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러시아 작곡 글라주노프의 일화 중 기억력이 정말 좋다고 하던데, 어느 정도 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린시절 글라주노프는 비상한 기억력으로 유명했는데, 아무리 긴 곡도 한번 들으면 결코 잊지 않았으며 한번은 작곡가 세르게이 타네예프가 40분 분량의 자신의 교향곡을 피아노로 연주한적이 있는데 옆방에서 이 연주를 듣고 있던 글라주노프가 그 긴곡을 그대로 쳐서 사람들을 놀라게 한 적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04
0
0
클래식에서 고전주의는 어떤특징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전주의는 바흐, 헨델 등 바로크 시대 작곡가들의 사후 모차르트, 베토벤 등 신세대 음악가들이 등장했을 때 교회는 더 이상 음악의 수요자가 아니었고 왕과 영주 등 귀족 그룹이 음악의 절대적 스폰서로 등장합니다.이 시대는 과거 천년 이상 지속된 교회의 절대적 권위에서 벗어남으로써 작곡기법 또한 그 동안 당연한것으로 여겼던 복잡하고 고정된 틀을 벗어던지고 자연스럽고, 단순하며, 보편적인 선율의 아름다움에 공감할수 있는 가장 클래식한 음악이 만들어지는 시기 입니다.고전주의시대는 바로크 시대와의 단절이 아니라 바로크 음악을 계승, 발전시켜 클래식 음악이 대중화 될수있는 기초를 마련한 시기로 봅니다.바로크 시대까지만해도 비중이 높던 성악곡이 줄고 오페라 형식으로 희극, 비극, 코미디 등 다양한 문학적 내용과 더불어 무용과 성악, 연기가 함께 어우러진 종합예술로 발전되며, 바로크 시기에 생겨난 소나타, 협주곡, 실내악곡, 교향곡 등 기악곡이 완벽하게 그 면모를 갖추게 되었으며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클라리넷, 플루트 등 악기의 개량과 함께 전무후무한 곡들이 탄생하게 됩니다.
학문 /
음악
23.07.04
0
0
발해의 음악 발해악은 어떤 노래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발해의 태상시에서 악공과 악사 , 교방여기들에 의해 연주되었던 음악입니다.발해의 국립 음악기관인 태상시의 사신으로 갔던 기진몽 일행이 740년 정월 발해의 음악을 연주한 것이 발해 음악에 관한 최초 기록이며 이 연주를 계기로 발해의 궁중음악이 왜에 알려졌을 것으로 추정합니다.발해 음악이 일본 조정에 전해져 최초로 연주된 것은 749년 , 당시 일본의 대사찰이었던 도다이지에서 개최된 불교 법회에서이며 이 기록을 통해 발해서 발해의 사신들을 성대하게 맞이할때 자주 공연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03
0
0
로또 복권이란 이름은 어디에서 따온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lotto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행운'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3
0
0
복권의 시초는 어디서부터 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복권은 2200년도 더 된 중국 진나라에서 만리장성 축조 비용을 마련하고자 발행했다는 기록이 있고, 로마시대나 아랍에서도 기원전에 비슷한 것을 만든 기록이 있습니다.우리나라의 경우 1947년 12월 발행한 1948년 런던올림픽 참가 비용을 모으기 위해 만들어진 올림픽 후원권 입니다.
학문 /
역사
23.07.03
0
0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사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 신문사는 조선일보입니다.조선일보는 1920년 일제강점기 중 문화 통치기에 언론 탄압이 완화되었을 때 첫 발간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3
0
0
퀴어축제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퀴어문화축제는 대한민국에서 열리는 프라이드 퍼레이드 형식의 성소수자 축제입니다.대한민국 최초의 퀴어문화축제는 서울에서 시작되었으며 당시 2000년 9월 8일에 시작되어 9월9일 마무리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3
0
0
전화위복은 어떻게 생겨난 사자성어 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국시대 합종책으로 6국 , 곧 한, 위, 조, 연, 제, 초의 재상을 겸임했던 종횡가 소진은 이런말을 한 적이 있다. '옛날에 일을 잘 처리했던 사람은 화를 바꾸어 복이 되게 했고, 실패한 것을 바꾸어 공이 되게 했다.' 어떤 불행한 일이라도 끊임업슨 노력과 강인한 의지로 힘쓰면 불행을 행복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다는 말이다.-사기 관안열전-
학문 /
역사
23.07.03
0
0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사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은 세계 전체를 이해할수 없으니 분류를 해야하고, 이를 위해 질료가 필요하게 되며 먼저 작은 섬 전체를 이해하고 이것을 단위로 세계 전체로 확장한다는 것입니다.
학문 /
철학
23.07.03
0
0
torchbearer를 우리말로는 무어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토치베어러는 우리말로는 횃불을 드는 사람 정도로 사용됩니다.이 외에 계몽가, 문명의 선구자 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03
0
0
1009
1010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