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장례식 3일장과 5일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통은 3일장을 진행하는데 1일차: 사망확인, 운구 및 안치, 수시, 빈소결정 후 가족 및 친지에게 부고, 화장장예약 및 장지결정, 빈소설치, 입관실 예약2일차: 염습 및 입관, 조문 준비 및 조문시작, 영구차 예약, 화장장 및 장지음식 운구 인원 예약3일차: 발인, 매장 또는 화장5일장은 과거 장례식 매장문화와 상갓집 문화가 있던 시절에 많이 행해지던 것으로 조문받는 시기가 2~3일 정도 늘어난 형태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2
0
0
팔만대장경이 갖는 의미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다.팔만대장경은 종이에 불경을 인쇄하기 위해 만들어진 목판입니다.팔만대장경 안의 내용은 속일체경음의 등 중요한 전적과 대승보살정법경 , 제법집요경 등 중요한 대승경론이 포함되어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2.02
0
0
관도대전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도대전은 후한말기 중원의 거대 군벌 조조와 원소의 전쟁입니다.관도대전은 조조가 중원의 패자로 올라선 결전으로 관도대전의 패배로 원소가 바로 망하진 않았지만 조조가 대세를 굳히는 것에는 부족함이 없었고, 숨어지내던 전국의 인재들이 허창으로 모이며 조조의 패권이 시작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운동인 태권도는 어디에서 유래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권도는 대한민국에서 창안되고 발전한 현대 무술입니다.기원은 가라테5대관이며 이 중 한국군 토종 군용무술을 고심하던 최홍의가 자신의 부대에 설립한 군대 도장 오도관에서 ITF태권도의 원형이 자리잡았습니다.
학문 /
음악
23.02.01
0
0
제사를 지낼때 왜 문을 열어놓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순한 이유입니다.돌아가신 조상들의 영혼이 편히 들어오셔서 차려 놓은 음식을 드시고 가신다고 믿는 의식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부처님오신날과 성탄절은 쉬게 된 때는 언제부터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탄절이 한국에서 법정 공휴일 제도가 법제화된것은 1949년이며, 부처님 오신날은 1975년입니다.성탄절이 정부 수립 직후부터 공휴일로 지정된 것에는 이 당시 집권자인 이승만대통령과 영부린 프란체스카 도너여사가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다는 점, 해방 직후 미군정이 끝난 이후에도 한국에 미치는 미국의 영향력이 막강했다는 점이 이유가 됩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통곡의 벽에 대해서 궁금한데 알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 있는 통곡의 벽은 제2성전 이방인의 뜰 구역 서쪽 축대를 말하며 뿌리를 잃은 유대인들이 그나마 남은 성전의 서쪽 축대밖에 모여 통곡하였기에 통곡의 벽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예루살렘이 함락 될 당시 벽이 진짜로 눈물을 흘렸다는 전설에서 따온 이름이라는 설도 있으며 이스라엘 건국으로 그네들의 오랜 숙원은 풀렸지만 아직 예루살렘 성전은 복구되지 못하여 아직도 많은 유대인들이 이곳을 찾아 기도를 올립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조선시대 과거시험은 매년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과거는 소과, 문과, 무과 , 잡과의 네 종류로 3년에 한번씩 열리는 식년시, 수시로 열리는 증광시, 별시, 알성시, 정시, 춘당대시 등이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울력이리는 말의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울력은 일손이 모자라는 집에 시기를 놓쳐서는 안될 급한 농사일이 있을때 마을 사람들이 보수나 노동대가를 기대하지 않고 도와주는 봉사적 노동협동 방식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새해가 되면 보신각에서 치는 재야의 종소리는 어디서 유래가 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을 치게 된 유래는 조선 태조 때 도성의 문이 개폐됨을 알리기 위해 종일 친 것에서 유래했으며 1953년부터 자정에 새해맞이 행사로 매년 시행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1846
1847
1848
1849
1850
1851
1852
1853
1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