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삼국지는 실제 있었던 역사를 적어놓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지는 중국의 2세기 말 ~ 3세기 말 후한 말기와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서 정사 삼국지, 역사소설 삼국지연의를 말하며, 진수가 쓴 역사서 정사 삼국지, 나관중이 쓴 역사소설 삼국지연의로 나뉩니다.이 둘은 이야기의 큰 줄기는 같지만 세세한 부분은 서로 다른 부분이 많으며 중국의 서기 184년 후한의 쇠퇴와 황건적의 난으로 인한 군웅할거 시대부터 사마염이 건국한 서진이 중국을 통일한 280년까지 있던 역사를 다룬 책으로 이것의 소설판인 삼국지연의는 중국 4대 기서 입니다. 정사는 말 그대로 정확한 사실의 역사기록, 연의는 소설이므로 실제 역사를 토대로 쓴 역사소설입니다.
학문 /
역사
23.06.17
0
0
조선시대 이전에도 서울이 수도였던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반도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서울이 수도역할을 시작한 것은 백제시대로, 백제는 이곳에 북한성, 위례성을 쌓고 첫 수도로 삼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7
0
0
온조가 만든 십제와 백제는 무슨뜻의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제의 시조 온조가 처음 남쪽으로 내려올때 오간, 마려 등 열 사람의 신하가 따라왔다 하여 국호를 십제하고 했다가 뒤에 백성들이 즐겁게 따랐다고 하여 백제라고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7
0
0
농심 삼양 육개장 디자인이 비슷한 이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농심 육개장은 출시부터 일본의 컵면 형태로 최초 출시했던 삼양 식품의 겁라면과 차별화를 두기 위해 한국인에게 친숙한 국사발 모양을 본떠 사발면이라는 컨셉으로 한국적인 식사 문화를 살렸습니다.삼양 육개장은 농심 육개장의 디자인을 대놓고 배꼈기 때문에 잘 모르고 사는 사람이 많습니다.
학문 /
미술
23.06.17
0
0
중국에서 관우를 신으로 모시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 상인들은 삼국지의 최고 무장 관우를 재물의 신으로 숭상합니다. 관우의 고향이 산시성인데 산시성은 명, 청조 상인의 대명사인 진상의 본거지였으며 아마 진상들이 먼 곳에서 장사를 떠나며 관우가 보호해주길 바라며 신으로 모신것으로 추정합니다.관우는 생전에 이재에 매우 밝고 회계 업무에 뛰어났으며 필기법을 설계해 일청부를 발명했으며 후대 상인들이 이 계산방식을 사용, 관우가 회계 전문가라고 인정했습니다.또 관우는 상인들이 매우 중시하는 신의를 갖추었으며, 전설에 따르면 관우가 죽은 뒤 진신으로 다시 돌아와 전쟁을 도와주어 승리를 얻었는데 상인들은 언젠가 사업이 좌절되었을 때 관우처럼 재기하여 최후의 성공을 얻기를 희망했으며 이러한 신앙은 청대 숭배로 성행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6.17
0
0
실존주의 철학에 관심이 많습니다. 실존주의와 관련이 있는 문학작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르트르의 구토, 카뮈의 이방인, 페스트, 카프카의 변신 등이 실존주의 문학에 대표 작품입니다.
학문 /
철학
23.06.17
0
0
와인을 마시는 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메소포타미아 시대부터 와인을 식사에 곁들이거나 요리에 사용, 이는 현재 서양 음식 문화의 기본이 되었습니다.다만 포도라는 과실이 당과 효모를 동시에 지녀 자연발효를 통해 와인이 되기에 어디서 누가 처음 만들어 먹었는지 추정하기는 힘들며, 지구상에서 인류가 처음 나타난 것이 약 200만년 전이라 추정하는데 포도는 인류가 탄생하기 훨씬 전인 약 700만년 전부터 있었기 때문에 포도주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보다 앞선다고 할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7
0
0
을파소의 진대법은 어떤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로 실시된 빈민 구제제도로, 진대법을 주장한 것은 을파소입니다.이는 봄부터 가을까지 곡식을 대여하였다가 수확을 한 겨울에 갚게 하는 제도로, 진은 흉년에 기아민에게 곡식을 나누어주고, 대는 봄에 미곡을 대여하였다가 가을에 추수 뒤 회수한다는 뜻이므로 진대는 흉년이나 춘궁기에 농민에게 양속을 대여 하는 것을 말합니다.
학문 /
역사
23.06.17
0
0
삼국시대에서 신라에 불교를 전파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의 불교에 대한 전래 기록으로는 제 13대 미추왕 2년에 고구려의 승려 아도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가 모례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 때 승려 아도가 시자 3인과 같이 모례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는 알수 없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7
0
0
거문고를 현학금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의 사람 왕산악이 현금곡을 지어 연주하는데 검은 학이 날아와 춤을 추었다고 하여 그 악기 이름을 현학금으로 지었다고 합니다.
학문 /
음악
23.06.17
0
0
1081
1082
1083
1084
1085
1086
1087
1088
1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