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우람한스컹크183
우람한스컹크183
23.08.21

유교를 종교로 볼 수 있나요?

유교를 과연 종교로 규정할 수 있나요? 숭배의 대상이 없다는 점에서 종교로 볼 수 없다는 주장도 있고 조상을 모시는 제사가 있어서 종교라 규정해야한다는 주장도 있는데 조선시대에 천주교가 들어왔을때는 이를 어떻게 규정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굉장한비오리121
    굉장한비오리121
    23.08.22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라는 단어가 들어가있어 종교처럼 보이겠으나

    유교는 종교와 철학의 요소를 포함한 복합적인 문화 체계입니다. 따라서 종교인가 철학인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는 정확히 표현하면 유학이라고 해야 합니다. 모든 종교는 기본구조가 고통으로 가득한 현실적 상황에서 구원을 받아 절대자유와 평화의 경지인 이상적 상황으로 간다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기독교같은 경우 현실적상황(고통)-예수님의 구원-천국이고 불교도 현실적상황(고통)-부처님의 구원-극락이라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유교는 이런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종교라기 보다 학문이라고 봐야하는데 언어의 사회성으로 인하여 자주 사용하다보니 유학이 아닌 유교로 고착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8.21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대적 의미에서 유교는 사상이자 학문으로 봐야 하므로 종교로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역시 당연히 종교입니다.

    유교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의 학문을 이르는 말로, 동아시아 특유의 종교 및 철학 체계입니다. 시조 공자의 이름을 따서 공교라고도 합니다.

    세계 4대 성인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는 교단조직이 있는 것은 아니나 충과 효를 기본으로 생활윤리와 강령을 갖춘 생활종교로 볼 수 있습니다. 공자 이래 오랜 역사를 갖추었으며 조선시대 이전에는 주로 정치윤리로 채택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정치윤리 뿐 아니라 생활문화로도 채택되었습니다. 조선시대는 철저히 성리학으로 나라를 운영한 것입니다.

    따라서 천주교가 들어왔을 때 조선 체제를 위협하는 위험한 사상으로 보았습니다. 처음에는 남인과 중인이 중심이 되어 천주교를 청으로부터 접하고 학문으로 수용해 서양의 학문 즉 서학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러던 것이 여성 및 서민에까지 신앙으로 퍼지자 정부에서 이를 엄히 금하고 탄압하고 처형하기까지 이르렀습니다. 이에는 윤지충사건이 한몫하였는데 제사를 거부한 것이 알려져 거부감이 크게 커졌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자를 시조로 하는 중국의 대표적 사상. 공교 ·공자교라고도 한다고 합니다.

    공자의 사상을 따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타 종교도 자신들의 신을 믿고 그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특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세계의 5대 종교는

    1위는 기독교

    2위 이슬람교

    3위 무교

    4위 힌두교

    5위 유교 등 중교전통 종교

    6위 불교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는 중국 춘추시대 말기에 공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의 학문을 이르는 말로, 동아시아 특유의 종교 및 철학 체계입니다. 유교는 종교 체계 라고 볼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불교나 기독교 처럼 사후 세계에 관한 내용이나 그 것에 관해 어떻게 해야 한다는 등의 언급이 전혀 없다는 것 입니다. 유교는 현세에 있어서 삶의 규범등에만 촛점을 맞춘 학문 이기 때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