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최근 경영계에서 ESG 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어떤 것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안녕하세요. ESG란 우선 환경 (Environment), 사회 (Social), 그리고 기업의 기배구조 (Governance) 를 뜻하는 단어들의 약자로 전부 기업의 비재무적인 요소들입니다. 요즘 자주 등장하는 ESG 경영이란 장기적인 측면에서 기업들이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그리고 투명한 경영을 통해서 기업 자신들과 사회 모두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4.02
0
0
은행별 예금 보장액이 5,000만원인데 이 금액은 원금만 포함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안녕하세요. 우선 은행은 법인당 한 개인에 한해서 5,000만원까지 보장해주는데 이는 원금 및 여기서 발생하는 모든 이자를 포함한 금액이 5,000만원까지입니다. 즉, 이자까지 보장받고 싶으시면 대략 4,800만원 근처에서 예금하시면 모든 금액을 보장받으시게 될 것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31
0
0
ISA는 기한에 제약이 있던데, 만기가 되면 다시 연장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일단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에 만기는 없습니다. 다만, 최소 유지 기간인 의무가입기간이 3년입니다.이후 ISA 만기 자금을 IRP로 넘기게 되면 또 한번 더 세제 혜택을 받아 유리하게 됩니다. 이를 잘 살펴보시고 상황에 따라 대응하시면 되겠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30
0
0
경제성장률이 1% 혹은 그 미만에 유지되면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경제 성장률이란 말그대로 국내총생산 (GDP) 의 성장률을 의미합니다. 이런 국내총생산이 매년 1% 내외로 머물게 되면 그 파장은 상당히 크다 할 수 있을 것입니다.가장 대표적인 예로 옆 나라 일본을 예를 들면 잃어버린 30년이라고 부르는 것도 그들의 경제 성장률이 과거 30여년간 1% 내외에 머물렀기 때문입니다.이런 일이 실제로 발생하게 되면 우리나라 역시도 일본의 전철을 밟게 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3.29
0
0
적금 풍차 돌리기 vs. 1년 예금 중 어느 편이 더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아무리 적금의 이율이 어느 정도 높다고 하더라도 같은 기간 내의 예금 보다 이자 수익이 높기 힘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금을 풍차 돌리기로 하시더라도 동일 기간 내 1년 정기 예금의 이자 수익보다 기대치가 높지 않기에, 만일 목돈이 이미 있으시다면 예금으로 자산 관리를 하시는 편이 더 좋을 것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28
0
0
적금 풍차돌리기란 것은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풍차돌리기란 간단하게 말하면 적금을 쪼개서 이자 수익의 극대화를 꾀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서 1년 만기 적금 통장 (혹은 카카오뱅크의 경우 26주 적금 통장) 을 매달 하나씩 만드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다보면 1년이 지난 뒤에 매달 만기가 되는 통장이 생기는 셈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27
0
0
은행에서 예금 보호 금액이 5,000만원인데, 이것이 오늘 가능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현재 2021년 이후 예금자보호법이 보증해주는 금액은 5,000만원으로 대략 22-3년간 묶여있기에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불만이 여기저기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 금액을 1억으로 상한하는 노력이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예금 보증 금액의 규모는 선진국들에 비해 많게는 1/6, 적게는 1/2 정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서둘로 재정비해야 할 필요성이 있고, 국회에서도 이에 대한 법령을 발의는 했습니다.다만, 보증금액을 올리게 되면 금융기관이 내야 할 보증에 대한 보험료 역시 오르기에 이것이 부담으로 적용되어서 쉽사리 올리지 못한다고 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26
0
0
개인이 국가에서 발행하는 채권을 매입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개인도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을 매입할 수 있습니다. 개인은 발행시장에서 입찰해서 매입하고나 유통되는 채권을 유통하는 기관을 통해서 매입할 수 있습니다.
경제 /
대출
23.03.24
0
0
채권의 순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어떤 순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대로 대출이 발생하게 되면 대출을 갚아야 하는 순서가 정해지기 마련입니다.그 가운데 채권이 있으며 채권에는 우선 선순위와 후순위 채권으로 크게 나뉘고선순위 채권이란 말 그대로 변제 받을 당시 가장 우선 변제 받는 것을 의미하며후순위 채권이란 역시 문자 그대로 변제 받을 당시 순서가 선순위 채권 다음으로 이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언급하셨던 코코본드는 후순위 채권으로 분류됩니다.
경제 /
대출
23.03.23
0
0
미국의 금리가 한국의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미국 연준이 이번에도 0.25bp (0.25%) 의 금리를 올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미국은 기준 금리가 무려 5%에 이르게 되었는데 이렇게 되면세상의 돈들이 미국으로 몰리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미국 화폐인 달러의 가치가 상승하고 동시에 우리 원화의 가치는 내려가게 되어환율이 상승하게 됩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결국 수출과 수입 모두 영향을 받게 되기에미국 금리가 오르게 되면 결국 한국 경제에는 악영향을 받게 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3.23
0
0
5842
5843
5844
5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