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차례와 제사는 언제부터 지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사와 차례는 샤머니즘을 바탕으로 한 자연숭배와 연관이 있으며 고대 사람들이 신의 가호로 재앙을 피하기 위해 천지신명께 정성을 올린것이 제사의 시작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카타르시스라는 말의 유래가 궁금합니다.ㅎ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4세기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과거의 자신이라는 괴물과의 대결에 주목했으며 그 대결에서 승리를 카타르시스라 불렀으며 승리란, 괴물을 물리친다는 의미가 아니라 내 안에 숨어 지내다 중요한 때 나타나는 나를 괴롭히는 또 다른 나를 수용해가는 과정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호환마마의 정확한 뜻이 무었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호환마마는 호환은 호랑이에게 화를 입는 우환, 마마는 전염병의 일종으로 천연두를 뜻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소련과 미국의 냉전시대가 일어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과 소련은 2차 세계대전의 연합국으로 동맹의 투탑으로 소련이 독소전쟁을 치룰수 있도록 무기대여까지 해줄 정도로 친밀했습니다.그러나 전쟁 끝에 소련이 나치 독일을 굴복시키고 동유럽 국가들을 영향권에 넣기 시작하면서 이야기가 달라지기 시작합니다.그 중 반공주의자, 스탈린의 억압적 정치에 반감을 가진 자도 있었고, 소련이 베를린까지 동유럽을 이미 밀어버려 동유럽의 반소, 반공 세력은 빛을 발하지 못합니다.이 상황에서 2차대전 직후 독소전쟁으로 피해를 봄에도 여전히 강력한 국력과 기술력을 보유한 소련은 공산주의의수장이라는 이름 아래 점령지 내에서 빠르게 공산세력을 확장하며 미국과의 관계가 미묘해집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한국의 안주문화가 발달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은 1970년대 산업화 이후 수많은 사람들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며 누구나 술을 한잔 할수 있는 경제 호황 시기가 도래하지만, 대부분 요정, 청요릿집 등에서 먹고 집에서 친구를 초대하기도 했습니다.그러나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 혼술 경우 대폿집 등의 열악한 분위기에서 술을 먹다, 산업화의 정점인 1980년대 봉지과자가 유행하여 일반 가게에서 맥주나 소주 구입후 안주로 먹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 경제가 더 활성화 되어 안주의 개념이 더 활성화 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1.27
0
0
일본은 왜 아직도 전통, 아날로그를 중시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버블경제 붕괴 후 비참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과거의 세계로 회귀하려는 감성이 있기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장례식에 검정색 옷을 입게된 유래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영향이라는 설이 있습니다.1861년 남편의 장례식에 검은 옷을 입은 후 자신이 죽을때까지 검은 옷을 입었다고 합니다.검은색은 죽음, 절망, 영원, 신비 등을 상징하여 엄숙하고 경건한 장례식에 어울리는 색입니다.또, 죽은 영혼이 산 사람을 발견하지 못하게 하려고 입는것과 때가 안타 상을 치루는 기간동안 계속 입을수 있으며, 영혼을 위로하는 색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현인 이라는 가수를보고 왜 100년에한번 나올까말까한 가수라고 그러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00년 이라는 의미가 숫자로 인한 100년의 단순한 의미가 아니라, 수많은, 수년의 라는 표현을 통칭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음악
23.01.27
0
0
과거부터 '김치'라는 말을 하면서 사진을 찍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진찍을때 김치 라고 하는 것은 ㅡ 나, ㅣ 발음을 할때 입모양이 웃는 모습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영어권에서는 치즈 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혹시 5번이상 본영화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5번이상 본 영화로는 타이타닉- 캐릭터의 특징과 빠른전개, 뒷 이야기 , 배경 등에 관심이 생겨 계속 보게되었습니다.너의 결혼식- 젊은 시절의 풋풋함과 연인에 대한 설레임을 느끼고 싶을 때 보곤 합니다.
학문 /
미술
23.01.27
0
0
1873
1874
1875
1876
1877
1878
1879
1880
1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