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팽이의 집은 어떻게 생긴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팽이의 집은 태어날때부터 가지고 태어나며 크면서 껍질도 같이 커집니다. 껍질이 클 수 있는 이유는 달팽이가 껍질을 키우기위해 점액질을 뿜어내 껍질 바깥쪽을 뒤덮으며 조금씩 크게 만드는 원리입니다. 그래서 달팽이는 칼슘 영양소가 있어야 튼튼한 집을 가지고 살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0
0
0
(전력공학)겨울철 전선위에 쌓인 눈이 녹아 반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도약에 관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전선에 닿은 물이나 눈은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눈과 빗물은 불연속적으로 지면에 내리며, 전선과 닿아있던 눈과 빗물에 전류가 통하려면 길게 연결이 되어있어야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연결되어있지 않고 우리 사람과 떨어져있으며 공기가 전류가 통하는 것을 차단해줍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10
0
0
우리 지구상에서 다이아몬드를 태울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다이아몬드는 탄소로 이루어진 광물이며 녹는점은 3550도, 끓는점은 4827도입니다. 모든 고체 물질은 녹는점과 끓는점이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여름철 온도가 높아서 활동을 조금 많이 하여도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금은 탈수증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온음료가 훨씬 좋으며, 물보다 이온음료 섭취가 체내 수분을 공급하는데 좋습니다. 이온음료는 나트륨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염화 이온 등을 포함한 음료이며 체내에 흡수되어 손실된 수분, 전해질, 미네랄등을 공급해줍니다. 소금을 먹을 경우 삼투압에의해 체액이 빠져나와 탈수를 겪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량의 소금은 체내에 흡수되어 수분을 공급받는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10
0
0
방사능이 몸에 해로운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선의 노출로 몸 내의 분자의 구조나 성질의 변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방사선 피폭된 경우 세포, 세포의 DNA와 효소, 소기관 등의 파괴됩니다. 또한, 고열, 구토, 설사, 어지럼증이 일어나며 피부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내부 세포가 변형되거나 파괴돼 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의 손상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은 고에너지의 빛이나 고에너지의 입자 알갱이가 우리 몸 내부의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분자, 원자를 변형시키거나 불안정하게 만들어 위험을 불러일으키죠.
학문 /
화학
23.07.10
0
0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만한 행성을 찾아내 듯, 그런 행성에서도 외계인이 있다면 우리 지구를 발견할 가능성이 높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또한, 만약 외계 생명체가 있다고 해도 그들의 기술력이 우리 지구에 사는 인간의 기술력보다 떨어진다면 우리를 발견하지 못했을 겁니다. 하지만 기술력이 우리보다 좋더라도 우주는 드넓기 때문에 우리를 발견하지 못했을 수도 있으며, 발견했더라도 조용히 지나갔을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9
0
0
계절이 생기는게 자전축이 휜거랑 무슨 상관이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공전궤도면과 수직하게 서있지 않고 기울어진 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깝게 놓이게 되면 여름, 가장 멀게 놓이게 되면 겨울입니다.이 때, 여름의 경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까이 놓이게 되면, 지구가 자전하며 해를 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이는 그림으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여름의 경우이며, 초록색은 우리나라, 노락색은 해가 비치는 부분이고, 회색 점선은 우리나라가 지구 자전에 따라 이동하는 경로입니다.이 때 흰색 부분을 지날 때보다, 노란색 부분(해가 비치는 부분)을 지날 때의 길이가 긴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것이 해가 떠있는 시간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겨울의 경우는 태양이 반대 편에 위치하여 반대의 경우이고, 해가 여름보다 짧게 떠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9
0
0
얼린 탄산음료 뚜껑을 열면 기포가 폭발하듯이 나오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음료에 포함된 액체 중 물의 경우 얼음이 되면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탄산음료의 음료부분말고 빈공간은 공기 기체나 이산화탄소(탄산)로 차있습니다. 그런데, 탄산음료가 얼면서 부피가 증가해 기체 부분의 부피를 감소시키며 동시에 압력을 증가시킵니다. 탄산음료가 완전히 얼면 압력이 가장 강하며, 어느정도 언 상태에서도 대기 중 기압보다 큰 상태가 됩니다. 이 상태에서 뚜껑을 열게되면 대기와의 압력차로인해 폭발하듯이 솟구치게 되는것이죠.
학문 /
화학
23.07.09
0
0
워터파크에 인공파도는 어떻게 만들어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실제 파도가 생기는 원리와 비슷하지만 방식은 다릅니다. 파도는 조수간만의 차, 바람, 해수의 유입 등 다양한 요인으로 생겨납니다. 파도는 결국 외부로부터 어떤 힘을 받아 생겨나는 것으로 인공파도 역시 인위적으로 힘을 가해 인공 파도를 생성합니다. 물을 당기고 밀어내기를 반복하는 장치로 인공파도를 만들어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9
0
0
명왕성은 왜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계기는 에리스라는 소행성을 발견하고나서부터입니다. 발견 당시 에리스는 태양 주위를 멀리서 돌고있었고 명왕성과 크기가 유사하였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은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넣어야 하는지 의논을 시작하였죠.그러면서 명왕성을 다시 잘 관측해보니 태양주위를 돌지만 공전궤도가 찌그러져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침범할 때도 있었으며, 명왕성이 행성으로써의 크기와 질량을 갖지 못하여 행성보다 위성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행성이 되기위해선 위성을 둘만한 중력이 필요하다고 정의한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명왕성이 행성 자격을 박탈되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9
0
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