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보험
자격증
학문
경제
비트코인 ETF 승인 관련한 글들이 보이던데 ETF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거래소에서 주식처럼 바로바로 거래 가능한 펀드가 ETF입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펀드의 일반적인 거래 과정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겠습니다. ETF 개발&도입 배경과 같은 역사를 살펴보는것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1.10
0
0
신주인수권부사채란?어떤뜻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 그대로 신규로 발행되는 주식을 우선적으로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 회사 채권입니다.
경제 /
대출
24.01.10
0
0
퇴직연금 개인형 IRP 가입하려는데요.. 어디에서 하는게 제일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증권사로 정하시는게 운용수수료나 운용보수 측면에서 가장 유리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와 관련된 정보는 금융감독원 파인 웹사이트에서 공시하고 있으니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2.29
0
0
한번 오른 물가는 내리는 경우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시적으로 내릴 수는 있으나 자본주의 안에서는 신용창조 방식으로 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니 장기적인 관점에서 물가가 내려가기란 어렵습니다. 다만 그 폭이 달라질수는 있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29
0
0
경제에서 출구전략은 어느때 사용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출구전략은 exit strategy를 직역한 것으로 경제에서 출구전략의 의미는 "투자회수"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29
0
0
경제용어중 벤드왜건효과란 어떤걸 의미하는지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제학, 소비자학에서 밴드웨건 효과는 소비자가 유행을 쫓아 구매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군중심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심리로 생겨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2.29
0
0
부동산PF 문제는 어떤 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는 부동산 산업에 있어서 자금을 차입하는 방식입니다. 자금부족자(개발사업회사)는 사업성을 토대로 자금을 차입하고 반대편에는 자금잉여자(투자자)가 있겠습니다. 부동산PF문제는 사업성이 저조해져 투자자가 투자회수를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2.29
0
0
금융분야에서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변화시키는데 어떤 자산클래스를 고려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질문이 재무설계 카테고리에 좀 더 가까워보입니다.개인의 경우 주식형자산, 채권형자산, 현금성자산, 대체투자자산으로 자산을 분류합니다. 대체투자자산에는 부동산을 포함한 실물자산도 속합니다.이렇게 자산만 분류해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지는 않고 질문자님의 질문에서처럼 각 자산에서도 그 안에 자산클래스를 구분합니다.주식의 경우 가치주, 성장주/ 국내주식, 해외주식/ 대형주, 중소형주 등으로 나누기도 하고 피터린치처럼 6가지 유형 저성장주, 대형우량주, 고성장주, 경기순환주, 회생주(턴어라운드주), 자산주등으로 나누기도 합니다.채권의 경우 포트폴리오 구축 측면에서 회사채보단 국공채를 보유하십니다. 국내채권, 해외채권/ 단기채와 장기채, 중기채/ 신용등급에 따라 분류해서 보유하기도 합니다. 이는 단순히 수익과 위험뿐만 아니라 개인의 재무목표, 투자기간, 목표금액, 목표수익, 위험프로파일 등을 잘 반영해서 자산배분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1.06
0
0
저출산이 정말 부동산 가격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저출산의 원인은 다양합니다.1. 산업이 고도화 될 수록 한명이 출생에서 경제활동인구가 되는데까지 투입되는 비용과 시간이 늘어납니다.2.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여기에 발맞춘 정책이 없는 경우에도 저출산의 원인이 됩니다.부동산가격은 그 금액이 크기 때문에 생활하기 어려운 다양한 이유 중 대표성을 띤 한가지 사례로 보입니다.위에서 생활이 어렵다하였는데 빈곤에는 절대빈곤과 상대빈곤이 있습니다. 경제발전으로 생존의 기본적인 것들이 해결되는 나라에서는 절대빈곤보단 심리적인 영향을 받는 상대빈곤이 늘어납니다. 우리나라의 처럼 관계주의가 강한 나라의 경우 상대빈곤으로인해 박탈감을 느끼는 수치가 높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자녀출산을 선택하지 않는 인구가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경제 /
대출
23.11.03
0
0
달라질 국민연금 그래서 돈을 더 내게 된다고요? 아니면??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구체적인 내용이 없었죠.개선의 방향만 제시하고 구체적인 수치가 없었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3.11.01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