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장군인 이순신 장군에 업적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순신 장군은 한산도 대첩에서 일본 함대를 격파하고 대승을 거두었으며, 노량해전에서도 작은 철권선을 이용해 일본의 강력한 함대를 물리치고 승리를 거두며 , 진해대첩에서 거북선을 사용해 일본 함선을 무찌르고 일본 총알을 막아내는 등 뛰어난 전략과 실력을 발휘했습니다.또 이순신은 철권선과 거북선 등 혁신적인 선박과 함께 다양한 전술과 전략을 개발, 진해대첩에서 일본 함선에 강력한 소용돌이를 일으켜 일본 함선의 기동력을 제약하는 등의 전략을 사용했습니다.또, 군대의 훈련과 조직 개편, 해안 방어 시설의 강화 등 조선의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고 신병 훈련과 군사 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조선의 해군을 강화시켰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석전이라는 민속놀이는 정말 실존했던 민속놀이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석전은 한민족의 민속 놀이 중 하나로 조선시대때 정월 대보름이나 단옷날에 했던 놀이 입니다.옛 기록에 따르면 석전은 최소 삼국시대 고구려때부터 있었다고 하며, 구한말 외국인이 기록한 석전을 보면 수십, 수백의 장정들이 서로 짱돌을 던지고 곳곳에서 부상자가 속출하며 승세를 탄 쪽이 상대방 마을로 쳐들어가서 집까지 부술 정도였으니 전쟁 같은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듯 하나, 놀이 취급으로 총 같은 무기는 반칙이었습니다.과격한 놀이로 실제 사람 몇 죽어나가는 것은 전혀 신경쓰지 않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정몽주 단심가와 이방원 하여가가 나온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심가는 고려의 정몽주가 조선의 이방원이 부른 하여가에 대한 답가로 부른 시조로 노골적으로 왕조가 바뀐들 무슨 상관이냐, 얌전히 우리 손잡고 부귀영화를 누리며 새 왕조를 세워 잘 나가보자, 라는 의미인 하여가로 정몽주를 회유하려던 이방원에게 정몽주는 단심가를 통해 설사 죽더라도 고려를 향한 충심은 바꾸지 않는 다고 답한 것입니다.이에 이방원은 회유를 포기하고 부하를 시켜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살해합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 차이?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철자상 모음 뒤에 r이 오는 경우 미국 영어는 r이 발음되지만, 영국 영어에서는 발음되지 않습니다.또 미국영어는 영국영어보다 비음화가 심한 편으로 미국 영어에는 앞뒤에 비음이 오지 않는 경우에도 모음이 비모음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습니다.또 전반적으로 미국 영어가 영국영어보다 자음의 조음이 약해 영국 영어의 자음이 조음기관들을 더 강하고 오래 밀착시켜 조음하며 파열도 더 날카롭습니다.미국영어와 영국 영어는 단어를 강조하는 방법이 다른데, 영국 영어는 자음을 강조하는데 비해 미국 영어는 모음을 강조합니다.
학문 /
문학
23.11.07
0
0
명나라의 태조 주원장을 황제로 만든 인물들은 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원장을 황제로 만든 인물들로는 유계조, 탕황, 곽자흥, 마황후, 황각사 고빈스님, 홍건적 입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정월대보름 오곡밥 풍습은 까마귀전설에서 유래?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제 21대왕 비처왕은 소지왕이라고도 하는데 왕이 즉위한지 10년째인 무진년에 천천정에 행차합니다.그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었고 쥐가 말하기를 까마귀가 있는 곳을 찾아가라고 했고 왕은 기사에게 명령해 뒤쫓게 합니다. 남쪽의 피촌에 이르렀을 때 돼지 두 마리가 싸우고 있었고 멈춰서서 이 모습을 구경하다 까마귀가 간 곳을 잃어버리고 길을 배회했고 그때 한 노인이 연못가운데서 나와 글을 바칩니다.그 겉봉에 '이를 뜯어 보면 두 사람이 죽고 뜯어 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다.' 라고 씌어있었습니다.사신이 와서 글을 바치니 왕은 '두사람이 죽는 것보다 한 사람이 죽는 것이 낫다 '했고 일관은 '두 사람이란 백성이요 한사람이란 왕을 말하는 것입니다. '라고 아룁니다.왕이 그말을 옳게 여겨 뜯어보니 '금갑을 쏴라;라고 씌어있었고 왕은 궁궐로 돌아와 금갑을 쏩니다.그 바람에 내전에서 분향 수도하는 승려와 비빈이 은밀이 간통하고 있다가 주살되며 이때부터 나라 풍속에 따라 매년 정월 상해, 상자, 상오 일에는 모든 일에 조심하여 함부로 행동하지 않게 됩니다. 15일을 오기일로 하여 찰밥으로 제사지내며 이를 속어로 달도라고 하며 슬퍼하고 근심하면서 모든 일을 금한다는 말 입니다.정월대보름에 오곡밥을 먹게 된 것은 가을 추수에 가장 잘 자란 곡식을 그릇에 담았더니 5가지였다는 이유로 오곡밥을 지어먹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구관조 한자에 왜 아홉구를 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관조는 관리 아홉명의 새로, 옛날 태국 관리 9명이 등산을 하다 발견한 9마리 새끼새 한마리씩을 집으로 데려가 보살폈는데 커서 자연으로 돌아갈 때가 되었는데도 가지 않고 관리들 주변을 맴돌며 어린아이 말까지 해 구관조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피아니스트 옆에 앉아서 악보 넘겨주는 사람 뭐라고 부르나요?(전문용어)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주자 옆에서 연주자의 악보를 대신 넘겨주는 사람은 전문용어로 페이지 터너 라고 합니다.
학문 /
음악
23.11.06
0
0
오늘날에도 인도에는 카스트제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카스트 제도 계급은 브라만 , 크샤트리아, 바이야, 수드라 순으로, 브라만은 사제, 크샤트리아는 왕족과 무사, 바이샤는 서민으로 농과 공과 상인, 수드라는 노예 입니다.인도는 장기간 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 교육 수준도 향상되고 있어 이전보다 카스트 제도가 많이 희미해진 것은 맞습니다.그러나 지방 토호의 힘이 세기 때문에 도시권에서 멀어질수록 명확하게 남아있는 양상을 보입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스타벅스가 전 세계에서 인기를 얻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타벅스는 단순히 음료만 파는 곳이 아닌, 커피라는 상품을 문화로 승격시켜 판매하기 때문으로, 단순한 커피 음료 뿐 아니라 잠시 쉬어갈 공간과 시간, 브랜드가 주는 자부심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