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는 왜 태어나자마자 한살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화권에서 건너온 나이셈법으로 과거에는 직접적, 간접적으로 중화 문명의 영향에 노출되어있던 동아시아의 중국, 한국, 북한, 일본, 몽골, 만주 , 베트남 등지에서 사용되었으나 지금까지 이 셈법을 민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나라는 한국 뿐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윤이상 작곡가는 어떤 업적이나 성과를 세우신 분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윤이상 작곡가는 14세때부터 독학으로 작곡을 시작, 1935년 일본 오사카 음악학교에 입학해 정식으로 작곡과 음악이론, 첼로 등을 배우고 잠시 귀국한 뒤 다시 1939년 일본에 건너가 이케노우치 토모지로우로부터 작곡을 공부했습니다.1943년 항일지하활동에 참가한 이유로 감금을 당하기도 했고 해방 후 1952년까지 통영과 부산에서 음악교사로 재직, 1949년 고풍의상, 달무리, 추천 등이 수록된 가곡집 달무리를 출판, 1953년 서울로 이주해 경희대, 숙명여대, 덕성여대 등 후진을 양성하며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습니다.1956년 프랑스로 건너가 1957년까지 프랑스 파리 국립고등음악원에서 작곡과 음악이론을 공부, 다시 독일로 가 베를린음악대학에서 작곡을 전공한 후, 1959년 동대학을 졸업했습니다.돌업과 동시에 네덜란드의 빌토벤과 독일의 다름슈타트 현대음악제에서 피아노를 위한 다섯개의 소품, 일곱 악기를 위한 음악 이 초연되어 호평을 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독일에 체류, 유럽 각지에서 활동을 하다 1964년 독일 포드기금회의 요청으로 베를린에 정착합니다.1965년 오라토리오 오, 연꽃속의 진주여 와 1966년 독일의 도나우싱엔 현대음악제에서 대편성 관현악곡 예악 을 발표, 국제적인 작곡가로 주목을 받게 되었고 1965년 현악 4중주 1번과 피아노 3중주로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했습니다.1967년 동베를린 사건에 연유되어 2년간 복역, 1969년 다시 독일로 가 1970년부터 1971년까지 하노버 음악대학에서 작곡을 가르쳤고, 1971년 독일 국적을 취득, 1972년 뮌헨 올림픽 문화행사의 일환으로 위촉받은 오페라 심청 의 대성공으로 세계적인 작곡가라는 명성을 얻었습니다.1977년부터 1987년까지 베를린 음악대학 교수를 역임, 1985년 튀빙겐 대학으로부터 명예박사학위를 수여, 1970년 킬 문화상, 1987년 독일연방공화국 대공로 훈장 수여받았습니다.유럽의 평론가들에 의해 20세기의 중요 작곡가 56인 , 유럽에 현존하는 5대 작곡가로 선정되었고 1995년 독일 자아브뤼겐 방송이 선정한 20세기 100년간을 통틀어 가장 중요한 작곡가 30인의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습니다.1990년 10월 평양에서 개최된 범민족 통일음악제 의 준비 위원장으로 일하면서 남북한 합동공연을 성사, 사망전까지 함부르크와 베를린 아카데미 회원 및 국제현대음악협회의 명예회원으로 활동했습니다.작품으로는 유동의 꿈, 나비의 미망인, 요정의 사랑, 심청 등의 네 편의 오페라와 바라, 무악, 예악, 광주여 영원히 등 20여편의 관현악곡, 오보에와 첼로를 위한 동서의 단편 등 40여 편의 실내악곡, 나의 땅, 나의 민족이여! 등의 교성곡, 동요에서 오페라에 이르기까지 1백 50여편을 남겼습니다.
학문 /
음악
23.06.27
0
0
신석기 시대 유물 중 발찌나 팔찌, 목걸이 등도 발견되는데 당시에도 미적 요소로 사용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석기 시대의 장신구는 미적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고, 사람이 죽으면 장신구로 꾸며 주면서 저세상에서 편안하게 살기를 기원하기도 했습니다.
학문 /
미술
23.06.27
0
0
세계 최초의 여자 대통령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은 아르헨티나의 이사벨 페론으로 1973년 대통령 선거에 남편 J.D페론의 부통령으로 지명되어 남편이 대통령에 당선되자 부통령이 되었고 남편이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청나라에서 일어났던 태평천국운동은 무슨 운동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청 말기 홍수전이 창시한 그리스도교 비밀 결사대를 토대로 1851년 ~1864년까지 청조 타도와 새 왕조 건설을 목적으로 일어난 혁명성을 지닌 농민운동입니다.청 말기 인구가 급증하고 은값이 오르자 향촌 사회의 불안과 갈등이 증폭되었고 아편전쟁 패배 뒤 상하이가 개항하자 대외 무역의 독점을 누리던 광저우와 연결된 교역로가 불황에 빠지면서 실업자가 된 운송사업자와 전쟁 뒤 해산된 지방군, 영국 해군에 쫓겨 광둥과 광시의 내륙으로 들어온 해적들로 사회 불만이 가중되었습니다.명조 회복의 기치를 내건 비밀 결사 천지회의 반란으로 혼란이 더욱 심화되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광둥성에 유입해 온 커자와 먼저 이주해온 한족 본지인 사이에 1840년 중반이후 집단적 분쟁이 끊임없이 일어났고 태평 천국은 그리스도교를 표방하고 농지의 균등 분배, 남녀 평등, 사회 악습의 철폐와 멸만 흥한을 부르짖어 전폭적인 대중의 지지를 얻은 청나라 말기 일어난 대농민 반란으로 청조에 심각한 타격을 주어 한인 관료의 대두를 촉진시키고 그 뒤 중국 혁명 운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6.25 당시 가평전투라고 있었다는데 어떤 전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전쟁 때인 1951년 4월 경기도 가평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입니다.1951년 4월 23일부터 4월 25일까지 경기도 가평 일대에서 영연방 제 27여단이 중국군과 벌인 전투로 중국군이 사창리 전투에서 국군 제 6사단의 방어선을 뚫고 남하해오자 영연방 제 27여단은 중국군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가평의 북면 일대에 방어선을 편성했고 중국군이 가평을 점령해 서울과 춘천을 잇는 국도를 따라 남하해오면 서부전선의 유엔군이 측면에서 협공을 당할 위험이 있었기 때문입니다.영연방 제 27여단은 사창리에서 가평으로 이어지는 도로 인근의 고지들에 병력을 배치, 중국군의 진격을 차단하려했고 도로 서쪽인 북면 이곡리의 677고지에 캐나다 대대를 배치, 가평천과 화악천이 합류하는 도로 동쪽의 북면 목동리의 504고지에 호주 대대를 배치합니다. 그리고 미들섹스 연대 제 1대대로 구성된 영국군 1개 대대를 예비부대로 편성합니다.4월 23일 밤부터 국군 제 6사단을 추격해 남하해온 중국군 제 118사단이 도로와 계곡을 따라 가평 방면으로 접근해왔고, 중국군은 그날 밤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호주 대대가 지키는 목동리의 504고지에 공격을 가해왔지만 호주 대대는 고립된 상태에서도 진지를 사수하며 중국군의 진격을 저지했고 , 4월 24일 날이 밝은 뒤 중국군이 공격을 멈추고 물러나자 추격해 40여명의 중국군을 포로로 잡았습니다.그러나 호주 대대는 전투에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 중국군에 퇴로가 차단된 채 포위될 위험이 있었으므로 4월 24일 영국군 대대의 후방으로 철수하자 중국군은 그날 밤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캐나다 대대가 지키는 677고지 방면으로 집중공격을 했고, 밤새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으나 영연방 제 27여단은 중국군의 공격을 물리치고 고지를 지키는데 성공합니다.4월 25일 중국군이 공격을 멈추고 철수, 영연방 제 27여단은 그날 밤 미 제 5기병연대와 임무를 교대하고 양평으로 철수해 부대를 정비, 영연방 제1사단의 창설 계획에 따라 영연방 제 28여단으로 재편되었고, 가평 전투에서 중국군은 사망자 1천여명에 이르는 손실을 입고서도 목표를 이루지 못했으며 이 전투에서 호주 대대는 32명이 전사, 3명 실종, 59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캐나다 대대는 10인이 전사자, 23인의 부상자 발생, 미 전차부대와 뉴질랜드 포병부대에도 5명의 전사자, 17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가평전투에서 영연방 제 27여단이 3일동안 중국군의 남하를 저지하면서 유엔군은 북한강을 경계로 방어선을 구축할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수 있었고, 서울에서 춘천을 잇는 도로를 지켜내 전선을 분할하려는 중국군의 계획을 무너뜨릴수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우리나라 전통놀이 중 비석치기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석치기의 비석에는 두가지 설이 있으며 날 비에 돌 석으로 돌을 날려치는 놀이라는 뜻과 무덤이나 기념을 하기 위한 비석, 돌기둥 비에 돌 석 , 비석을 친다라는 설이 있습니다.전자의 경우 돌을 날려서 친다는 개념이지만 , 후자의 경우 과거 권력층, 부유층이 자신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송덕비를 세우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송덕비의 경우 원래 조정에서 심사해 고장에 세우는게 일반적이나 지역민을 협박하거나 재물을 들여 억지로 송덕비를 세우는 경우가 있었고, 이런 경우 서민들은 지나가면서 이 비석에 발길질을 하거나 돌을 던지면서 울분을 푸는 것에서 비석치기가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심리적용어로 가스라이팅은 어디에서 유래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스라이팅은 정신적 학대를 일컫는 용어로 , 1938년 패트릭 해밀턴 작가가 연출한 스릴러 연극인 가스등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편의점,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즉석식품 햇반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CJ에서 1996년 말 출시되었고 초창기 한국시장에 이런 형태의 무균 즉석 밥 햇반이 최초였으며 오랜 기간동안 경쟁 상품이 없었습니다.밀몽한 후 가열하는 레토르트 식품과는 달리 밥을 짓고 밀봉한 후 재가열을 하지 않는 공정을 채택했고 지은 밥을 재가열하면 맛이 변해버리기 때문으로, 밀봉직전에 공기 중에 제조중인 제품이 그대로 노출되는 것은 피할수없으므로 이 과정에서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병원 무균실 이상으로 반도체 공장에 적용되는 수준의 클린룸을 도입했으며 , 이를 위해 100억 이상의 투자가 필요해 당시 회사에서도 다른회사들처럼 레토르트 즉석 밥을 내놓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결국 진행시켰고, 이것이 신의 한수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고대 동서양세계에서 보라색은 고귀함 명예등의 지위를 나타내는 색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세계에서 보라색은 동서양에서 황제, 권위, 명성, 존엄성을 나타내는 색이었습니다.천연물에서 자색 염료를 추출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고 까다로워 가격이 비쌌고, 결과적으로 보라색 염료로 물들인 옷은 지체 높고 부유한 사람들만 입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1036
1037
1038
1039
1040
1041
1042
1043
1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