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때 영어 학습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종은 영어가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육영공원을 설치, 고종의 요청으로 미국정부에서는 일류대를 졸업한 원어민 교사 세명을 보냅니다.모든 수업을 원어민이 영어로하고 영어 원서로 사회, 지리, 과학 등을 가르쳤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가디건은 전쟁 때 부상병이 입은 옷이 기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디건은 영국의 카디건 백작에서 유래되었습니다.본명은 제임스 토머스 부루드 넬 이며 이는 백작이라는 칭호를 세습받아 카디건 백작이라 불렸습니다.1853년 크림전쟁 시 제임스 부르드넬이 이끄는 부대가 전쟁에 참여하게 되는데 그때 카디건 백작이 이끄는 기병 부대가 러시아를 상대로 혈전을 벌여 승리하게 되며 카디건 백작은 옷을 잘입고 멋스러운 사람으로 유명해 그의 패션을 보고 군인들이 따라하기 시작했습니다.영국에서 가장 부유한 가문 중 하나인 카디건 백작은 전쟁 이후 사교계를 다니며 승마, 조정 등의 귀족적 취미를 즐기며 보온성이 높은 자신이 만든 니트를 고안해 가디건을 만들어 입고 다녔고, 자신의 부대에 호화군복을 사비를 들여 만들어 전부대원들에게 고급장비를 보급했습니다.그때 가디건도 함께 보급되었고 다시 전투에서 승리하게 됩니다. 그가 입었던 가디건과 군복이 호화롭고 멋져 이후에도 군대에서 꾸준히 보급되었고 1882년 영어사전에 등장된 카디건은 실제 조정 경기를 할 때 보온성을 위해 상의의 조끼형식으로 만들어졌다고 보고 됩니다.풀오버 스웨터라고 부르며 통으로 짠 것을 옷을 쉽게 벗게 하기 위해 단추를 넣은 것이 시초가 되어 1925년부터 정식 명칭으로 카드건이라 했으며 부상병을 치료하는데도 편했던 가디건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한국 최초의 미술관은 어떤 것이며 어디에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의 국립미술관은 1969년 개관한 국립현대 미술관이며 최초 근대 사립 미술관은 1938년 개관한 간송미술관 입니다.
학문 /
미술
23.06.13
0
0
사극에서 나오는 사서오경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서오경은 유가의 경전으로 사서는 논어, 맹자, 대학, 중용을 일컫고 오경은 시경, 서경, 역경의 삼경과 춘추 , 예기를 말합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한옥은 언제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지어졌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옥은 석기시대 막집, 움집같은 수혈식 구조에서 시작되었으며 역사 시대 까지도 마한은 비슷한 형태의 주거가 이뤄졌다고 하며 다른 지역에서는 가야의 고상 가옥, 만주같은 북부에서는 구들이 사용된 원초적 한옥구조들이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우리나라 의서에는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의서에는 향 약제생집성방, 향약채취월령, 향약집성방 , 의방유취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민주주의의 창시는 누구에 의해 생긴개념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민주주의는 기원전 5세기 무렵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인 아테나이를 중심으로 한 아티키에서 시작된 정치 체제이며 세계 최초 의 민주주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원'이라는 화폐단위를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1962년 6월 12일 단행된 통화개혁을 이래로 지금까지 한국 돈 단위 원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조선시대 사약은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졌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약의 제조는 내의원에서 담당했지만 제조법은 비밀에 부쳐져 성분을 확실하게 밝혀주는 문헌 기록이 없어 정확한 제조법은 알려진 것이 없습니다.또한 사약이 한순간에만 존재한 것이 아니라 계속 전해지다보니 지역별로 사약에 들어간다는 성분에 대해 주장이 다르며 기본적으로 주장되는 주성분은 독이 있는 나무에서 추출한 독 정도 입니다.예로 사약을 먹으면 온 몸에 열이 나서 죽는다는 말이 있어 열을 내는 성질을 가진 부자 계열의 약재를 넣었을 것이라 추즉, 부자는 투구꽃에서 추출하는 약입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1498년 연산군 시절있었던 '무오사화'가 발생하게 된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종은 조선건국 이후 중앙의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훈구세력을 견제하고 당시의 사회개혁을 위해 김종직을 비롯한 신진사류를 등용했는데 이들의 절의를 중시하여 단종을 폐위하고 살해한 세조와 그의 공신들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으며 세조의 공신들을 제거하고자 계속 상소했습니다 . 반격을 노리던 훈구파는 성종에 이어 연산군이 즉위해 성종실록을 편찬하기 위해 실록청을 설치하고 이극돈을 당상관으로 임명하자 신진사류였던 김일손이 기초한 사초를 문제삼았으며 그것은 그의 스승이었던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으로 중국사에서 항우가 초나라의 의제를 폐한 것과 단종을 폐위하여 죽ㅇ니 사건을 비유, 단종을 조위한 글이었습니다.이극돈은 세조의 신임을 받았던 유자광, 노사신, 윤필상 등과 모의 , 김종직이 세조를 비방한 것은 대역부도한 행위라고 계를 올렸고 이에 연산군은 이 사건이 모두 김종직의 교사에 의한 것으로 결론짓고 우선 김종직을 대역죄로 부관참시하고 김일손을 비롯한 많은 신진사류를 죽이거나 유배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3
0
0
1099
1100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