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에 있었다는 선잠단은 무엇을 하던 곳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잠은 누에치기를 처음 시작했다는 중국 고대 황제의 비 서릉씨를 잠신으로 하여 누에농사 풍년을 빌었다는데서 유래합니다.우리나라에서 선잠은 선잠단 설치 이후 매년 3월 뱀날에 제사를 지냈고 1908년 7월 이후 잠신의 신위를 사직단으로 옮겼습니다.조선시대 농서를 보면 잠신에 대한 제사는 일반 양잠농가에서도 시행, 제일은 정월 5일이며 잠실의 정남향 쪽에 잠신을 모시고 떡과 차, 향을 갖추어 제사를 지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조선시대에 홍살문은 무엇을 나타내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시대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고려시대를 거쳐 유교국가인 조선시대에 많이 만들어진 나무 건축물로 출입문의 역할을 했지만 출입의 기능보다 상징성이 더 중요시 되었던 문 입니다.주변에 담장이 없어 방어를 하거나 출입을 통제하는 목적은 없었습니다.홍살문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은 기둥의 색을 붉은색으로 칠했고 상부에 설치한 화살 모양의 나무살 때문으로 붉은색은 악귀를 물리치고 화살은 나쁜 액운을 화살 또는 삼지창으로 공격한다는 의미를 가진것으로 여깁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은 어떤 겁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은 봉정사 극락전으로 1200년대 초 추정됩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독립 영화의 기준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립은 자본으로부터의 독립, 영화 흥행의 결과로 제작비를 상회하는 수익을 목표로 하는 영화 자본과는 별도로 감독의 자체 제작 혹은 비상업적 자본에 의해 제작되며 때로 관객들로부터 직접 모금하거나 공익적 기금을 이용합니다.또한 상업 영화의 지배적인 내러티브로부터의 독립으로 상업영화가 제작비 회수는 물론 초과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마케팅 관점에서 유리한 영화 내용을 전개키시는데 반해 독립 영화는 제작자나 감독의 주제의식을 표출하기 위한 대안적인 내용과 형식을 담아냅니다.
학문 /
미술
23.06.13
0
0
조선시대에는 기름기있는 설거지를 어떻게 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주로 쌀뜨물을 세제처럼 이용해 설거지를 했습니다.또한 잡곡가루, 수세미가 나오는 계절에 수세미로 닦거나 그 잎을 이용해 설거지를 했으며 짚단을 수세미 대용으로 사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우리나라에 유네스코 지정된 문화재 몇 개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세계 유산으로는 석굴암 과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화성,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과 화순과 강화 고인돌 유적,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 조선왕릉, 한국의역사마을:하회와양동, 남한산성, 백제역사유적지구,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한국의 서원, 한국의 갯벌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6.13
0
0
달력은 누가 처음 만들었고 언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금의 달력은 1582년 경 그 기초가 만들어졌으며 당시 로마 교황인 그레고리의 이름을 따라 그레고리력이라 부릅니다.
학문 /
미술
23.06.13
0
0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 자세의 의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옥에 스스로의 몸을 내던지기 전 자신의 삶과 운명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인간의 내면세계를 팽팽한 긴장감과 사실성으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학문 /
미술
23.06.13
0
0
우리나라에는 언제 포도를 처음 재배,먹기 시작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 포도가 언제 전파되었는지 정확히 알수 없으나 신라 시대 와당의 포도 문양 등을 고려하면 삼국시대에 이미 포도를 도입한 것으로 보여집니다.당시 먼저 포도가 도입되어 재배되었던 중국 산동지역과 활발히 교역하던 중 삼국시대에 도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않았나 추정됩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연주곡 중에 '엘리제를 위하여'라는 유명한 곡이 있는데, 여기서 엘레제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엘리지개 누구인지 현재까지도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독일의 음악학자 막스 웅거는 베토벤의 필체를 비교하며 루트비히 놀이 편곡할 때 베토벤의 친구이자 베토벤의 연인 중 하나이던 테레제 말파티남작의 부인의 Therese를 베토벤의 악필로 인해 Elise로 잘못 옮겨 적었다고 추측했지만 현재는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또 다른 추정은 요한 네포모크 후멜의 아내이면서 베토벤의 또 다른 친구이기도 했던 엘리자베트 뢰켈의 별명 중 하나가 바로 엘리제라는 것이나 후에 오스트리아의 음악학자 미하엘 로렌츠가 루트비히 놀이 1851년 루돌프 샤흐너에게 베토벤의 자필 악보를 인계하면서 악보가 테레제 남작 부인으로 전해졌다고 설명했다는 것을 밝혀낸 후로 이 추정은 설득력을 잃게 됩니다.이 외에도 테레제의 애칭이었다는 설, 멜로디에서 따왔다는 설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6.13
0
0
1099
1100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