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훈민정음 해래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훈민정음 이라는 문자 체계의 사용 방법을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책입니다.한글이 어떤 원리를 바탕으로 해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는가에 대한 설명이 실려있습니다.초간본은 원본으로 여겨지는 해례본이자 최초 발견된 것으로 1940년대 경상북도 안동에서 발견된 후 간송 전형필이 입수해 현재 간송미술관에서 보관중입니다.
학문 /
미술
23.06.03
0
0
바둑은 우리나가 최고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둑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중국 고대 요 임금이 망나니였던 자신의 아들의 수양을 시키기위해 만들었다는 설이 있으며 요임금은 신화적 인물이므로 실존인물인지 의심스러우나 적어도 춘추시대에 바둑이 존재하는 것은 확실합니다.가장 유력한 것은 상나라 중기~ 주나라 초 시절 이미 원시적 바둑이 나왔다는 것으로 사마천의 사기나 춘추시대 관련 기록을 보면 늦어도 주나라 초기 시절에 바둑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학문 /
역사
23.06.03
0
0
폴 고갱은 인종차별주의자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타이티는 고갱의 안식처이자 동경의 대상이었고 작품의 영감과 쾌락을 주는 곳이었으나 파리생활에 익숙했던 그가 평생 살만한 곳은 아니었으며 그는 타이티 생활 몇달만에 고독과 향수를 느끼며 돈도 떨어져 다시 프랑스로 돌아갑니다.2년 여의 타이티 생활 동안 그린 그림들이 파리의 미술계에 충분한 반응을 일으킬것이라 예상하나 현실은 녹녹치 않았고, 제목에 붙은 타이티어를 보고 평론가들은 유치한 것이라 비난까지 합니다.인도와 말레이 혼혈 여성 안나 라 자바네즈를 모델 겸 애인으로 삼아 새로운 창작욕구를 불태우나 이 여성과도 여러 문제로 관계가 파탄나고 전시회 등의 실패로 좌절을 느끼며 다시 타이티로 돌아갑니다.다시 돌아간 타이티 생활은 궁핍, 좌충우돌이었으니 정치싸움에 끼어들어 타이티에 건너온 중국인들을 비난하는 글을 기고하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03
0
0
중동전쟁이 일어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랍, 이스라엘 대립은 팔레스타인 문제로 1917년 발포아 선언 이후 아랍, 유대인 대립을 배경으로 하며 그 아랍민족과 유대인 이주자의 대립은 제 2차 세계대전 후 국제연합은 팔레스타인 지방에 유대인 국가와 아랍인 국가의 독립을 인정하는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를 채택합니다.유대인측은 이를 수락해 1948년 5월 이스라엘 건국을 선언했는데 이를 인정하지 않는 아랍국가가 이스라엘에 침공해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03
0
0
전봉준을 왜 목두장군이라고 불리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봉준은 유난히 키가 작아 5척 정도였고 성인이 되어서도 녹두 라는 별명을 들었으며 녹두 장군도 여기서 유래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03
0
0
‘나는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라고 한 철학자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는 프랑스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 철학의 제1명제 입니다.
학문 /
철학
23.06.03
0
0
음악 장르중에 '아카펠라'라는 장르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되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카펠라는 이탈리아어로 교회당에서 하는 방식으로 라는 뜻이며 중세 교회 음악에서 출발해 르네상스 시대까지 교회의 성가대가 반주 없이 복잡한 다성 찬송가를 부르던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6.03
0
0
공자와 관련된 도서를 읽다가 절차탁마(切磋琢磨)라는 사자성어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정확히 어떤 뜻인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옥돌을 자르고 줄로 쓸고 끌로 쪼고 갈아 빛을 내다라는 뜻으로 학문이나 인격을 갈고 닦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학문 /
철학
23.06.03
0
0
고려 훈요10조에 대해 자세한 내용이 궁금해서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훈요19조 내용으로는 국가의 대업이 제불의 호위와 지덕에 힘입었으니 불교를 잘 위할 것, 사사의 쟁탈.남조를 금할것, 왕위계승은 적자적손을 원칙으로 하되 장자가 불초할 때에는 인망있는 자가 대통을 이을 것, 거란과 같은 야만국의 풍속을 배격할 것, 서경을 중시할 것, 연회등 .팔관회 등의 중요한 행사를 소홀히 다루지 말 것, 왕이 된 자는 공평하게 일을 처리하여 민심을 얻을 것, 차현이남의 공주강외는 산형지세가 배역하니 그 지방의 사람을 등용하지 말 것, 백관의 기록을 공평히 정해줄 것, 널리 경사를 보아 지금을 경계할 것 입니다.내용이 사서에 실린 후 식자간에 널리 알려져 후일 흔히 군왕을 간하는 신하들의 전거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03
0
0
1900년 활빈당은 어떤 사람들로 구성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개화과정의 경제정책과 , 열강, 일본에 의한 경제적 침략으로 몰락한 이들이 주축이 되었으며, 직업적으로는 농민, 장사꾼, 승려, 머슴, 거지, 병정, 포수, 관노, 훈장, 돌팔이 의사, 광산 노동자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있었습니다.자연 평등의 실현과 사회빈부 격차의 타파 등을 목표로 하였고 국가의 혁신이라는 혁명적 사상도 주장했으며 구국안민 대책으로 다른 나라로의 곡물 수출 금지와 국내 시장의 외국 상인 출입 금지 등을 주장했습니다.철도 부설권을 외국인에게 허락하지 말라는 자주적 입장을 강조, 자신들의 이상형이 중앙 정계에서 관철될 가능성이 희작해지자 폭력으로 대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03
0
0
1117
1118
1119
1120
1121
1122
1123
1124
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