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왕건은 스스로 왕위에 오른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건의 장군들이 포악한 궁예를 왕으로 받아들이고싶지 않았습니다부하들은 그래서 왕건을 함께궁예를 치고 나라를 구하자고 하였습니다.왕건은 부인이 많습니다.호족들의 힘을 빌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2
0
0
중세 마녀사냥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녀의 행각을 벌인 사람들이 있으나, 대부분은 무고한 고발에 의해서 힘없는 여자들이 마녀로 고발당해 마녀로 몰려 죽음을 당합니다. 특히 미모가 뛰어나서 수사나 유력자들에게 의해서 눈길에 들어서 성적인 노예로 전락하거나 또는 그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자신들이 마녀에 의해 현혹되었다고 고백하고 가벼운 처벌을 받으나 그 여자는 결국 마녀로 몰려 죽는 경우나, 남편의 외도를 괘씸하게 생각한 안사람에 의해 고발되어 죽는 경우도 있고, 특히 여권신장운동을 하거나 잘나고 똑똑한 여자들이 고발되고, 창녀들과 관계한 타락한 성직자가 자신의 계율을 어긴것을 감추기위해 창녀들을 고발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2
0
0
천지인이라는 말은 언제 어디에서부터 유래된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천지인(天地人) 또는 삼재(三才)는 동양 철학에서 만물을 구성하는 요소로 저마다 하늘, 땅, 사람을 뜻합니다.단군사상에서 유래 되었읍니다.우주를 구성하는 삼요소입니다
학문 /
역사
23.08.21
0
0
인조와 소현세자의 사이가 틀어진 계기는 무엇인가요?
서인들은 쿠테타를 일어켜 인조를 왕위에 올리고 정권을 장악합니다.. 하지만 곧 후금으로 부터 침략을 받습니다.정묘호란입니다가까스로 강화로 후금군이 물리쳤지만 후금에 대한 조선의 냉대는 계속되고 급기야 청(후금)으로 부터 다시 침입을 받습니다 병자호란이라 부릅니다.조선은 싸움도 제대로 못해보고 남한산성에 인조가 고립되게 됩니다.인조의 서인정권은 너무나 무능력했기 때문에 결국 삼전도에서 청태종에게 항복하고 치욕을 봤습니다.가까스로 왕조는 이어지게 됩니다.이때 인조의 장자와 둘째인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은 청나라의 볼모로 잡혀가게 됩니다. 청나라에서 8년동안 소현세자는 청나라가 강국임을 인정하고 조선의 부국강병을 위해 상당히 많은것을 배웁니다. 서양쪽 문물에도 깊은 관심을 두었습니다.8년이 지나고 다시 귀국길에 오른 소현세자는 많은 지식과 서양문물을 소개하지만 인조는 이런 소현세자의 태도가 상당히 거슬립니다. 인조는 청나라부터 삼전도의 치욕을 겪었기 때문에 청나라를 상당히 싫어했는데 그보복을 이루어야할 소현세자는 그반대로 청나라에게 상당히 긍정적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로부터 소현세자는 귀국한지 얼마못되서 갑자기 병사하고 맙니다.
학문 /
역사
23.08.21
0
0
인도에서 만들어진 불교를 왜 고구려는 받아들였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가의 중앙집권체제를 완성하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종교입니다 그것이 불교입니다.토속신앙을 죽임과 동시에 귀족세력의 힘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함입니다고구려의 경우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어지러워진 나라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소수림왕이 불교를 공인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1
0
0
백제의 멸망 원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제의자왕의 국제정세 판단착오와 신라자극이가장 큰 이유입니다. 백제입장에서는 제나동맹의 배신과 성왕패사로 신라에 대한 감정의 골이 깊었습니다.그리고 사비도성의 방어적 취약성과 국가비상사태임도 국력을 하나로 모으지 못했고 의자왕의 판단착오와 예식장군의 모반, 백제군사제도의 허점과 방어망의 불가동등을 원인으로 지목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1
0
0
비례대표가 존재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두개 이상의 정당이 있는 경우 정당의 득표수에 비례하여 당선인 수를 배정하는 선거방식을 말합니다. 소수대표제가 다수파에 의원을 독점시키지는 않으나 공정한 비율로 대표된다는 보장은 없다는 점을 보완, 여론을 공정하게 반영시키기 위하여 고안되었습니다.이 제도는 득표수와 당선수의 비례관계를 합리화하려는 것으로 대선거구제를 전제로 합니다. 비례대표제의 장점은 소수파에게도 그 득표비례에 따라 의석을 부여하여 소수대표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점, 사표(死票)를 방지하고 득표수와 당선자 수의 비례관계를 합리화할 수 있다는 점, 다수파가 의석을 많이 차지하는 것을 막고 여론을 공정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1
0
0
5만원권화폐만들때 신사임당을 모델로 결정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사임당을 모델로 한 이유는 새로운 화폐에 여성 위인을 넣는다고 여러 후보가 올라서 와 있다가 결국 신사임당이 뽑힌것입니다.한국은행은 “신사임당은 교육과 가정의 중요성을 환기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1
0
0
창작글을 쓰는것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창작이란 잡생각은 해당이 안됩니다.그러나 잡생각을 창작화 시키면 창작이 됩니다.잘 정리해서 수필이나 단편소설로 문예지에 응모하여 보시면 어떨런지요
학문 /
문학
23.08.21
0
1
유교를 종교로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교역시 당연히 종교입니다.유교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의 학문을 이르는 말로, 동아시아 특유의 종교 및 철학 체계입니다. 시조 공자의 이름을 따서 공교라고도 합니다.세계 4대 성인 입니다.
학문 /
역사
23.08.21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