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만들 적에 중국의 반대는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의도는 알겠습니다중국의 반대는 없었지만 우리나라 기득권층은 반대를 하였다고 합니다.한글이 알려지면 글을 몰랐던 백성을 다스리기가 어려워 지니까 반대를 하였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04.26
0
0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나라는 어떤나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용어 혹은 표준어로 지정하여 사용하고 있는 국가로는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모나코, 스위스, 캐나다, 콩고민주공화국, 카메룬, 아이티, 마다가스카르, 세네갈, 부르키나파소, 베냉, 말리, 토고, 니제르, 차드, 코트디부아르,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르완다, 적도 기니, 코모로, 부룬디, 바누아투, 가봉, 세이셀 등을 들 수 있어요. 참고로 이 중에는 아직까지도 프랑스 영토로 남아있는 곳들이 있습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26
0
0
조선시대에 시력이 안좋았던 사람들은 어떻게 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경사로서 말씀드리겠습니다.안경이 없었던 시절은 어쩔 수 없이 오해를 받으며 살았습니다.그러나 그시절은 지금시대만큼 시력이 나쁘지 않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4.26
0
0
미래에 없어질것이라고 예상되는 직업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통역사가 아닐까 판단 됩니다.그리고 경비원의 관제업무 연설문등이 없어질것으로 보입니다.그러나 완전하게 사라지진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학문 /
역사
23.04.26
0
0
과학기술이 없던 과거에 경찰 수사는 어떻게 이뤄졌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증거물도 중요하였지만 자백으로서도 경찰 수사를 많이 했었고 목격자 탐문등 역시 필요로 하여 조사를 받았으며 과학적인 다얌한 사건 기록 내용 등에 도움을 받아 수사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25
0
0
과학기술이 발달해도 인문학은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하게 남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무리 과학 기술이 발달하여도 인간으로서 살아 남는다는것은 인문학이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이공계역시 인문학이 기본적으로 소양이 되어 있어야 한다는것은 이미 알려졌고 검증되었습니다.사회가 복잡해지고 단순해지더라도 AI가 할 수없는 것이 인문학 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4.25
0
0
고려 만적의 난에서 마녀 개성은 만씨 인가요 아니면 따로 성이 없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198년 고려시대 인물이고 천민 노비라 성이 없을수도 있습니다.노비해방운동 입니다난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여 처형 당했기 때문에 후세에 대한 기록은 없습니다
학문 /
역사
23.04.25
0
0
조선시대 상평통보는 화폐로서 아주 유명한데요 이와 같은 고려시대의 화폐에는 뭐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최초의 화폐는 996년 성종 때 건원중보입니다.중국과 구분하기 위해 뒷면 '동국' 이라는 글자를 새겼습니다,
학문 /
역사
23.04.25
0
0
임진왜란 전쟁이 일어났을 적에 조선은 조총이 아예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에서 일본군이 침공하면서 전파되었다. 패색이 짙었던 전쟁 초기에 조총의 위력을 실감했던 조선은, 노획한 일본군의 조총을 분해해보고 조선에 투항한 일본인 기술자들의 도움을 받아 1593년부터 조총을 생산했다. 전후에도 조총은 조선군의 표준무기로 서서히 자리매김해나갔고, 조선은 얀 야너스 벨테브레(박연)과 같이 표류한 네덜란드인들을 통해 방수 기능을 도입하거나 찬혈과 같은 천공법을 적용해 성능을 높이면서도 가격을 낮추었다. 명청교체기 이후 시대에 많은 수의 조총을 청나라로 수출하기도 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25
0
0
종교에서 하는 공부라는 것은 어떤 공부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쉽게 답변 드리겠습니다.모든 종교는 교리가 있습니다.교리는 인간이 만드는 것입니다.그 교리에 따라 공부하는 것입니다.공부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신을 통하여 인간이 구원을 받는 것입니다.그러나 각 종교마다 믿는 신이 다르듯 공부하는 것도 다르고 인간의 나약함을 신에 기대어 이겨내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학문 /
철학
23.04.25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