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에 우리나라 수능과 같은 시험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과의 시험 과목은 유교 경전과 시문詩文, 그리고 역사歷史였다. 시험의 가장 마지막 관문은 책문策問이었는데, 요즘으로 친다면 논술형 시험으로 주제에 맞게 얼마나 글을 잘 쓰는지를 비중 있게 평가하는 시험이었다. 주로 왕이 중요하게 여기는 현안이 문제로 출제되었다. 시대의 물음에 답하는 능력을 보고자 했던 것이다. 장원급제자들의 답안지는 평균 길이가 10미터에 이를 정도였는데 앞면은 물론 뒷면에도 빼곡이 글이 적혀 있었다. 그만큼 어떤 주제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자신만의 견해가 또렷하게 있어야만 과거의 최종관문을 통과할 수 있었다는 답변을 구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3.31
0
0
일본에 의해 강제로 폐위된 왕은 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헤이그 밀사사건으로 인하여 왕에서 내려온 고종이라고 보시면 어떨까 생각 됩니다.일본에 몹쓸짓 의하여 이완용 등이 관여하여 저질러진 일이니까요라는 답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3.31
0
0
우리나라 최초의 간척사업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235년(고려, 고종23년) 안주 용도 간척사업1960~1970년대: 17,864ha조성(1,171지구)1979년 삽교호 방조제1982년 영산강 하구언1991년~ 새만금지구 공사중1990년 까지 총 조성계획(401千ha)의 13.3%인 53,480ha 조성1995년 서산A.B지구 간척사업 완료라고 답변을 구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3.31
0
0
세종과 태종의 관계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3대왕인 이방원입니다. 태종이라고 하죠. 1대 이성계의 5남이자 2대 정종의 동생이기도 합니다. 한글날을 맞아 세종대왕에 관한것들이 관심을 받고 있네요. 세종대왕 아버지의 이름은 이방원입니다그의 셋째 아들이 세종대왕입니다. 둘의 관계는 부자간입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3.31
0
0
조선시대에도 변호사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은 헌법이나 법률, 인권, 민권, 법치주의, 입헌주의 같은 단어조차 없었던 나라입니다.그런 단어들은 모두 일본이 만든 것이고, 관련 제도도 모두 일본이 만든 것입니다.조선시대는 사또 맘대로였어요.사또와 아전들이 맘대로 했기 때문에 <유전무죄,무전유죄>가 당연시되던 나라였습니다. 라는 답변을 구해 왔습니다.
학문 /
역사
23.03.31
0
0
정조가 화성행궁을 지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원화성은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쟁에 의한 당파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이러한 정치ᆞ군사ᆞ제사의 중심으로 활용하기 위함.사적 제478호 화성행궁은 1789년(정조 13년) 수원 신읍치 건설 후 팔달산 동쪽 기슭에 건립 되었다. 행궁(行宮)은 왕이 지방에 거동할 때 임시로 머물거나 전란(戰亂), 휴양, 능원(陵園)참배 등으로 지방에 별도의 궁궐을 마련하여 임시 거처하는 곳을 말하며 그 용도에 따라서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라고 답변을 구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3.31
0
0
발터 벤자민의 철학과 생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를린에서 태어났다. 좌익 학생운동을 하였고 나중에 시오니즘운동에 관계하였으며 형이상학 요소를 사적 유물론과 결합시킨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그와 교류했던 학자로 아도르노, 블로치, 브레히트 등이 있다. 박사학위 취득을 위해 제출한 논문은 <독일 낭만주의에서 예술비평 개념>(1920)이다. 그리고 대학교수 자격 취득을 위한 박사 학위 논문 <독일 비가극의 기원: Ursprung des deutschen Trauerspiels> (1928)이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거부되자 교수를 단념하고 문필생활로 들어갔다. 보들레르, 프루스트에 심취하여 그들의 작품을 번역하는 한편, 1925년부터 마르크스주의 연구에 몰두하였다. 라는 답변을 구해왔습니다.
학문 /
철학
23.03.31
0
0
이미자씨의 동백아가씨는 왜 금지곡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미자 씨는 결혼 이후에 '동백아가씨'의 인기 행진이 이어졌고 1965년도에 갑작스럽게 동백아가씨가 왜색이라는 이유로 금지곡이 된다"고 설명했다.라고 답변을 구했습니다.
학문 /
음악
23.03.31
0
0
우리나라에서 염소를 가축으로 기르게 된 시기는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염소가 가축화된 것은 1만년경이다. 링크.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는 농부들이 가축을 함께 기르는 게 일반적이었는데, 염소는 양과 소에 비하면 썩 그닥이었고 고기도 가치가 낮았다. 그나마 염소젖 정도가 가치 있었다. 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3.31
0
0
고대 삼국 시대에도 지역별로 방언이 존재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렇습니다.삼국시대에도 사투리가 존재 하였습니다.고대에도 역시 사투리가 방언이 존재하였습니다.산과 강을넘으면 방언과 사투리가 존재합니다.
학문 /
역사
23.03.31
0
0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