동공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급격히 적어져 깜깜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동공이 확장되고 사물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7.12
0
0
모기의 침이 군복과청바지등 질긴 옷소재도 뚫을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의 침은 생각보다 얇습니다. 군복이나 청바지등 질긴 옷소재도 자세히 보면 미세한 틈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틈을 비집고 모기의 침이 들어오는 것이죠. 모기의 침 자체가 청바지나 질긴 옷소재의 두꺼운 부분을 뚫지는 못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2
0
0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