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로미오와 줄리엣이 셰익스피어 4대비극에서 빠진 이유가 뭔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두 주인공의 죽음을 빚어내는 비극적 결말의 이유가 주인공들 사이의 갈등이나 성격적 결함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주인공들을 둘러싼 두 가문에 연유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음악
23.05.13
0
0
우리나라의 직지심체요절이 가지는 가장 큰 역사적 의의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직지심체요절은 공식적으로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이며 당시 고려의 발달했던 인쇄문화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산 중 하나입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선릉역에 있는 선릉과 정릉은 어느 왕의 무덤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조선시대 왕릉군으로 조선 제9대 왕 성종과 성종의 계비 정현왕후가 함께 잠든 선릉과 조선 제1대 왕 중종이 안장된 정릉 입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강원랜드에 내국인입장이 합법화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80년대 말 탄광산업이 몰락하면서 태백시, 정선군 등의 지역경제가 악화되자 1995년 ㅍ폐광지역개발지원특별법을 만들어 10년기한으로 내국인카지노 특혜를 허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수미상관구조란 무엇이고, 예시로는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의 처음과 끝의 의미, 형태 등이 유사한 형태로 나열되는 것을 말합니다.진달래 꽃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영변에 약산진달래꽃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가시는 걸음걸음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나 보기가 역겨워가실 때에는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학문 /
미술
23.05.13
0
0
성악설을 주장한 순자는 어떤 근거로 성악설을 말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순자는 사람은 누구나 다 관능적 욕망과 생의 충동이 일고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게 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우리에게 이러한 측면이 성장하여 서로 쟁탈하는 싸움이 일어나고 사회적 혼란이 생기는 것으로 도덕 질서가 파괴되는 것으로 전국시대의 혼란한 사회상에 바탕을 두었습니다.
학문 /
철학
23.05.13
0
0
맹자가 말하는 성선설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간의 성품이 본래부터 선한 것이라고 보는 맹자의 학설입니다.천명지위성이라고 한 중용의 내용을 계승해 성을 만물에 내재된 하늘의 작용, 즉 천명으로 파악함으로 만물은 성, 즉 천명을 중심으로 볼때 모두 하나라고 하는 만물일체사상을 확립하였습니다.하늘의작용이 천지 자연의 대조화를 연출하고 있으므로 그 하늘의 작용을 성으로 이어받은 인간도 성의 움직임을 따르면 인간 사회는 저절로 조화를 이루게 된다는 의미에서 성선설을 주장했습니다.
학문 /
철학
23.05.13
0
0
성리학은 어떤 학문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리학은 중국 송나라때 유학의 한 계통으로 성명, 이기의 관계를 논한 유교철학입니다.성리학은 유학에 있어 성명과 이기에 대한 학문은 성리학에서 성명론은 인간 존재의 본질, 구조, 존재 근거에 대한 물음에 답하고자 하는 이론체계이며 이기론은 이와 기로서 우주 자연과 인간 만물의 생성변화를 설명한 이론으로 주자가 그 이론체계를 완성했기 때문에 주자학이라 하기도 합니다.
학문 /
철학
23.05.13
0
0
실제로 문익점은 목화씨를 붓 뚜껑에 숨겨서 온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붓뚜껑에 가져왔다는 것은 여러 변화를 거쳐 나온 이야기로 처음에 그냥 가지고왔다였다가 주머니, 붓대 등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쳤습니다.이는 선비와 문인을 상징하는 붓이 문익점의 이미지에 적합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하백은 고구려 신화에 등장하는 그 하백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백, 풍이 또는 빙이는 한자 문화권의 신화에서 등장하는 강의 신으로 한자로 하백이라 표기합니다. 중국 쪽 신이지만 고구려의 시조 주몽 탄생설화에서도 청하의 수신으로 등장합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1234
1235
1236
1237
1238
1239
1240
1241
1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