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구약성경에 나오는 바벨탑은 실존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 바벨탑의 신존여부는 계속해서 논란이 되고있습니다.현재는 서남아시아의 이라크가 있는 지역에 존재할것이라고 추정되고있습니다.이지역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원지이며 기원전 600년경 유대인들에 의해 바빌로니아가 건국되면서 바벨탑을 건축하였다합니다.정확한 시기는 알수 없으나 539년 페르시아 제국에 의해 바빌로니아가 멸망하면서 바벨탑도 무너졌을거라 추정합니다.현재 바벨탑과 비슷한 형태를 띤 탑과 탑지가 이라크지역에서 유적으로 발견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개봉된 영화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가 최초로 영화를 상영한 시기는 1903년 이전으로 보며 최초의 한국영화는 1919년 의리적 구토이며 1923년 조선총독부의 저축장려 캠페인으로 제작된 최초의 극영화 월하의 맹서가 나왔습니다.
학문 /
미술
23.01.05
0
0
과거시대에 오늘날의 국무총리급 직급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시대 오늘날의 국무총리급 직급은 정 1품입니다.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의정부였는데, 이곳의 수산인 삼정증, 즉 영의정, 우의정 중 영의정이 정1품, 좌의정과 우의정은 부총리 정도 됩니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음반!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은 마이클 잭슨의 Thriller 앨범입니다.82년 발매후 6600만장을 판매하며 기네스북에 올라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1.05
0
0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원인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차 세계대전은 1914년~1918년 총 4년간 벌어진 전쟁으로 1914년 7월28일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에게 선전포고를 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1900년 제국주의가 시작되면서 경제적인 측면이 가속화 되었으며 각국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서로 경제적인 대립을 하였는데 이 시기 독일과 영국은 서로 갈력히 대립하며 유럽의 경제발전과 세계 경제를 이끌었습니다.두 나라 뿐만아니라 주변의 유럽국가들은 자국에 대한 이익을 위해 움직이며 나라마다 충돌이 발생, 경제권을 독차지하기 위한 전쟁을 합니다.유럽 국가간의 외교 동맹의 변화로 각 유럽국가간의 세력 균형이 변화하게 되면서 발칸 반도에서 전쟁을 시작합니다.제1차 세계대전은 유럽이 빠른 산업혁명과 과학 기술변화로 더욱 빠른 발전을 위한 생산품 판매를 위한 식민지가 필요하여 생산품을 판매할수있는 식민지를 쟁탈하기 위한 쟁탈전을 벌입니다.이것이 1차세계대전의 원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콜럼버스보다 일찍 신대륙을 발견한 사람이 있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르웨이 바이킹 레이프 에리크손은 1000년경 북아메리카 동해안에 도착했으며 노르웨이 고고학자 안네 스티네 잉스타드는 1960년 캐나다 동부 뉴펀들랜드섬 최북단에 있는 랑스 오 메도즈 일대를 발굴조사하며 이 사실을 밝혀내었습니다.노르웨이 바이킹 레이프 에리크손은 콜럼버스보다 500년 전 신대륙을 발견하였습니다.이러한 내용의 책으로는 세계가 처음 연결되었을 때 1000년 이라는 책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듯합니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옛날 사람들은 양치질을 어떤걸로 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치질은 5천년도 더 된 옛날부터 양치를 했던것이 출토되었습니다.아랍권에서는 미스왁이라고 불리는 나무 가지를 잘라 껍질을 벗기고 목질을 이로 씹어 솔처럼 만들어 양치하였으며 한국은 버드나무가지를 주오 사용하여 양지라는 말이 현재 양치로 와전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이러한 물건이 없으면 손가락이나 아무 나뭇가지를 이용했으며 소금을 썼습니다.또한 소금이 비싸, 재나 모래를 쓰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5
0
0
인문학의 위기라고 하는 이유와 이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문학은 2012년 이후 주로 어문, 역사, 철학 등의 학과가 폐지나 통합이 되면서 인문학 위기가 증명이 됩니다.대학교는 사회 수요가 많은 공학계열을 중심으로 학과를 개편하고 순수 인문분야 학과를 폐지하거나 정원을 감축시키는 등을 시행하였으나 인문학은 인간성을 함양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학문이며 인성교육의 본질을 구현하는 도구입니다.이러한 이유로 교육부에서는 인문학 증진 계획을 세워 추진하며 인문학 육성을 위해 장학금 , 연구비를 지원하고 교육과정 개편에서도 윤리, 철학 등 인문학 과목을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학문 /
철학
23.01.05
0
0
음악에서 도돌이표는 왜 생기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돌이표는 해방 후 교육에 쓰이던 일본어, 한자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기 위해 용어위원회를 만들었으며 음약 분야 용어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 성공을 했습니다.도돌이표를 비롯해 꾸밈음, 높은음자리표, 낮은 음자리표 등 같은 낱말들이 이때 만들어졌습니다.도돌이표에 대해 중등악전에서 국악에서 쓰는 갈말로 썼으며, 도로 돌아 라는 멀에서 온것이라 하며 국악에서 쓰는 말에서 왔다면 다시 돌아서 돌아간다 라는 뜻인 도드리와 비슷합니다.
학문 /
음악
23.01.05
0
0
농경사회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4백만년에 이르는 역사의 거의 대부분을 사냥과 고기잡이, 채집생활로 이어온 인류는 약1만년전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식물 채집과 사냥만으로는 살수 없게됩니다.그래서 그런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숲과 들판에 풀을 놓아 밭을 만들고 주위에서 자라는 야생 보리 등의 특정 작물을 재배하며 인류의 농경사회가 시작됩니다.농경사회 이전 사냥시 사냥감이 많은 지역을 찾아다녀야 했지만 농사를 지으면서 곡식을 거두어 들일때까지 한곳에 머물러 있어도 되었기 때문에 편한 생활이 가능하여 동굴에 살고있는 사람들이 강가로 내려오고 집이 필요하여 흙벽돌이나 나뭇가지 등으로 움막을 지어 살며 동물도 집에서 기르게 되었는데 동물이 새끼를 낳고 그 새끼를 키워야 고기를 먹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인류는 점점 농사가 잘되는 곳으로 모여 마을을 이뤘으며 많은 사람들이 힘을 모아 농사를 짓다 보니 기술력이 발전하며 생산량이 증가, 생활이 넉넉해져 사람의 수도 늘었습니다.인류는 농경사회가 시작되며 돌을 깨서 용도에 맞게 갈아 쓴 신석기시대를 맞이하며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일어난 모든 변화를 농업혁명이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