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과거에는 어떤 것을 화폐로 썻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물물교환으로 조개껍데기, 곡물 ,베 등이 물품화폐로 쓰이다가 금, 은, 동 등으로 화폐를 주조하여 사용되었습니다.한국에 화폐가 처음 주조된것은 고려시대로, 성종 15년에 철전으로 주조하고, 이듬해부터 문종 16년까지 통용했다고 합니다.그러나 철전은 대도시 유통계의 일부에서 통용되다가 베와 쌀 등 물품화폐에 압도되어 점차 화폐로서의 기능을 잃고 이후 고려는 해동통보, 동국통보, 동국중보, 해동중보, 삼한통보, 삼한중보 등의 주화를 주조하여 유통하나 물품화폐에 구축되어 화쳬로서의 기능을 살리지는 못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정월대보름에는 왜 오곡밥과 나물을 먹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곡밥은 그 해의 곡식이 잘되기를 바라는 뜻으로 먹었습니다.나물은 , 대보름에 나물을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 다고 하여 먹었다고 합니다.
학문 /
음악
23.02.03
0
0
고구려 멸망 후 연남생,연남건은 어떻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2차 고구려-당 전쟁의 실패 후 잠시 숨고르기 중이던 당은 연남생의 전달을 받은 당고종은 사신으로 파견된 연헌성에게 벼슬과 재물을 하사하여 국내성으로 돌려보내고 장군 계필하력에게 명하여 군사를 이끌고 나가 연남생을 맞아들입니다.666년 6월 연남생은 국내성을 비롯한 6개 성의 주민과 목저성, 남소성, 창암성 등 3개 성의 백성을 이끌고 당나라에 투항합니다.666년 9월 연남생은 그 공으로 당고종으로부터 특진 요동도독 겸 평양도안무대사의 벼슬을 받고 현도군공에 봉해집니다.고구려의 최고 권력자였던 연남생은 당나라의 고구려 원정의 향도가 됩니다.당나라는 50만대군을 동원하여 대대적인 침공을 하고 고구려는 2년에 걸쳐 싸우다 668년 말 수도 평양성의 성문이 당나라와 내통한 승려 신성에 의해 열리며 당연합군은 평양성을 불바다고 만들고 고구려군을 이끌던 연남건은 자결하려 하나 실패, 보장왕과 당나라군에 사로잡히며 고구려는 멸망합니다.평양성이 함락되고 고구려가 멸망한 후 연남생은 당나라군의 길을 터준 공을 인정받아 당나라 조정으로부터 우위대장군 벼슬을 받고 3000호에 달하는 식읍을 하사받았습니다. 후 연남생은 한동안 당나라 수도 장안에 머물렀고, 그러던 중 676년 나당전쟁에서 당나라 군대가 신라와 고구려 부흥 세력 연합군에게 패배하고 평양에 거점을 뒀던 당나라 세력은 요동까지 쫓겨나게 되고 당나라는 한반도에서의 영향력을 거의 상실하고, 그 큼에 고구려의 옛 북쪽 땅 요동에서도 다시 부흥 운동이 일어날 기미가 보입니다.당나라 조정은 고구려 유민들을 달래기 위해 677년 연남생을 요동으로 파견하여 안동도호부 관리로 임명되고연남생은 안동도호부에서 2년간 근무하다 679년 46세의 나이로 안동도호부 관사에서 병으로 사망합니다.연남건은 평양성이 함락되고 고구려가 멸망하자 연남건은 자살하려하나 실패하고 결국 당나라군에게 사로잡히고 이후 연남건은 당나라 장안에 끌려갔다가 현 쓰촨성 첸저우에 유배되었는데 이후의 삶은 전해지는 바가 없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커피의 유래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커피 열매를 최초로 먹고 마신 지역은 에티오피아 고원지대입니다.에티오피아 고원에서 양을 치던 젊은 목동 칼디가 하루는 양들을 데리고 좋은 목초지로 가더 중 양 몇마리가 이상한 열매를 먹고 잠도 안자고 밤새 뛰어노는걸 보고 신기해서 먹어보고 각성효과가 있음을 알고 재배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피아노 악보에 길게 된 물결표랑 짧게 되어 있는 물결표랑 무슨 차이예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긴물결표는 층거리꾸밈음, 아르페지오입니다.화음을 한번에 누르지 않고 아래에서 위로 차례대로 누르는 겁니다.짧은 물결표는 두음을 빠르게 치되 음이 끊어지지 않게 연주합니다.
학문 /
문학
23.02.03
0
0
미드저니 ai로 그린 그림의 저작권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이 그린 그림은 저작권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다만, 다른 나라에서 저작권에 대한 문제로 인하여 동시 인정했던 사례가 있기는 합니다.
학문 /
미술
23.02.03
0
0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최고의 조선시대의 왕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는 세종대왕을 생각합니다.집현전을 확충하고 학자를 키우며 학문을 숭상하고, 주자소를 설치하여 새 활자를 만들고 인쇄 능률도 올렸으며, 의료기관을 정비하여 의료 활동의 합리화를 했기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조선시대 암행어사는 실제로 있었던 직책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들어와서 초기에는 암행어사가 없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조선 초기에는 지방의 역의 관리자인 찰방에게 주변 수령의 관리 감찰을 명하기도 하고, 분대어사 라고 하여 사헌부 소속 관원이 특별한 일로 지방을 다녀오기도 했습니다.암행어사라는 말이 최초로 나온것은 1479년이며, 이해 11월 23일자 기록에 대사헌이었던 김양경이 관찰사를 보낸느것과 수령의 행동을 규찰할 필요를 아뢰고 근일에 자못 듣건데, 수령의 분수에 지나친행동이 혹은 그 두곡을 크게 만드는 사람까지 있다고 하니, 경연관이나 어사 중에서 내보내어 규찰하도록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우리나라에 김이박 씨가 많은이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이박은 한국에서 왕족들의 성이었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아 명문가들이 선호했고, 후대에 와서 평민이나 명문가에 딸린 권속들은 주인의 성을 자연스럽게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한국 여성 최초의 추상화가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추상화가는 이성자 입니다.1951년 프랑스로 건너가 미술 공부를 시작하여 프랑스 화단과 세계적인 화가로 인정받은 인물로 동양 음양사상을 바탕으로 한국적 이미지들을 서양의 추상사조에 접목시켜 회화와 판화, 조각과 도예 등 장르와 소재를 넘나들며 1만 4000여점의 작품을 남겼습니다.대표적으로 내가 아는 어머니, 장애 없는 세계, 극지로 가는 길 등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2.03
0
0
1837
1838
1839
1840
1841
1842
1843
1844
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