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미술치료는 효과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술치료는 미술 작품으로서의 가치 외 자기표현을 통한 자기 이해와 성장, 문제 해결 능력의 부여 등이 치료 개념과 어우러져 여러 종류의 미술 재료를 만지면서 활용하여 얻는 감각적인 경험 자체가 치유 효과가 됩니다.
학문 /
미술
23.01.27
0
0
제사지낼때 왜 향을 같이 피우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향을 피우는 이유는 분향은 향의 연기가 하늘로 올라가면서 저승과 이승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믿었고, 향내는 부정을 제거하고 심신을 맑게 함으로 천지신명과 통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음악
23.01.27
0
0
세계 최초의 영화는 무었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의 영화는 중국인 세탁소에서 생긴 일, 열차의 도착 이라는 두 작품이며 1895년 12월 12월28일 프랑스에서 뤼미에르 형제가 시네마토그래프를 공개했으며 이것이 영화의 탄생으로 봅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과거 결혼 시기가 빨랐던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혼이 존재했던 이유는 의료 수준이 열악했던 전근대에 언제 어떤병으로 후계자가 죽을지 몰라 최대한 빨리 자손을 남길수록 가문유지에 유리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보신탕은 언제부터 먹게 되었는지 그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석기 시대에 개뼈가 출토되었던 것으로 보아 예전부터 즐겼다고 추측합니다.사기에는 진나라 덕공이 복사를 처음 시작했다고 하며 복이라는 것은 금기가 엎드려 숨어있는 날입니다복사는 사대문에서 개를 찢어 충재를 막는 제사이며 이 행사가 보신탕의 유래가 되었다고 동국세시기는 전하고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개인적으로 마라톤을 자주 하는데 이것의 유래가 궁금합니다.ㅎ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라톤은 490년 아테네와 페르시아 간의 전투에서 비롯되었습니다.아테네 동북쪽에 위치한 마라톤 들판에서 아테네의 밀리티아데스 장군이 페르시아군을 격파하고 이 승전보를 알리기 위해 필립피데스가 마라톤 벌판에서 아테네까지 약 40KM를 쉬지않고 달려갑니다.필립피데스는 장거리를 종주 한 뒤 우리가 우승했다, 아테네 시민들이여 기뻐하라 라고 외치고 죽었습니다.이것이 마라톤의 기원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사형은 언제부터 중지됐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형제도는 1997년 12월 30일 사형수 23명에 대한 마지막 사형집행 이후 현재까지 사형이 집행되지 않고있습니다.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의 범인 김용제, 김선자 연쇄독살사건의 범인 김선자, 김준영 순경 총기난동 사건의 범인 김준영 등 입니다.사형제가 현재 멈춘 이유는 국내는 물론이고 국제사회의 압박과 권고때문입니다.종교계 가운데 불교와천주교, 원불교는 공식적으로 사형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유럽연합과 국제연합은 사형제 폐지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사주팔자의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주는 2,400년 전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서 노자의 도덕경으로부터 시작하여 주역 등으로 꾸준히 발전되어 내려온 동양의 도교사상에서 비롯되었습니다.이후 명리학으로부터 사람의 태어난 년월일시를 가지고 풀이한 것을 사주라 하고 인간의 과거부터 현재, 미래에 대한 운명부터 길흉화복을 점치는 도구로 사용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번개 맞은 나무를 무당들이 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무가 번개를 맞게되면 양기가 충만해진다는 이유로 무당들은 번개맞은 나무를 사용했습니다.
학문 /
음악
23.01.26
0
0
우리나라 불교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의 불교는 1600년 전인 삼국시대에 중국을 거쳐 들어온 사상으로 기록 상 최초의 불교 전래는 고구려 소수림왕때로 알려져있으나, 실제로는 소수림왕 전 시기에 불교가 상당 부분 고구려 각처에 퍼져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1873
1874
1875
1876
1877
1878
1879
1880
1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