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수도권에서 다닐만한 전문대학은 어디어디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도권에 다닐만한 전문대학은 많습니다.가까운 성남시의 신구대학부터 시작하여 많습니다.중요한 것은 과 선택입니다.자기가 원하는 대학 과를 선택하시고 구글링 하셔서 학교 홈페이지에서 확인 하시면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2.12.19
0
0
성탄절을 공휴일로 지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질문에 공감합니다.그러나 우리나라는 종교의 자유가 있는 나라이기에 공휴일이 너무 많아질까 염려됩니다.석가탄신일과 성탄절의 공휴일 지정은 예수탄생은 공휴일이고 석가탄생은 공휴일이 아니어서 윤태영변호사의 대법원까지 가는 노력으로 1975 년 부터 공휴일이 되었습니다.타 종교인도 우리나라에 인구수 대비 많으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학문 /
역사
22.12.19
0
0
빌어먹을 이라는 표현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빌어먹을 이란 의미는 좋지 않은 말에 속합니다남에게 빌어먹다라는 의미의 비속어 입니다.거지들이 빌어먹듯이 거지 같은 사람을 이라는 뜻 입니다.안 쓰신는게 좋다고 판단 됩니다
학문 /
역사
22.12.19
0
0
성경에나오는 홍해가 갈라진곳은 지금의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경에 나온 홍해 는 아라비아 반도와 아프리카 사이에 있는 바다 입니다.면하고 있는 나라는 이집트 이스라엣ㄴ 요르단 사우디 아라비아 예멘 수단 등이 있습니다.바다가 좁고 면적은 438,000 제곱킬로미터 정도 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9
0
0
예전 성선설, 성악설을 배웠는데 현재는 어떤 결론이 났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제역시 결론이 나지 않았습니다.인간의 척도는 철학자들의 논리와 이론으로 우리에게 인지 되지만 어떤 주장이 옳다는 것은 그것마저 문제시 되지 않을까 합니다.인간이 태어 나면서 선이냐 악이냐를 논하는 자체가 문제가 있는것이라 판단 됩니다.과학자와 종교학자와 하나님에 관한 것을 이야기하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질문자님, 답변자의 주관적 생각임을 알려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9
0
0
많은 사람이 좋아하는 포도주는 어디가 제일 유명한가요? ㅎㅎㅎ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와인의 70ㅡ80 %를 차지하는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입니다.가장유명한 곳 와인은 생산년도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로마네꽁띠가 가장비싼 와인에 속합니다.해마다 품평회에서 1위의 와인이 바뀌기도 합니다.프랑스 와인을 드시면 될듯 합니다.
학문 /
음악
22.12.19
0
0
이또한 지나 가리라 이 명언을 참좋아합니다 누군가에게 힘이 되는메세지?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든 힘든일은 영원할 수 없습니다.가만이만 있는다면 포기하고 있는다면 생을 마감을한다면 영원히 힘들겠지만 무엇이라도 두드린다면 열릴 것 입니다."당신에겐 내가있어 너에겐 내가 있잖아" 시인 박남근
학문 /
역사
22.12.19
0
0
우리나라 최초의 만화책은 어떤작품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만화가는 이도영입니다.책으로 남아 있는건 없습니다.안타깝게 이전건 자료가 존재하지 않으며서봉재의 1952년 밀림의 왕자가 단행본으로 남아있을 뿐입니다.
학문 /
미술
22.12.19
0
0
장례식에 다녀오면서 소금을 뿌리는 의미는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나의 주술적 의미라고 보시면 됩니다.소금은 해독 살균 정화작용을 합니다.예전 상가집에서 나쁜 균들에 전염되어 올수도 있으니 그에 대한 하나의 정화작용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그러니까 상가집에서 잡귀신이나 액운이 불어 오면 몸에서 떨어지라고 뿌렸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9
0
0
경주에 있는 다보탑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통일 신라 경덕왕 십년에 만들어진 다보탑,통일 신라 미술의 정수를 보여줍니다.751년 불국사와 함께 만들어진 탑이라합니다.화감암으로 만들어진 탑으로 국보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2.12.19
0
0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