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8주간 21kg 빠졌는데 기능성 소화불량은 입원을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대학병원에서 입원을 못하는 것은 단순하게 병실이 없어서입니다. 병실이 비어있는 다른 병원을 찾아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08
0
0
HDL이 90 이상인 것처럼 매우 높아도 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HDL이 높게 나왔는데 "HDL이 너무 높아도 문제라는데" 이 문제 때문에 걱정이시라는 것이지요?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환자분 말씀이 맞습니다. HDL이 너무 높아도 문제이며 특별히 무엇인가를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HDL의 경우 all cause mortality(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과 U 모양의 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Novel Insights From Human Studies on the Role of High-Density Lipoprotein in Mortality and Noncardiovascular Disease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Volume 41, Issue 1, January 2021; Pages 128-140)위 자료를 보게되면 남성의 경우 HDL이 1.9mmol/L보다 상승하게 되면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 위험비가1보아 높아지게 됩니다. mmol/L단위를 mg/dL로 변환을 하게되면 이는 73.4mg/dL가 됩니다.HDL 90mg/dL의 경우 눈대중으로 보면 대략 위험비가 1.2 정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굳이 숫자로 표현을 한다면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이 20%정도 증가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하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걱정하신다고 HDL을 낮추기위한 특별한 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니까요 다른 심혈관계 위험요인. 그러니까 아래와 같은 위험요인을 철저하게조절하시는데 주의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에 나오는 자료입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08
5.0
1명 평가
0
0
간암 관련 해서 질문 곰팡이 음식 섭취!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토마토에 곰팡이가 생긴 것을 보고 해당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다른 부분을 드셨는데아플라톡신이 간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셔서 그로 인하여 간암이 생길까봐 걱정이 되셨군요결론은 말씀드리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곰파이에서 생성되는 독소인 아플라톡신이 간암을 유발할 수 있는 1급 발암물질인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그렇다면 1회 소량 노출이 되었다고 해서 바로 간암이 생기거나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량의 아플라톡신에 장기적적으로 노출되는 경우에 간암의 위험이 상승합니다.또한 이렇게 간암이 발생하는 경우는 이에 취약한 환자들에서 두드러집니다.간염이 간경변이 되고 감암이 되기 때문에 이 간염을 유발하는 환자들이 이러한 악화요인에 노출이 되게 되면 간암의 발생위험이 많이 상승하게 됩니다. 기저질환으로는 바이러스성 간염, 특히 B형간염이 있으며 그이외 C형간염 알콜성 간염 지방간염등여러가지 간염으로 인한 간경변에서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회 소량 노출이 되었다고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그리고 만약 바이러스형 간염을 앓고 계신다면 치료를 잘 받으시고 술을 많이 드신다면 중단하고 체중이 많이 나간다면 줄이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간경변에 이를 수 있는 간염을 조절할 수 있다면아플라톡신으로 인한 걱정은 많이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08
5.0
1명 평가
0
0
과식을 하면 왜 건강에 좋지 않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과식을 하면 왜 건강에 안 좋은지가 궁금하셨군요결론을 말씀드리면 가장 큰 이유는 비만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과식이 건강에 미치는 안 좋은 영향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간단하게는 비만을 증가시키고 추가적으로는 활성산소를 증가시켜 노화를 촉진하며 일부에서는 뇌기능의 저하 심리적인 불안정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단순하게 비만을 유발한다는 점에서도 과식을 하시 말아야 하는 이유는 충분합니다. 비만은 거의 대부분의 질환의 위험요인입니다. 따라서 과식을 조절하여서 비만 위험요인을 줄여야 하겠습니다.과식을 장기간 지속하게 되면 양이 들어나게 됩니다. 많이 먹으면 위장이 늘어난다고 하지요?실제 위장의 크기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위벽은 탄성이 매우 좋아요)공복감이나 포만감을 조절하는 호르몬의 조절함으로써 양이 늘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기저질환이 없고 정상적인 성인이라는 가정아래 과식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환자분도 이를 잘 참고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08
0
0
콜레스테룰 수치 관련하여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총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고 공복혈당이 높네요결론은 말씀드린다면 "아주 특이한 경우"가 아니라면 직장생활이나 채용전건강검진에 문제가 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일단은 이상여부를 확인을 해야 합니다. 콜레스테롤의 경우는 약물치료르 요하는 고지혈증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서 총콜레스테롤에 LDL 수치를 추가적으로 확인을 해보셔야 합니다.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에서 캡처한 자료입니다. 위처럼 위험요일에 따라서 LDL 수치에 따라서 약물치료 필요여부가 나우어집니다.공복혈당의 경우 당뇨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식후혈당, 당화혈색소 2개를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공복혈당이 104mg/dL이면 위의 자료에서 공복혈당장애에 해당이 됩니다. 그래서 전술한 것과 같이 식후혈당, 당화혈색소를 확인하여서 당뇨병이 진단되는지 확인해보셔야 합니다.당뇨병이나 고지혈증으로 진단 여부와 상관없이 직장생황이나 채용검진에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진단이 되는 경우에는 약물을 잘 복용하셔서 잘 유지를 하면 되니까요단지 극히 일부에서 약물로도 조절이 어려울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직장생황이나 채용검진에서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일단 해당소견과 관련하여 담당의사 선생님과 상의를 해보시고 필요한 검사를 추가적으로 받아서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5.11.08
0
0
오른쪽 갈비뼈아래 간 쪽이 아픈데 병원에서는 근육통이라는데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우상복부 통증이 있는데 근육통이라고 들으셨는데 걱정이 되시는 것이네요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통증이 지속이 되는 경우 아무래도 걱정이 되지요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우선 진료를 받으셔서 이야기를 들으셨으니 근육통 가능성이 높다고 고려하시면 되겠습니다.엑스레이로 확인을 하셨으니 뼈의 문제를 아닌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물론 우상복부면 폐, 간, 담낭 췌장, 일부 대장 등등 복부장기의 질환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장기의 문제는 검사, 특히 영상 검사 (초음파 CT등등)를 활용하지 않고서는 확인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환자분의 증상은 어떠한 형태로든 움직일 때 악화되고 움직이지 않을 때는통증이 없는 것으로 보아서 담당선생님의 말씀처럼 근육통의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담당선생님의 치료에 적그적으로 협조를 하시면서 경과를 확인을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증상이 호전이 되지 않고 악화되는 경우 다른 증상(그러니까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관련여부를 떠나서 일단 담당선생님꼐 알려드려서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08
0
0
점액변에 피가 같이 나왔어요 혈변인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혈변이 나와서 대장암인지 걱정이 되시는군요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대장암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위의 자료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환자분 연령에서 대장암이 발생하는 가능성은상당히 낮습니다. 또한 혈변의 경우 대부분 치질이나 치열과 같은 항문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British Journal of Cancer (2019) 120:595–600)하지만 위에 보시는 것처럼 혈변이 대장암의 증상중에서는 가장 유의미한 증상이기 때문에완전히 무시하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일단 환자분은 혈변을 3일 계속 하고 있지만 암의 가능성은 높지 않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항문질환을 확인하기 위하여 항문외과 진료를 받아보세요그리고 가능성은 낮기는 하지만 그래도 혈변이 있는 경우, 그것도 지속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대장암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니 대장내시경 검사도 하시는 것을 고려해보세요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08
0
0
산부인과 초음파검사, 자궁경부확대촬영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산부인과 초음파 검사와 자궁경부확대촬영이 무엇이 다른 것인지 궁금하셨군요일단 산부인과 초음파라고 하는 것은 산부인과적 검사를 할 수 있는 초음파를 말하는 것인데요여기에는 하복부 초음파 질초음파 크게 두가지가 있으며 많은 경우 질초음파를 말합니다.하복부 초음파의 경우는 방광을 소변으로 가득채우지 않은 경우 윈도우 그러니까 화질이 많이 떨어지게 되어서 초음파로 관찰이 어렵게 되거든요.질초음파 혹은 TV USG 경질초음파는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골반내장기를 관찰을 합니다.골반내장기는 자궁 난소등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초음파 화면은 보신적이 있지요?흑백으로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자궁경우확대촬영의 경우 카메라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자궁경부의 사진을 확보하는 것입니다.대한산부인과 의사회. Medical Practice 사례로 본 자궁경부촬영진 (Cervicography 서비코그라피)의 이해따라서 자궁경부확대촬영의 경우는 자궁경부의 이상여부, 특히 자궁경부암관련을 확인하려 하는 것이고산부인과초음파(질초음파)의 경우는 골반내장기의 이상여부를 확인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고려하시면 됩니다.가격은 일률적이지는 않지만 라큐디는 7만원정도 조직검사의 경우 5-6만원 정도라고 알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산부인과
25.11.08
5.0
1명 평가
0
0
n년째 계속 반복되는 위궤양 원인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여러번 검사를 해서 고민이 많으시군요1) 위암의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헬리코박터 검사의 경우는 조직검사 이외에 요소호기검사로 확인을 해보세요2) 궤양약을 복용하고 호전이 되었다면 그렇게 생각하시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3) 그렇지는 않습니다. 위궤양이 악화된다고 해서 위암으로 변하지는 않습니다. 위궤양이 악화되면 출혈, 천공등이 발생할 수는 있겠지만 오랜 시간이 지난다고 궤양이 암으로 변신하는 것은 아닙니다. 말씀하시는 내용은 위암의 초기에는 외관이 양성위궤양과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현재 소견에 대해서 제가 왈가불가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사선생님이 내시경 하시는 담당 선생님이랑 아무리 고민을 해봐도 원인을 잘 모르겠다고" 이 내용으로 보아서 위암의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시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환자분의 경우 소위 말하는 난치성웨양에 해당이 되는 것 같습니다.난치성 궤양의 원인과 치료(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25;25(1):17-22)최근에 리뷰 자료가 있어서 확인했습니다.난치성 소화성 궤양은 충분한 표준 치료에도 불구하고 궤양이 완전히 치유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원인에는 상기 원인들이 있습니다. 헬리코박터의 경우 균의 여부를 떠나서 일단 치료를 해보세요담당선생님께 궤양이 자꾸 반복이 되니 일단 치료를 해보고 싶다고 이야기 하시구요현재 드시고 계시는 약물들중 궤양을 유발할만한 것이 있다면 담당선생님과 상의하셔서 중단하는 것을 고려해보시구요
의료상담 /
내과
25.11.08
5.0
1명 평가
0
0
혈변을 봤어요 내시경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혈변을 보셔서 놀라셨군요 걱정도 되시구요문제가 무엇인지 내시경을 해야하는지 걱정이 되시는 것이네요결론을 말씀드리면 항문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며 대장내시경은 해야 합니다.혈변이 선홍색이면 항문질환(치질, 치열 등등) 이고 대장암이면 검붉은 색이고 그런 이야기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대장내 병변으로 일한 혈변의 색은 병변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단순히 색깔로 구별할 수는 없습니다. 단지 환자분 연령대는 아래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대장암의 가능성이 ZERO는 아니지만매우 낮다는 것을 확인해주세요걱정하지 않아도 되요? 그러면 내시경도 하지 않을래요Predictive values of colorectal cancer alarm symptoms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ationwide cohort study (British Journal of Cancer (2019) 120:595–600)하지만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혈변은 증상 중에서 가장 유의미한 증상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따라서 혈변이 있으면 검사는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따라서 현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서 항문외과 진료 그리고 대장내시경이렇게 확인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08
5.0
1명 평가
1
0
정말 감사해요
10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