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스티유감옥 습격사건이 발생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랑스 왕권은 1789년 7월 11일 삼부회의 최고책임자인 네케르를 파면, 이 소식이 파리에 알려지자 혼란이 발생해 시민자들은 자위를 위해 성문을 굳게 닫고 각 가로에 바리케이드를 구축해 경계했으며 7월 14일 약 1만명의 시민이 시의 동부 요새이며 정치범을 수용하는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합니다.이는 격동과 혼란 속에 군주제 타도로 이어져 자연권과 자유, 평등, 박애의 원칙에 의거한 공화정이 수립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파산한 군주인 루이 16세가 170년 만에 처음으로 삼부회를 소집한 이후 일년간 긴장은 점차 고조되고있었고, 1789년 6월 20일 제3신분의 대표자들은 귀족이나 성직자가 아닌 이들을 말하며 폐회하려는 정부의 시도에 맞서 독립적인 정치 기구인 국민의회를 유지하기로 서약합니다.7월 12일 평민에 협조적이었던 재정장관 자크 네케르를 왕이 해임했다는 사실에 놀라 점점 더해가는 불안 상태가 보수주의 반동에 진압당할 것을 두려워한 상퀼로트들은 파리의 길거리로 나오게 되며 질서 유지의 임무를 맡은 가르드 프랑세즈 연대와의 사이에서 긴장이 높아갔고 7월 14일 시위대는 앵발리드에 강제 진입해 총기를 찾았으나 화약이 없었습니다.그 이후 약 1천명이 바스티유라 알려진 성으로 향하는데 바스티유는 전통적으로 정치점을 구금하는 장소였지만 그날에는 7명밖에 없었고 주로 위조범이나 광인들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인문학 책 중에서 편하게 읽히기 쉬운 것 추천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심보감 인문학, 1일 1페이지 지적교양을 위한 철학 수업, 고전의 향기, 고전 인문학 등이 있습니다.이 책들은 처음 인문학에 대해 알아볼때 주로 읽는 책들입니다.
학문 /
철학
23.05.20
0
0
청나라 황제들은 계속해서 만주어를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청나라의 정치체계는 주로 만한 두 민족으로 구성되어있었습니다. 청나라가 산해관을 넘어 북경에 자리잡은 후 조정의 관리들은 기본적으로 만주족이었기 때문에 청나라 초기 만주어가 조정의 언어였고 소수의 조정에 들어온 한족신하는 반드시 만주어를 익혀야했습니다.그러나 두 민족이 융합되는 과정에서 일방적인 학습만으로는 부족해 청나라의 황족들도 점점 한족문화를 익히기 시작합니다.어린 황제에게 이중언어교육을 필수였기 때문에 청나라 황제는 어려서부터 만한의 두가지 교육을 모두 받았고, 만주족 스승과 한족 스승을 두었으며 만주족스승은 주로 무공, 말타기, 활쏘기 등을 가르치고 한족스승은 문화를 가르쳤으며 언어도 만주어도 배우고 한어도 배워야했습니다.그래서 황제는 만주어와 한어를 다 할줄 알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오페르트 도굴사건이 당시 조선사회에 미친 영향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일의 상인이던 오페르트가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무덤을 도둘한 사건으로 이 사건을 통해 대원군은 서양에 대한 경계를 더욱 강화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과거제가 실력위주로 바뀐 이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는 각 지방별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가문들이 있었고 이들은 사병을 지니고 있는 등의 무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왕은 호족들의 눈치를 볼수밖에 없었습니다.중앙의 요직은 실력보다 가문이 차지하게 되고 이는 동시에 왕의 입지가 줄어드는 것으로 국론이 통일되지 못해 정치가 밥그릇 싸움이 되니 고려를 내부에서 망치게 만들었습니다.이를 본 고려의 신흥사대부들은 조선을 건국하면서 이 호족들을 약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여 과거제를 개편합니다.송나라처럼 과거제의 용도를 왕권강화와 지방 약화로 변경키는 것으로 국가 이념이 성리학이였으므로 송나라처엄 과거제를 실력에 따라 등용해 지방귀족들의 정치적 힘을 약화시켜 과거제에 합격한 인재들의 충성을 왕에게 향하도록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태평양도서국은 몇개 국가가 있는 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피지, 바누아투, 사모아, 통가, 마이크로네시아, 키리바시, 필라우, 니우에, 쿡제도, 마셜제도, 나우루 입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백관의 공복 제정에 대해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종 때 공복을 제정, (960년) 성종 때 유교적 특징에 따라 재정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잔다르크 실존 인물 인가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잔다르크는 실존인물로 프랑스 왕국 발루아 왕조 시대의 군인, 기사 입니다.프랑스의 구국영웅이자 가톨릭, 성공회 성인, 프랑스의 수호성인으로 평민 출신 잉글랜드 왕국과의 백년전쟁말기 오를레앙 전투에서 승전해 전세를 유리하게 역전시킨 인물입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기사환국은 어떤 사건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신대출적으로 실각했던 남인이 1689년 원자를 정하는 문제를 계기로 서인을 몰아내고 집권한 사건입니다.숙종은 오래도록 왕자를 가지지 못하다 소의 장씨가 아들을 낳자 서둘러 이를 원자로 임명하고 장씨를 희빈에 책봉하고자 했고 이에 대해 서인은 왕비 민씨가 아직 젊으니 후일을 기다리는 것이 좋다며 반대, 숙종은 이러한 반대를 뿌리치고 장씨를 희빈에, 장씨 소생의 왕자를 원자로 임명합니다.그러나 서인의 영수 송시열은 상소를 통해 중국의 예를 들어 다시 반대, 숙종은 이에 대해 못마땅하게 생각하던 중 남인이 숙종의 결정을 지지하며 송시열을 공격하는 상소를 올리자 송시열을 파직하고 유배시켰다가 처형했으며 그를 지지하던 서인들도 관직을 박탈, 귀양보내지게 됩니다. 이로써 서인 정권은 무너지고 남인이 다시 정권을 잡게 되었으며 숙종이 민비를 폐비하고 장희빈을 왕비에 책봉하려 하자 서인은 다시 이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나 숙종은 상소의 주동자를 유배, 민비를 폐비, 장희빈을 왕비로 맞이하며 남인의 정권이 더 굳어지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베르사유 궁전이 만들어지게 된 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르사유에 최초로 궁전이 들어선 것은 1642년 당시 U자형의 날개건물 구조의 궁성으로 외벽은 회칠만 한 상태였으나 1634년 모서리 쪽 방을 증설하면서 현재 정면부 파사드의 기초가 되는 붉은색 벽돌과 회색빛 귀퉁이 벽인 우석과 일정간격으로 늘어진 조각상으로 된 피사드로 바꿨습니다. 이때는 루이 13세의 사냥용 별장으로 지어진 것이어서 큰 의미는 없었습니다.루이 13세 사후 방치되다 1651년 루이 14세가 한번 방문 후 1661년 실질적인 권한을 장악하면서 보 르 비콩트를 척도로 삼고 푸케가 자신의 궁성을 설계한 예술가들인 루이 르 보와 샤를 르 브룅, 앙드레 르 노트르를 시용해 각각 건축, 실내 설비, 정원 정비 등을 맡기면서 1665년까지 확장공사를 시작해 궁성 남쪽에 궁성의 파사드와 비슷한 건물 몇채를 신축, 옛 궁성의 손님맞이뜰을 대리석으로 포장했습니다.이후 1668년 르 보의 개축 계획을 실행해 1670년까지 양 측면에 아파트먼트인 뒤 루아, 들라헨느 라는 두 채의 날개 건축물을 증개축해 대리석 외피로 된 파사드로 바뀌었고 정원 쪽도 양면에 새로 증축된 날개건물과 연결되는 두 개의 날개 건물을 증축, 대리석 외피로 된 파사드로 되었고 이때 나중에 거울의 방이 들어설 부분이 발코니로 양쪽의 날개 건물과 연결되었습니다.이후 1667년 루이 14세는 베르사유 궁전을 왕궁으로 삼겠다 결정, 죽은 루이 르 보를 대신해 쥘 아르두앵 망사르를 베르사유 궁전의 수석 건축가로 임명해 다음 증축을 계획했습니다. 1682년 루이 14세가 파리에서 베르사유 궁으로 거처를 옮기고 계속해 대대적인 건설을 하여 1686년 후면 측 발코니를 개축해 거울의 방 완성, 동쪽 측 새로 aile du midi라는 새로운 날개건축을 신축, 궁전 남쪽 큰 마구간, 작은 마구간 완공, 궁전과 두 마구간 사이 aile des ministres라는 I자형의 건물 두 체를 신축합니다.뒤이어 Grand commun이 세워졌고 다시 서쪽 측면 북쪽 날래라는 새로운 날개건물이 신축되어 완성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1189
1190
1191
1192
1193
1194
1195
1196
1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