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치즈가 처음 만들어진 곳은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상 가장 오래된 치즈의 흔적은 기원전 2300년 무렵 제작된 고대 이집트의 토기에서 치즈가 발견, 크로아티아에서 7200년 전 치즈가 발견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4
0
0
과거에 히포크라테스는 비만을 어떠한 시각으로 보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히포크라테스는 비만인 사람들이 자주 관찰되다 보니 뚱뚱한 사람이 마른 사람보다 일찍 죽는 것 같고, 임신도 더 잘 안되는 것 같다라고 하며사체액설 중 점액이 많은 사람들이 게으르고 비만할 가능성이 높은 것 같다라고 하며 운동을 더 하라고도 했다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24
0
0
로마시대에서 왜 구토를 하는 방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마인들은 더 많이 먹기 위해서 구토를 했습니다.먹을 것이 풍족해 음식도 맛만 보고 뱉고 토하는 걸 일상으로 했는데, 더 많이 먹기 위해 토하거나 수면을 줄여 살을 빼기도 했습니다.당시 로마인들은 더 많이 먹기 위해 한 행위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4
0
0
중세시대에서는 비만을 왜 악의 근원으로 보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 후 유럽에 기독교가 등장하게 되면서 질병은 죄 때문에 신이 내린 벌이라는 사회 패러다임이 생기기 시작합니다.이에 3단논리가 나오는데 질병은 죄 때문이고, 비만은 질병을 일으키니 고로 비만은 죄다 라는 논리가 적용됩니다.이에 나태나 타욕의 결과가 지방이니 지방에 붙어있는 비만은 악마에게 영혼을 판 증거다 라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에 사회와 종교가 비만을 죄악시 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24
0
0
중세시대당시 코르셋이라는 의복은 왜 발달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독교의 등장과 함께 비만은 사회와 종교에서 죄악시 되었고 이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살이 찌지 않기 위해 극단적인 방법으로 중금속, 비소, 수은 등을 복용하게 됩니다.종교의 힘이 강해져 죄의 증거인 지방을 감추려는 노력들이 보이며 코르셋이 등장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24
0
0
한국사에서 기록된 최초의 전쟁의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109년부터 기원전 108년까지 고조선과 한 나라 사이에서 벌어진 고조선-한 전쟁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4
0
0
고대나 중세시대에선 다이어트를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에는 주변에 있는 식물을 먹음으로써 살을 빼는 방법이 유행했는데 독초를 다이어트 약이라고 여기면서 독초를 먹어 살을 빼기도 했습니다.헬레보레라는 독초는 먹으면 구토를 유발하는데, 한달에 두 세번은 이것을 먹고 속을 게워냈다고 합니다.스캠모니라는 설사약을 복용하는데 이것은 너무 독해 대장에 있는 회충과 기생충까지 죽었다고 하며 이정도의 심한 구토제와 설사약으로 살을 뺐습니다.먹을게 풍부했던 로마는 먹고 토하는 것을 반복, 토를 하기 위한 방이 따로 있을 정도였으며 수면을 줄여 살을 빼는 등의 행위를 했습니다.기독교가 등장한 중세에, 기독교에서는 질병은 죄 때문에 신이 내린 벌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질병은 죄 때문이고 비만은 질병을 일으키니 비만은 죄라는 3단 논리가 등장하게 되면서 나태나 탐욕의 결과가 지방이니 지방에 붙어있는 비만은 악마에게 영혼을 판 증거라고 보며 극단적인 노력을 하게 됩니다.살을 빼기위해 중금속, 수은 , 비소 등을 먹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4
0
0
숙종이 송시열을 유배 보냈다가 사약으로 죽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사를 내린 처분에 대해서는 남인들이 복수심에 불타 조사도 없이 그냥 죽였다는 설과 송시열의 죽음은 피할수 없으니 80넘은 노인이자 상대 당 영수라는 것에 대한 배려로 마지막에 갈 때 국문을 당하는것만은 피라게 해준 것이라는 해석이 있으며 송시열의 존재감으로 보아 후자일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4
0
0
익산 미륵사지석탑은 누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유사에서는 미륵사와 관련된 설화가 2번 나오는데 하나는 법왕이 부여에 처음 짓기 시작해 무왕이 마무리 했다는 것, 또 하나는 서동이 무왕이 되어 선화공주와 함께 용화산 아래에 만들었다는 이야기 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4
0
0
후한말의 도겸은 능력이 출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젊어서는 유생으로 군주에 출사해 효렴으로 천거되어 상서랑에 임명, 옮겨서 서현 현령을 지내는 등 각지의 지방 장관을 마았고 이후 무재로 천거되었다가 여현령, 유주 자사 등을 역임합니다.의랑을 지내다 후한의 서쪽 변경에서 군무 경력을 쌓으며, 도겸은 강족을 토벌하러 서쪽으로 향하던 정서장군 황보숭에게 발탁되어 양무도위에 임명하고 황보숭과 함께 강족을 무찔렀으며 변장, 한수의 난 때 토벌군 대장인 사공 행 거기장군 장온의 참군사로 종군했습니다.그가 쌓은 군무 경력은 손견 다음으로 가는 수준으로 당대의 그는 주변으로부터 제법 기대를 받는 유망주였고 도겸이 손견보다 더 나이가 많았기 때문인지 도겸의 민정경력은 손견에 비해 더 오래되었고 그의 관위도 손견보다 높았습니다.조정의 명령으로 도겸은 서주의 황건적 잔당들을 토벌, 서주 지역을 장악하고 지방호족들과 연계하고 조정으로부터 이를 승인받아 서주의 자사가 됩니다.동탁과 맞서 싸우는 주준을 지원하기도 했으며 동탁이 왕윤, 여포에게 죽은 후 이각, 곽사 등이 조정을 장악하자 공융 등과 함께 주준을 추대하여 연합군을 이끌고 이각과 곽사를 치고 황제를 받들어 모시고자 함을 권유했으나 주준은 이를 사양, 도겸은 공물을 보낼 사자를 조정에 보내고 사자에게 일러 샛길로 가게 함으로써 그는 안동장군, 서주목으로 옮겼고 율양후에 봉해집니다.정치에서 인사는 중요한 일이며 실권인데 그의 인사 능력은 나쁘지 않았습니다. 왕랑, 조욱, 미축, 진등과 같은 인물은 모두 도겸이 조정에 추천하여 관직에 나서게 된 사람들이며 당시 서주 백성들은 부유하여 충분한 먹을 거리가 비축된 상황이었으므로 매우 많은 유임들이 서주에 몸을 의탁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막무가내로 정치를 한 인물은 아니었습니다.정사에서 도겸은 문무를 겸비한 호걸로서, 유생으로서 효렴으로 천거된 이후 출사할 떄 군무에서도 활약했다는 등 단순한 선비와는 일선을 긋고 있으며 장반의 일화에서 보듯 젊은 시절부터 자존심이 강했고 아무리봐도 좋은 사람이라고 단언하기 힘든 성격이었으며 정치적 야심과 카리스마가 강했습니다.원술과 공손찬이 각각 무너지기 전 한때엔 이 둘과 동맹하여 원소, 조조세력에 맞섰는데 그 조조조차 함부로 넘볼수 없을 정도로 강성한 세력 중 하나였으며 자신이 통치하는 서주만이 아니라 인접한 연주, 예주, 양주에 두루 영향력을 미칠 정도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4
0
0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