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무협지나 판타지소설은 문학으로 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학은 언어예술로 말로 된 것이든 글로 적은 것이든 언어 예술이면 모두 학문이므로 무협지, 판타지 소설도 문학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학문 /
문학
23.11.23
0
0
우리가 언변이 뛰어날때 붓은 칼보다 강하다고하는데 어디에서 유래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문장은 기원전 7세기경 아시리아 설화에 나오는 주인공 아히칼이 한 말로 , 말은 칼보다 강하다 입니다.
학문 /
미술
23.11.23
0
0
사극을 보면 조선시대에 벽보를 붙여 현상수배와 같은것이 있는데요 실제로 이런 제도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지명수배자 몽타주를 용모파기라 부르며, 용모파기는 범죄를 저지른 사람을 잡기 위해 용모와 특징을 그린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3
0
0
해운대의 지명의 역사적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운대는 통일신라시대 말기 문인이었던 최치원이 현재의 해운대해수욕장 근처를 방문했다가 소나무와 백사장이 어우러진 이곳의 경치에 감탄해 자신의 호인 해운에서 따서 붙인 명칭입니다.그는 해운대 해변 기준 우측에 위치한 동백섬의 남동쪽 해안 암석에 한자로 해운대 석자를 새겼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23
0
0
공민왕이 자신이 신임했던 신돈을 죽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민왕이 신돈을 등용하긴했으나 점차 신돈의 권력이 강해지면서 경계하기 시작했고 결국 역모죄를 물어 죽이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23
0
0
어떤 주장을 근거로 하여 일본이 독도를 자신의 땅이라고 주장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이 1600년대부터 독도를 이용했기 때문에 그때부터 일본 땅이라는 주장으로, 1600년대부터 울릉도 근처에서 고기잡이를 했고 독도는 일본에서 울릉도를 가는 길목에 있는 섬이므로 자연스럽게 그 곳에 머무르며 고기잡이하는 곳으로 이용, 따라서 독도는 일본이 먼저 발견했고 실질적으로 일본이 먼저 이용한 땅이기 때문이라는 것1905년 일본 시마네 현의 발표로 일본은 독도가 주인이 없는 땅이었고, 주인 없는 땅은 먼저 차지한 나라가 소유하는 것이라며 독도를 째앗았고 1905년 일본이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빼앗은 해로, 일본은 독도를 다케시마라 칭하며 시마네 현의 땅으로 삼았습니다.광복 후 일본이 미국, 영국, 중국 등과 맺은 조약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일본은 1951년 미국, 영국, 중국 등과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을 맺었고 이 조약에 일본이 강제로 빼앗은 우리나라 땅을 돌려준다고 되어있으나 이 조약에 독도를 돌려준다는 문구가 없었고 이 조약을 근거로 1910년 이후 빼앗은 땅만 돌려주면 되고 독도는 그 이전부터 자기네 땅이기 때문에 되돌려주지 않아도 된다는 주장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3
0
0
우리나라가 북한의 받을 빚이 있다던데 어떤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북한이 빌려가 갚지 않고 있는 우리 국민 세금인 대북차관 집행금액은 원금만 1조 5백억원이 넘는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3
0
0
소설 좁은문이 왜 유명한 명작소설이 된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좁은 문으로 표상되는 종교적 도덕의 추구 속에서 이루어지는 현실에서의 고민과 비련을 그린 작품으로 청교도적 신비주의에 대한 통열한 조롱이 숨겨져 있고 관능 및 환락의 추구가 좌절된 배덕자의 비극과 극단적인 대조를 이루는 하나의 비극이 묘사되어있습니다.전체에 맥맥히 흐르는 아름다운 서정과 조그마한 뉘앙스도 놓치지 않은 정교한 심리묘사는 이 작품을 보기 드문 매혹적인 작품으로 만들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3
0
0
애완동물과 모르는 사람이 물에 빠지면 누구를 구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철학적인 관점이 다양한데 보면 둘 다 구할수 없는 상황이라면 사람이 먼저일 듯 합니다.모르는 사람이라도 같은 사람입장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사람이 먼저 눈에 들어오기는 할 듯합니다.다만, 모든 것에 생명이 있고 사람같은 경우는 언어로 표현이 가능한 점, 반대로 동물은 스스로 도와달라고 할수 없으므로 동물을 돕겠다는 관점도 있을 것입니다.
학문 /
철학
23.11.23
0
0
조선건국동맹은 어떠한 단체이고 어떠한 활동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4년 8월 조선 독립을 목표로 국내에서 조직된 비밀결사 조직입니다.일본 제국주의 세력을 타도하고 조선 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회복함과 동시에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내용으로 하는 건국강령을 제정했습니다.조선건국동맹은 불언, 불문, 불명을 3대 철칙으로 삼고 다음과 같은 강령을 제시합니다.일제의 축출과 우리 민족의 완전한 독립을 회복하며, 대일연합전선의 형성과 모든 반동세력을 박멸하고, 민주주의 원칙에 의한 정치와 노동 대중의 해방에 치중한다. 전국 10개 도에 조직망을 형성하고 대중적인 지지 기반의 확대를 위해 양주, 양평, 관주, 여주 , 홍천 등지에 농민 동맹을 조직했습니다.1945년 3월 노동군의 편성을 위해 군사위원회를 조직, 징용 및 징병 실시 방해, 민심 선동 및 교란, 전쟁 물자수동 방해 등의 활동을 했습니다.국외 조직망을 만들기 위해 만주군관학교에 파견했던 박승환에게 유격대를 편성하도록 하고 북중국 및 상하이에도 연락 책임자를 임명, 연안의 조선독립동맹과는 상호 연계가 이루어지나 충칭의 임시정부와는 연락이 닿기 전 해방의 날이 다가왔습니다.1945년 8월 15일 일제가 항복을 선언하면서 국내에서 활동하던 유일한 건국 조직인 조선건국동맹은 조선건국준비위원회로 확대, 국내외에서 대다수의 민족지도자들은 일제의 패망 후 보통 선거를 통한 민주공화국을 수립한다는 데 뜻을 같이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