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세금·세무
자격증
세무사 시험 재정학 과목 개정은 언제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재정학과 원가관리 회계는 개정이 거의 되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다만 년도가 지날수록 교재도 시험 주제에 맞게 새로이 편집해서 나올 것이고, 시험 자체도 트렌드나 스타일도 많이 달라졌다고 보기에 20년전인 2000년도 교재로 연습하는 것은 조금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재무회계나 세법 강의만 듣고 싶으면 온라인 단과로 수강하시면 됩니다. 기본 단과라면 모의고사 풀이보다 기본 개념에 초점을 둡니다. 처음 공부하시거나 기초가 탄탄하지 않다면 모의고사 보다는 기본 개념에 충실하셔야 합니다. 강의는 Daum에 세무사 검색어 쳐보면 세무사수험생 커뮤니티가 있습니다. 거기서 많이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0.03.03
0
0
연말정산 부양가족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한부모 공제 요건은 배우자 없이 기본공제대상자인 직계비속 또는 입양자가 있는 경우 받을 수 있습니다. 한부모 공제의 금액은 100만원입니다. 기본공제대상자인 배우자의 요건은 종합소득금액이 백만원 이하이거나 근로소득만 있을 경우 총급여가 500만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질문으로 봐서는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아버지와 어머니가 둘 다 계실 경우 한부모공제는 적용받으실 수 없습니다. 참고로 부녀자 공제는 본인이 여성 + 종합소득금액 3천만원 이하+배우자가 있는 여성 or 배우자 없이 기본공제대상자인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에 해당할 경우 50만원이 공제가 됩니다. 한부모 공제와 부녀자 공제에 모두 해당될 경우 공제 금액이 큰 한부모 공제를 적용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연말정산
20.03.03
0
0
스마트스토어 필요서류가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스마트스토어에서 물품을 판매하기 위해서 사업자등록을 하셔야 합니다. 홈택스에서 사업자등록은 손쉽게 할 수 있구요. 스마트스토어 사업자등록을 하려면 임차중이시라면 임대차계약서 정도 간단한 서류만 있으면 됩니다. 보통 3일 내로 사업자등록증이 나옵니다. 그리고 별도로 민원24사이트에서 통신판매업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이거 역시 보통 3일내로 통신판매업증이 나옵니다. 등록면허세 약 4만원 정도 매년 납부하셔야 합니다. 이렇게 사업자등록증과 통신판매업증이 나오면 스마트스토어에서 물품 판매가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3.03
0
0
경품 제세공과금을 계산하기 위한 취득금액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경품 당첨금 등은 세법상 기타소득에 해당됩니다. 기타소득의 원천징수세율은 기타소득의 지방세 포함 22%(기타소득이 3억을 초과하는 경우는 지방세포함 33%)입니다. 기타소득의 수입시기는 현금주의로, 당첨금 등을 받은 년도가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3.03
0
0
법인으로 기부하게되는 경우 세금은 어떻게 내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세법상 접대비는 한도가 있습니다. 1년기준으로 기초금액 12,000,000만원(중소기업인 경우 36,000,000만원)과 추가로 수입금액에 따른 일정 적용률을 적용한 금액이 한도가 됩니다.한도를 벗어난 금액은 전액 비용으로 인정되지 못하여 그만큼 법인세나 종합소득세가 늘어나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3.03
0
0
자녀에게 2천만원 증여 후 추가 소득 발생하면 세금 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미성년자에게는 10년간 2천만원까지 비과세입니다. 그리고 사회 통념상의 세뱃돈이나 용돈 정도는 증여세 신고는 안하셔도 됩니다. 용돈 등을 받을때마다 증여세 신고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도 하고, 주식을 매입할 때 마다 증여세 신고하기도 어렵죠. 가장 확실한 방법은 성인이 될때까지 10년마다 2천만원씩 증여하고 신고하는 것이구요. 세뱃돈이나 용돈 등의 저축액이 사회 통념상 인정할 수 있는 금액이라면 증여세 신고는 안하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3.03
0
0
세금신고할 때 매입에 비해 매출이 큰차이 없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금영수증을 발행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일정 금액은 현금매출을 잡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네요. 최소 신용카드 매출 의 일정비율 만큼이라도요. 현금매출을 전혀 신고하지 않거나 너무 적게 신고하면 국세청에서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국세청은 식당의 매입비율 등으로 현금매출 누락 규모를 역산합니다. 또한 동종업종의 매출원가율, 부가가치율을 통해서도 현금 매출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만약 실제 매출과 신고한 매출의 차이가 크다면 부가가치세와 가산세 등을 추징 할 수도 있고, 이럴 경우에는 빠져나갈 방법이 크게 없습니다.따라서, 일정금액은 현금매출을 반드시 신고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3.02
0
0
국가에서 받는 지원금도 세금을 내게 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입금한 회사가 국가 산하기관 혹은 국가 유관기업일 확률이 큽니다. 보통 국가 지원금을 입금할 때 정부 관련 직접비나 간접비용이 차감되고 입금됩니다. 운영비나, 인건비 등입니다. 보통 지급액의 5% ~ 10% 내외입니다. 세금은 아닙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0.03.02
0
0
국세 채납이 있는경우 근로장려금신청시 금액에 불이익을 받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장려금을 지급 받는 자가 국세 체납액이 있는 경우에는 체납세액에 우선 충당되고 남은 잔액이 지급됩니다. 따라서 신청은 할 수 있되, 체납액을 차감한 근로장려금을 지급받게 됩니다. 참고로 국세청은 근로장려금 신청제외자로는 1)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지 않은 자, 2) 다른거주자의 부양자녀인 자, 3) 거주자(혹은 배우자)가 전문직인 경우로 규정짓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연말정산
20.03.02
0
0
위탁판매 시 위탁자가 사업자가 아니면 세금처리 불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위탁자가 지속적인 수익창출 행위를 영위한다고 볼 수 없으면 세금처리가 가능할까요? 지속성의 기준은 어떻게 판별해야 하나요?위탁자가 사업자가 아닌 경우, 세금계산서 등의 발행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법인 입장에서는 적격증빙 서류가 없으므로 부가가치세 등은 공제가 불가능하고, 비용은 인정받되, 세법상 증빙불비의 가산세가 부과가 됩니다.지속성의 기준은 계속, 반복성인데요. 국세청에서는 웬만하면 계속, 반복성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계속해서 위탁판매할 경우 계속, 반복성이 있다고 볼 확률이 농후합니다. 2. 위탁자가 지속적인 수익창출 행위를 영위한다고 볼 수 있으면 세금처리가 가능할까요? 사업자가 아닌 경우 거래가 불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어떻게 처리하면 될까요? 거래 자체는 가능하고, 1번의 답변처럼 비용처리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증빙불비에 대한 가산세는 부담하셔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3.02
0
0
10936
10937
10938
10939
10940
10941
10942
10943
10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