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삼국지에 나오는 조자룡은 실존 인물이였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운[조자룡]은 실존 인물입니다.나관중의 촉한정통론으로 인해서 그가 약간 부풀려 진건 사실이나 실존인물 입니다.
학문 /
미술
23.08.08
0
0
사자성어중에 병이 없는데도 뜸을 뜬다는 말로 필요가 없는데도 뜸을 뜬다는 말로 쓸데없이 수고하여 고통스럽게 된다는 사자성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병자구'(無病自灸) 無 없을 무 病 병 병 自 스스로 자 灸 뜸 구병(病)이 없는데 스스로 뜸질을 한다.는 뜻 불필요(不必要)한 노력을 하여 정력(精力)을 낭비한다는 뜻 입니다
학문 /
철학
23.08.07
0
0
부안의 잼버리는 몇년도에 확정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17년 문재인 정권 때 우리나라에 개최 확정되었던 것으로 판단 됩니다.정치적인 문제가 많이 아하에서는 답변하기가 곤란한 문제 인것 같습니다.참 안타까운 일입니다상식선에서 생각해야 하는데 판단이 부족했던것 같고 잘못 되었으면 급하게 라도 바꾸어야 했는데 욧기가 부족해서 라고 판단 됩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신라 성덕왕때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전의 지급은 실제로 정전이라는 땅을 지급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원래 농민들이 가지고 있던 자경지를 국가에서 소유권을 인정했다는 의미입니다.실제로 정전을 지급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실질적인 문서나 실제로 시행된 기록은 없습니다.의미가 조금달라 해석하기를 잘 해야 합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넓은 양해와 너른 양해 구별해 쓰는 건가요?? 어떨때 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음 쓰는 것이 크고 너그러운'을 뜻하는 '넓은'이나 '마음을 쓰는 것이나 생각하는 것이 너그럽고 큰'을 뜻하는 '너른'을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덧붙이자면, '{넓은/너른} 양해(諒解)'는 '양해'가 '남의 사정을 잘 헤아려 너그러이 받아들임'을 뜻해 의미 중복적인 측면이 있습니다.그러므로 단어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중국의 영어이름 china의 유래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차이나나 지나는 일반적으로 중국을 처음으로 통일한 진(秦, Chin)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진이 중국을 통일하고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기 때문에 진이 바로 중국을 칭하게 되었고, 여기에 a, 또는 e를 붙여 영어의 China, 또는 불어의 Chine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자세한 것은 구글링 하셔도 좋을듯 합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인도와 파키스탄이 분리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와 파키스탄의 분리는 종교적 요인이 있습니다.인도는 원래 파키스탄,스리랑카.방글라데시가 한나라 였다가 2차세계대전으로 독립후 종교적 갈등으로 내전 위기에 몰리자 영국과 un은 분리 독립을 시키게 되어 이슬람 교도는 파키스탄,방글라데시로 불교는 실론섬에 스리랑카를 세워 지금에 이르게 된겁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무인도에 자신만의 국가를 인정받기 위한 조건으로 어떤 게 있나여?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가로 인정 받을 수 없습니다.국가로 인정 받기 위해선 세계적으로 공인을 받아야 합니다.예를 들면 UN이라든지요나만의 국가라고 우겨도 그것은 단지 나만의 국가일 뿐입니다국가에는 영토, 국민(사람), 주권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견해입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고려왕도 쿠릴타이에 참가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 몽골과 고려와 같은 관계는 일찍이 역사에 없는 관계입니다.당시 고려왕은 몽골 귀족과 동급으로 취급되었고, 고려인은 색목인과 동격이었습니다.당시 중국인이 한인과 남인으로 3등급과 4등급으로 취급받는 것과 대조됩니다같은 시대 러시아 대공 블라디미르는 즉위후 3년간 몽골의 임금의 막사에서 심부름을 해야 했습니다.반면 고려 임금은 몽골의 대칸을 뽑는 쿠릴타이에 참여할 수가 있었고, 몽골 중앙 정치에 발언권도 가지고 있었습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장보고는 반란을 일으킨것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보고는 자신의 딸을 태자비로 만들기위해 김우징(신무왕)과 함께 통일신라 민애왕을 몰아냈습니다. 그리고 4개월만에 신무왕이 죽고 그의 아들 김경응문성왕이 왕위에 오르지만 다른귀족들이 청해진에서 염장을 보내 장보고를 암살합니다.장보고의 딸과 왕자의 혼인이 실패해버렸고 이에 화난 장보고는 신분제와 반대한 귀족들을 없애겠다는 목적으로 반란을 일으키지만 실패하고 맙니다.역사서에 나온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