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대무신왕의 생애와 업적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무신왕은 삼국시대 고구려 제 3대 왕으로 대해주류왕, 대주류왕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무휼 입니다.아버지는 유리왕, 어머니는 다물국왕 송양의 딸이며 부여를 공격해 대소왕을 죽이고 주변 세력에 대한 정복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여 개마국과 구다국, 낙랑국 등을 병합하였고 우보와 좌보를 처음으로 임명하는 등 통치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힘썼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야비하다와 비열하다는 같은말인가요? 아니면 차이가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두 단어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야비하다- 성질이나 행동이 야하고 천하다.비열하다- 사람의 하는 짓이나 성품이 천하고 졸렬하다.
학문 /
음악
23.05.13
0
0
임오군란의 배경과 전개, 결과 등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76년 맺어진 한일수호조약으로 인해 대원군이 취한 쇄국정책이 무너지고 개화파와 수구파의 대립이 일어나게 되며 이 가운데 왕의 친정으로 정권을 내놓은 대원군은 척족인 민씨일파를 내치고 다시 집권할 기회를 엿보는 중이었습니다.신식군대를 양성하는 별기군이 급료과 보급에서 좋은 대우를 받은 데 비해 구식군대인 무위영, 장어영 2영의 군졸들은 13달 동안 봉급미를 받지 못해 불만이 높았고 그러던 차 겨우 한달치 급료를 받게 되나 선혜청 고지기의 농간으로 말수가 턱없이 부족하고 모래가 반 넘어 섞여 있어 이에 격분한 구식군졸들이 고지기를 때려 부상을 입히고 선혜청 당상 민겸호의 집으로 몰려가 폭동을 일으킵니다.사태가 이에 이르자 난병들은 대원군에게 진정하기 위해 운현궁으로 몰려와 애소하고 대원군은 겉으로는 달랬지만 한편으로는 심복인 허욱을 시켜 그들을 지휘케합니다. 그리하여 군민의 불평은 대원군과 연결되어 민씨 및 일본 세력의 배척운동으로 확대, 군민들은 별기군 병영으로 몰려가 일본인 교련관 호리모토 공병소위를 죽이고 민중과 합세해 일본 공사관을 포위, 불을 지르고 일본순사 등 13명의 일인을 살해하나 하나부사 공사 등 공관원들은 모두 인천으로 도망쳐 영국 배의 도움으로 본국으로 돌아갑니다.이튿날 더욱 강력해진 군민은 대원군의 밀명에 따라 영돈령부사 이최응 등을 살해하고 명성활후를 제거하기 위해 창덕궁 돈화문 안으로 난입하나 명성황후는 궁녀의 옷으로 변장 후 궁궐을 탈출, 충주 장호원의 충주목사 민응식의 집으로 피신합니다. 사태가 위급함을 느낀 고종은 전권을 대원군에게 맡겨 반란을 수습할 수밖에 없다 생각하고 대원군을 불러들였고 이리하여 왕명으로 정권을 손에 넣은 대원군은 반란을 진정시키고 군제를 개편하는 등 군란의 뒷수습에 나섰지만 민씨 일파의 청원을 받아들인 청나라가 재빨리 군대를 파견하여 그의 재집권은 단명에 그치고 말았습니다.청나라는 이 난의 책임을 물러 대원군을 톈진으로 납치해갔고 일본은 조선정부에 강력한 위협을 가해 주모자 처벌과 손해배상을 내용으로 하는 제물포조약을 맺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사라예보 사건은 왜 발생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389년 코소보 전투에서 패배한 뒤 보스니아를 비롯한 발칸반도의 국가들은 오랜 기간 오스만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19세기 이후 민족주의가 확산되면서 오스만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독립운동이 고양되었습니다.특히 슬라브인들에게 오스만제국을 유럽에서 몰아내고 남슬라브 단일국가를 건설하자는 범슬라브주의가 확산, 19세기 초 두차례에 걸친 봉기로 오스만제국에게서 자치권을 획득했던 세르비아가 그 중심에 있었습니다.러시아 발칸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이러한 범슬라브주의를 지원, 1877년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패한 오스만제국은 산스테파노조약으로 이스탄불을 제외한 모든 유럽의 영토를 잃고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루마니아가 독립했고, 불가리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자치권을 얻게 됩니다.그러나 열강들의 개입으로 발칸반도의 정세는 더 복잡해져 1866년 프로이센과 전쟁에서 패하면서 제국의 서부를 잃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발칸반도로의 동진을 적극적으로 추진, 지중해 지역과 중앙아시아 등에서 러시아와 대립하던 영국, 프랑스, 독일을 끌어들여 러시아를 견제하려 합니다.유럽의 열강들은 1878년 베를린회의에서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산스테파노 조약을 수정, 그 결과 불가리아 영토의 상당부분이 다시 오스만제국으로 반환되고 보스니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됩니다.그 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보스니아를 동진정책의 전초기지로 활용하려 했고 1908년 보스니아를 완전히 병합합니다.이러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정책은 보스니아의 세르비아계 주민들의 민족주의를 자극, 이 지역 정세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고 젊은 보스니아, 검은 손 등 범슬라브주의에 기초한 비밀결사가 1910년 이후 잇달아 구성되어 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let the cat out of the bag의 뜻 유래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양이를 가방에서 꺼내라 라고 말하는 이유 중 가장 많이 전해지는 것은 중세 시장에서 부정한 가축 상인이 구매자에게 사기를 쳤는데 돼지를 사려는 사람에게 돼지 대신 고양이를 가방에 몰래 넣었습니다.돼지가 더 비싸서 구매자를 속이는 것으로 , 집에 도착해 고양이를 가방에서 꺼내고 나서야 사기를 당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이런 이유로 이 표현은 비밀을 밝히는 것과 관련이 있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광동 진씨는 어떻게 해서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조 진린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명나라 수군 제독으로서 조선과 연합하여 일본을 물리치고 전공을 세웠으며 진린의 손자 진영소가 명나라에서 감국수위사를 지내다 명나라가 청나라에 멸망 된 후 조선으로 동래하여 전라도 남해의 장승포에 표착하였다가 전라도 강진군 고금도로 옮겨 살았고 그후 다시 전라도 해남현 내해리로 이거하여 정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재즈(Jazz)라는 음악 장르는 어디서부터 시작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재즈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미국 남부 뉴올리안즈 일대의 흑인 및 크리오울 사이에서 연주되고 형성된 춤이나 퍼레이드를 위한 음악에 대해 1914년 경 jass, jas 등의 명칭으로 불린 것이 처음입니다.
학문 /
음악
23.05.13
0
0
우리나라 역사에서 최초의 국제결혼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 국제결혼으로는 AD46년 고대 금관가야를 세운 김수로왕과 인도 야유타국 허황옥 공주 입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홍길동전이 작가 허균이 아닐수도 있다는 말도 있던데 정말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윤석 전 연세대 국문과 교수는 홍길동전이 도저히 허균 시절인 16~17세기에 나올수 없는 작품이라 하며 먼저 중국 소설을 수입해 번역하면서 한글소설이 등장하는데 이것이 도서 대여점인 세책집을 중심으로 민간에 확산 후 18세기 후반에 가서 새로운 형식의 한글소설이 창닥되며 그 특징은 분량이 짧고 주인공의 입신출세이야이가 들어있으며 군담이 들어간다고 전합니다.이렇게 나온 작품들이 소대성전, 조웅전 등으로 홍길동전 역시 이 유형 중 하나라는 것으로 허균 같은 지식인이 이 분야에서 작가로 활동했던게 아니고 한글 소설은 서민들의 장르였다고 주장합니다.즉 허균이 홍길동전 한문서솔의 저자일수는 있으나 , 한글소설의 저자는 아니라고 합니다.홍길동전은 사회문제를 다루며 지배 이념과 지배 질서를 공격하고 비판하는 방향에서 다루었고, 당대 현실에 실재했던 사회적인 문제점을 왜곡없이 있는 그대로 보여주며 적서차별 등의 신분적 불평등을 내포한 중세사회는 마땅히 개혁되어야 한다는 주제의식을 지니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임진왜란을 유럽에서 도자기전쟁,으로,부르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요토미히데요시는 도자기 광이었고 그는 조선의 도자기를 빼앗아 가는 것과 더불어 도공을 붙잡아 오도록 명령하여 조선의 도공들을 일본으로 보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1234
1235
1236
1237
1238
1239
1240
1241
1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