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 내시는 연애도 불가능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내시의 경우 철저한 신분제 사회에서 유일하게 평민이나 천민이 출세하는 길이었고 노후도 보장되어있으니 내시가 되길 원했습니다.조선시대 내시들은 대부분 결혼을 했고, 평민 뿐 아니라 사대부의 규수들과도 결혼했는데 이는 환관을 통해 권력을 잡기 위해서 가능했습니다.또, 대를 이을수 없어 양자를 들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정묘호란이 일어난 이유와 전개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616년 여진족이 만주에서 건국한 후금은 광해군의 적절한 외교정책으로 큰 마찰없이 지냈으나 광해군의 뒤를 이은 인조가 금나라를 배척하는 향명배금 정책을 표방하고 랴오둥을 수복하려는 모문룡 휘하의 명나라 군대를 평북 철산의 가도에 주둔하는 것을 허락하고 군사원조까지 하고 나서자 명나라를 치기 위해 중국 본토로 진입하려던 후금은 배후를 위협하는 조선을 먼저 정복해 후환을 없앨 필요가 있었으며 후금은 명나라와의 싸움으로 경제교류의 길이 끊겨 심각한 물자부족에 시달려 이를 조선과의 통교로써 타개해야 할 처지였습니다. 마침 반란을 일으켰다가 후금으로 달아난 이괄의 잔당들이 광해군은 부당하게 폐위되었다고 호소하고 조선의 군세가 약하니 속히 조선을 칠 것을 종용해 후금 태종은 더욱 결전의 뜻을 굳히게 됩니다.1627년 1월 아민이 이끄는 3만의 후금군은 앞서 항복한 강홍립 등 조선인을 길잡이로 삼아 압록강을 건너 의주를 공략, 용천, 선천을 거쳐 청천강을 넘었습니다.그들은 전왕 광해군을 위해 원수를 갚는다는 명분으로 진군해 안주, 평산, 평양을 점령하고 황주를 장악했으며 조선에서는 장만을 도원수로 삼아 싸우나 평산에서부터 후퇴를 거듭, 그 본진이 개성으로 후퇴했고 인조 이하 조신들은 강화도로 피신하고 소현세자는 전주로 피란합니다.황주에 이른 후금군은 2월 9일 부장 유해를 강화도에 보내 명나라의 연호 천계를 쓰지 말것, 왕자를 인질로 할것 등의 조건으로 화의를 교섭하게 했습니다.이에 양측은 화약 후 후금군은 즉시 철병할 것, 후금군은 철병 후 다시 압록강을 넘지 말것, 양국은 형제국으로 정할 것, 조선은 후금과 화약을 맺되 명나라와 적대하지 않을 것 등을 조건으로 정묘조약을 맺고 3월 3일 그 의식을 행하였습니다.이에 따라 조선측은 왕자 대신 종실인 원창군을 인질로 보내고 후금군도 철수합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소현세자는 어떤 인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은 이 , 이름은 왕이며 시호는 소현입니다. 조선의 제 16대 왕 인조의 맏아들로 태어나 어머니는 한준겸의 딸인 인열왕후 한씨이며 1627년 강석기의 딸 민회빈 강씨와 혼인해 경선군 이석철, 경완군 이석린, 경안군 이석견, 경숙군주, 경녕군주, 경순군주 등 3남 3녀를 두었습니다.소현세자는 1612년 음력 정월 4일에 태어나 1625년 정월에 왕세자로 봉해졌으며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났을 때 이원익, 신흠과 함께 전주에 내려가 분조의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무군사를 설치, 전쟁이 끝나자 강화도로 피신한 인조를 호위해 한양으로 돌아왔고 그해 12월 참의 강석기의 딸을 세자빈으로 맞이했습니다.1635년 모친인 인열왕후가 죽어 상을 치르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인조와 함께 남한산성으로 피신, 이듬해 2월 세자빈과 함께 인질이 되어 청나라의 수도였던 성경으로 끌려간 후 소현세자는 1640년 과 1644년 봄 인조의 병문안을 위해 잠시 귀국했을 때를 빼고 9년동안 청나라에 억류되어있었습니다.1644년 청나라가 산해관을 넘어 명나라의 수도인 베이징을 점령하자 그해 가을 베이징으로 옮겨졌고 1645년 음력 2월 억류에서 풀려나 귀국할수 있었습니다.소현세자는 청나라에 인질로 억류되어있으면서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외교 창구 역할을 했고 병자호란 당시 조선은 청나라에게 명나라와의 외교관계를 단절하고 청나라가 명나라를 정벌할때 지원군을 파병하겠다는 등의 약속을 했으나 오히려 친명배청의식이 강화되어 청나라와 자주 외교적 마찰을 빚었습니다. 소현세자는 청나라황제의 행사와 사냥 등에 참석해 청나라 고위인사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 조선인 포로의 속환문제와 청나라의 조선에 대한 병력 지원요구 등 여러 정치, 경제적 현안을 맡아 처리했습니다.베이징에 있을 때 독일의 예수회 선교사이자 천문학자인 아담 샬과 교류하며 천구의와 천문서, 천주상등을 선물받았고 당시 소현세자와 아담 샬이 주고 받은 편지 내용은 라틴어로 번역되어 전해지는데 그 편지에서 소현세자는 서학의 보급에 강한 의지를 드러내기도 합니다.1645년 음력 2월 귀국한 소현세자는 그해 음력 4월 26일 창경궁의 환경전에서 갑자기 죽었고 고양의 소경원에 매장되었습니다.조선왕조실록에 소현세자가 병이 갑자기 위독해져 죽었다고 기록되어있으나 진원군 이세완의 아내가 염습에 참여하고 나와 시신이 온통 검은 빛이었고 이목구비에서 모두 피를 흘리고 있어 마치 약물에 중독되어 죽은것 같았다는 증언을 남겼다는 내용이 있습니다.소현세자가 청나라에 억류되어있을 때 포로로 잡혀간 조선 사람들을 모집해 둔전을 경작해 곡식을 쌓아 두고 그것을 진기한 물품과 무역을 한 것을 인조가 못마땅하게 여겼고 인조에게 총애를 받던 소용 조씨가 세자와 세자빈을 헐뜯어 소현세자가 갑자기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실제 소현세자가 죽은 뒤에 인조는 세손인 이석철이 있는데도 소현세자의 동생 봉림대군을 세자로 삼았고 당시 영의정 김류 등 대신들이 반대했는데도 인조는 봉림대군을 세자로 봉했고 이듬해 1646년 소용 조씨를 저주하고 임금의 음식에 독을 넣었다는 혐의로 소현세자의 세자빈 강씨를 죽였으며 1647년 소현세자의 세 아들을 모두 제주로 유배보냈습니다.당시 12세와 8세였던 이석철과 이석린은 이듬해 제주도에서 죽었고 4세였던 이석견도 효종 때 1656년에야 유배에서 벗어날수 있었습니다.인조가 소현세자의 세자빈과 자식들에게도 무자비하게 대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소현세자의 갑작스런 죽음에 인조가 관련되어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이번에 개봉한 인어공주 영화의 여주인공을 왜 관객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캐스팅하지 않았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디즈니가 팬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캐스팅을 한 것은 시장 확장 전략으로 보고 있습니다.백인 중심의 캐릭터로는 시장 확장에 한계가 있을수 밖에 없어 유색인종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확장하려는 것입니다.예술적인 면에서 이는 지금 현재로는 많은 부정적인 반응들을 보이나, 다양한 유색인종이 등장함으로 많은 시장과 여러 방향의 확대 등으로 긍정적인 면이 드러날 것으로 기대합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우리나라 첫 올림픽 메달은 누가 땃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8년 런던올림픽에서 처음 참가한 하계올림픽에서 한국은 동메달 2개 (복싱 플라이급 한수안선수, 역도 미들급 김성집 선수)가 획득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김치를 만들어 먹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치 자체의 직접적인 유래는 추적하기 애매하나 단순한 야채 염장 음식은 대한민국의 상고시대부터이며 삼국지 위지동이전에 고구려에서 발효식품을 만들어 먹었다는 기록이 전해지며 정창원고문서에서 수수보리저 , 현재의 김치 비슷한 것을 만들어 일본에 보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조선시대의 용변후 뒤처리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백성들은 풀잎 , 지푸라기 등을 사용했습니다.왕은 비단으로 처리하였고 양반의 경우 물로 씻는 공간이 따로 있어 북수간 이라는 곳에서 씻었다고 전해집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드라마 대장금의 주인공 장금이는 실존인물이라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장금은 실존인물인 의녀 장금에 작가의 허구가 가미되어 탄생한 것입니다.실존인물 장금은 조선 중종대의 의녀이며 생몰년은 알려지지 않았고 조선왕조실록에 기록이 남아있습니다.의녀 장금이 처음 기록에 등장한 것은 중종 10년 1515년 입니다.인종이 태어날때 호산하여 공이 있었다는 기록과 중종으로부터 쌀과 콩을 포상으로 받았다는 기록 등이 전해집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조선시대에는 불을 어떻게 켰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돌을 수작업으로 깎아 만든 붓돌이 있습니다. 부싯돌로 불을 켜 불을 붙여서 부싯돌에 옮겨 붙은 불을 아궁이나 다른 곳에 옮겼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조선시대에 청나라를 오가는 조선의 사신을 연행사라고 불렀는데 연행사는 어떤 일을 주로 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청나라로 보낸 사신행차를 연행이라 했는데 이는 청나라의 수도가 심양에서 연경으로 옮겼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습니다.연행사는 매년 10월 말ㅇ리나 11월 초순에 출발해 그해 12월 안으로 연경에 도착해 40~60일 동안 머무른 뒤 2월 중 출발해 3우러 말이나 4월 초순에 귀국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새로운 학술, 학풍을 도입, 천주교와 서양 학문에 관한 서적을 들여왔습니다.이들은 여행 기간에 보고 들은 청나라의 역사, 문화, 사회, 사상, 풍속 등을 기록한 가사, 기행문, 일기 등을 남겨 국제 정치적 안목과 더불어 새로운 문화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1153
1154
1155
1156
1157
1158
1159
1160
1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