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아기들은 태어나고 보통 언제쯤 걷기를 시작하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10~12개월에는 무언가를 붙잡고 설 수 있고, 15~16개월 경에 걸음마를 시작합니다빠른 친구들은 돌쯤해서 걸음마를 하구요아가들의 운동 능력은 근육과 이를 조절하는 두뇌와 신경이 같이 발달을 해야 이뤄지는 것입니다역으로 두뇌와 신경은 이미 발달해 있는데 근육이 단련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이 때 아가들은 무심히 시도를 하며 근육이 생성되지 않은 채 두뇌가 자꾸 시키니깐 어떻게든 걸어볼려고 하다가 잘못된 자세가 굳어질 수도 있습니다느린 것, 빠른 것 보다 좋은 것은 그냥 적당한 것입니다
육아 /
양육·훈육
21.12.30
0
0
아이가 양치하는걸 싫어해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양치질은 아이와 타협할 수 없는 부분이죠칫솔 쇼핑을 할 때 아이와 함께 해보세요~요즈음엔 케릭터 예쁜 칫솟들이 많이 나오므로 아이가 칫솔에 흥미를 가지고 먼저 양치질을 한다고 할 수도 있으니깐요또는 엄마 아빠 양치질 하는 모습을 보여주시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육아 /
양육·훈육
21.12.30
0
0
5세 여아 눈운동, 눈마사지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옛말에 ‘우리 몸이 1000냥이면 눈이 900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그만큼 우리 몸에서 눈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높다는 소리지요저도 눈을 따뜻하게 해주거나 인공 눈물을 넣어주면 나아진다란 이야기를 듣긴 했지만 일시적인 것 같아요아래 링크에서도 비슷한 말이 있는 것 같아 공유합니다눈 지압 운동, 시력 회복에 효과 있을까? (chosun.com)
육아 /
양육·훈육
21.12.30
0
0
태아에게 태교 음악이 뇌발달에 효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태아가 모든 소리를 듣게 될 수 있는 시기는 임신 6개월 때 부터 입니다임신 1~2개월 때의 태아는 소리를 듣는 기관이 형성되지 않아 소리를 들을 수는 없지만 이때도 엄마의 감정 상태가 태아에게 전이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으면 태아에게 좋지 않습니다. 실제로 태아는 청각 지능이 가장 먼저 발달하기 때문에 음악을 통한 자극은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음악태교를 할 때 클래식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고 태아에게 가장 편안한 소리는 엄마의 심장박동 소리이기 때문에 태아는 엄마 심장 박동 소리와 비슷한 빠르기의 음악을 선호합니다
육아 /
놀이
21.12.30
0
0
애기들 핸드폰은 언제부터 사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몇 살에 스마트폰을 사주는 것이 가장 현명한지 모든 부모들의 공통 관심사죠핸드폰은 늦으면 늦을수록 좋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주위를 보면 부모와 아이가 대화를 자주 하고 함께 시간을 보내며 소통이 되는 가정의 아이는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무서운 일들이 많아서 꼭 사줘야 하는 거라면 일반폰을 추천드립니다주변에 스마트폰 중독 때문에 염려하는 부모님들이 생각외로 많이 계십니다
육아 /
유아교육
21.12.30
0
0
20개월된 남자아이인데요 요즘질문이 많아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호기심이 굉장히 많군요^^아이의 물음에 답하실려면 어머님께서 열심히 공부를 하셔야겠어요!궁금해 하지 않는 것보다 많이 물어 보는 것이 아이의 상상력에 도움이 됩니다한참 호기심이 많고, 궁금한게 많은 나이라서 어머님께선 온갖 상상력을 발휘해서 성의있게 대답해주세요솔직히 바쁘고 힘든데 일일이 아이의 물음에 답을 해주는게 쉽진 않지요그래도 내 아이가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도록 성의있게 이야기해주세요왜? 왜? 질문도 한때이니 아이의 물음에 귀 기울여주세요~
육아 /
놀이
21.12.30
0
0
맘에 안들면 어디서나 들어눕는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입장에서는 드러누워야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는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어요아이가 드러눕기 전에 먼저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해주면 횟수가 줄어들 거라 생각해요그리고 아이의 화난 원인을 파악한 후 그 후에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서운했거나 속상한 아이의 마음에 엄마가 동감을 해주면 아이는 울음을 터뜨리는 경우가 많아요..어른도 힘들 때 내 편이 되어주면 기분이 풀어지듯 아이의 마음도 그럴겁니다울음은 마음속 응거리를 풀어주고 공격성을 줄여주니 꼭 아이의 마음을 달래주길 바랍니다
육아 /
양육·훈육
21.12.30
0
0
만 6개월 조카와 놀아줄 때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조카사랑이 너무 예쁘십니다아직 6개월이면 촉감관련된 장난감을 추천드려요그리고 사운드북 동화책도 다양한 소리에 아이들이 너무 좋아하거든요인체에 무해한 장난감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솔직히 입에 들어가서 좋을건 없지요호기심이 많아서 뭐든 입으로 가져갈 때라서 아무래도 입으로 들어가는 건 안 좋겠지만 꼭 필요하다면 무해한 장남감을 찾아 보셔야 할 것 같아요
육아 /
놀이
21.12.30
0
0
신생아는 마스크 언제부터 써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기사에 의하면 24개월 미만 영유아의 경우 호흡기가 제대로 발달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호흡 곤란시 스스로 마스크를 벗지 못할 위험이 있어 마스크 의무착용 대상이 아닙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영.유아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엄마 아빠의 주의 깊은 관찰을 필요합니다요즈음 들어 확진자 수가 계속 느는 경우엔 아이와 최대한 외출을 자제하는 수 밖에는 없을 것 같아요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1.12.30
0
0
아이들은 왜 나쁜거는 빨리 배울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가장 간단한 답은 쉽지 않겠지만 나쁜거를 안 보여주는 것입니다더불어 아이가 착한 행동을 하면 많이 안아주고 사랑한다고 해주고 뽀뽀해주고 칭찬해줍니다.나쁜 행동에 대해 꾸짖는 것보다 착한 행동에 대해 칭찬하는 시간을 더 많이 가져보세요 착한 행동에 대한 칭찬을 나쁜 행동에 대한 지적보다 훨씬 많이 하면 아이는 착한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될 것입니다
육아 /
유아교육
21.12.30
0
0
2611
2612
2613
2614
2615
2616
2617
2618
2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