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가시나라는 말의 유래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시나는 과거 신라시대 때 민간 수양 단체인 화랑을 가시나 라고 불렀는데 이두식 표현인 화랑의 화 는 꽃의 옛말 가시가 되고 랑의 이두식 표현인 나 가 결합되어 가시나라고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설 민속놀이 뭐가 있는 지 궁금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설 민속놀이에는 윷놀이, 제기차기, 연날리기, 널뛰기, 팽이치기, 승경도 놀이, 돈치기가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홍범 14조 개혁의 구체적 내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 청국에 의존하는 생각을 끊고 자주독립의 기초를 세운다2. 왕실 전범을 작성하여 대통의 계승과 종실, 척신의 구별을 밝힌다.3. 국왕이 정전에 나아가 정사를 친히 각 대신에게 물어 처리하되, 왕후, 비빈, 종실 및 척신이 관여함을 용납하지 않는다.4. 왕실 사무와 국정 사무를 분리하여 서로 혼동하지 않는다.5. 의정부와 각 아문의 직무권한의 한계를 명백히 규정한다.6. 부세는 모두 법령으로 정하고 명목을 더하여 거두지 못한다.7. 조세 부과와 징수 및 경비 지출은 모두 탁지아문에서 관장한다.8. 왕실은 솔선하여 경비를 절약해서 각 아문과 지방관의 모범이 되게한다.9. 왕실과 각 관부에서 사용하는 경비는 1년간의 예산을 세워 재정의 기초를 확립한다.10. 지방관 제도를 속히 개정하여 사용하는 경비는 1년간의 예산을 세워 재정의 기초를 확립한다.11.널리 자질이 있는 젊은이를 외국에 파견하여 학술과 기예를 익히도록 한다.12. 장교를 교육하고 징병 제도를 정하여 군제의 기초를 확립한다.13. 민법 및 형법을 엄정히 정하여 함부로 가두거나 벌하지 말며, 백성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한다.14. 사람을 쓰는 데 문벌을 가리지 않고 널리 인재를 등용한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고려장은 실제로 존재했던 풍습이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장은 고려시대 나이든 부모를 다른곳에 버려두고 오던 풍습이 있었다는 설화입니다.해당 설화는 19세기에 만들어진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장이라는 용어가 해당 설화와 결합한것은 19세기 말 ~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시기이며, 일본제국의 역사왜곡설이나 단순한 루머가 확산되었다는 등의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IMF는 어떤 이유 때문에 발생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IMF는 대기업들의 선단식 경영과 무리한 몸집 부풀리기, 문어발식 사업확장, 정경유착을 원인으로 봅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사망시에 왜 흰색 천으로 얼굴을 덮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흰색은 병과 죽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사람에게 핏기가 가시면 얼굴이 하얗게 되는것으로, 죽음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장례식에서 국화를 사용하게 된 유래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화의 흰색은 경건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흰색 국화를 사용합니다.국화의 꽃말 중 흰색국화는 감사, 진실, 성실함을 가지고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최초의 향수는 어디서 개발됐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향수의 기원은 종교적 의식, 곧 신과 인간과의 교감을 위한 매개체로부터 출발하는데 그 역사는 약 5000년 전, 신을 신성하게 여겨온 고대의 사람들은 신에게 제사를 지낼때 몸을 청결히 하고 향기가 풍기는 나뭇가지를 태우고 향나무잎으로 즙을 내어 몸에 발랐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건배를 하게 된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건배는 고대에 신 또는 사자를 위해 신주를 마시는 종교적 의식을 기원으로 봅니다.그리스, 로마에서 식사 중 신주를 신에게 바치고 공적인 연회에서는 열석자 및 사자를 위해 건배를 했습니다.이것이 그리스도교 시대가 되어 예수그리스도, 성모, 성인들에게 선배하는 풍습으로 바뀌고 영국에서는 중세기와 후까지 종교적기원과 술로 사자를 추억하는 풍속으로 전해지고, 그것이 언제부터인가 살아있는 인간의 건강을 축복하는 건배가 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1.22
0
0
복숭아를 귀신 쫒는 과일로 본 유래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복숭아 나무가 대부분 민속신앙에서 삿된 기운과 귀신을 쫓기위한 주술적 도구로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1900
1901
1902
1903
1904
1905
1906
1907
1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