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예전 호신무기이며 전쟁에서 쓰인 무기 칼 검 과 도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심있는 질문입니다.도는 외날입니다.부엌칼 과일칼등은 날이 한쪽만있는데 이것을 도라고 합니다.그런데 검은 양쪽날이 있습니다.전쟁시 찌르기를 할수 있는것이 검 입니다..
학문 /
역사
22.11.01
0
0
피자나 파스타는 이태리가 시초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 님의 질문처럼 현대의 피자와 파스타는 이탈리아 음식이 맞습니다그러나 피자의 기원은 그리스 라는 설도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2.11.01
0
0
2차 아편 전쟁은 왜 2차 아편 전쟁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편 전쟁은 서구열강과 청나라의 무역적자를 해소하기 위하여 아편을 청나라에 팔아서 벌어진 전쟁입니다.아편의 매개체 지만 돈 때문인 것 입니다.2차역시 청나라에서 아편을 제조하여 판매하니 또다시 무역에 적자가 생겨 애로호 사건을 조작하여 전쟁을 벌여 중국의 항구를 더 열개 했던 것입니다.
학문 /
철학
22.11.01
0
0
예술 작품을 평가하는 기준은 도대체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궁금증을 해소하기위하여 쉽게 설명하겠습니다.일단은 희소성 입니다. 작품 상태가 좋은 것이야 합니다.오래된 것일 수록 희소성이 있습니다.그리고 그시대의 사조입니다어떤 역사가 새로 쓰여졌느냐 하는것이죠,독특한 색다른 철학 같은 예술성이 있느냐 에도 달려 있습니다.그리고 작가의 명성 대중의 호응도 등이 있습니다.그러나 왠만한 유명 작가들 작품이 액자값도 안되는것이 많습니다.
학문 /
미술
22.11.01
0
0
Hi 와 Hello의 차이점이 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Hi 는 친구끼리 격식없이 쓰는 인삿말 입니다Hello 는 격식을 차리고 인사하는 말입니다.글래서 우리는 전화할때나 받을때 예의를 갖추고 Hello~ 여보세요~~라고 말하는 것입니다.Hello 기분좋은 단어 입니다
학문 /
역사
22.11.01
0
0
절에 가면 만자를 볼 수있는데 옛날 나치들도 어떻게 하다 만자를 쓰게 됐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 님의 질문이 모두가 궁금해 하는 질문 같습니다.그러나 절만자와 나치의 갈고리 십자가와 다릅니다.갈고리 십자가는 하켄크로이츠 라고 합니다.독일나치는 기독교 국가 이기도 합니다.모양을 자세히 보면 구부러진 곳이 절만자와 반대로 되어 있기도 합니다.
학문 /
미술
22.11.01
0
0
장보고를 바다의 왕자라고 하는건 왜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보고는 통일신라 시대때 인물로 당나라가 신라인을 노예로 데려가던 시절 이었습니다.비참한 시절 이었습니다.장보고는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신라인을 지키고 중국 신라 일본 무역을 주도한 그시대의 대단한 인물입니다.
학문 /
역사
22.11.01
0
0
인간은 어쩌다 혈통을 따지게 됐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말씀대로 유전적으로 우수한 혈통이 나오지 않는다는건 사실입니다.그러나 서양에서 왕실에서 가족간 결혼을 한 이유는 고대이집트가 단연 많았습니다.파라오는 신과 같은 존제이기에 일반사람들과 혈통을 나눌 수 없었습니다.왕권의 정통성에 필요한 것이 었습니다.질문자님 말씀대로 근친간 결혼하면 안되는 것 입니다.아주 옛시대의 문화가 아닐까 생각 됩니다
학문 /
역사
22.11.01
0
0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도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역시 기준으로 하면 경기도인천 광역시 입니다.1062 평방킬로미터 입니다.지역별로 따지면 경상도가 3위 안에있습니다.안동 경주 상주 입니다.덤으로 경상도의 의미는 경주 상주를 보고 경상도라 했습니다.재미있는 질문이었습니다.아하에 처음 질문이시라 하셨는데 궁금한 많은것을 질문하세요 , 아하가 참 즐겁고 유익합니다
학문 /
역사
22.11.01
0
0
성악은 진짜 재능의 영역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천척으로 악기가 좋으면 얼마나 좋을까요?성악도 악기 즉 선천적으로 목소리와 몸통이 좋으면 성악을 잘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성악에 관심이 있고 좋아한다면 발성을 배우면서 꾸준히 노력한다면 질문자 님도 전문가내지 프로가 될 수 있씀을 확신합니다.
학문 /
음악
22.11.01
0
0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