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몬드리안의 작품 '브로드웨이 부기우기'의 작품의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엄격하고 무거운 구성과 절제의 세계에서 벗어나 어린아이 같은 천진한 감성과 생애의 즐거움을 화면에 표현한 이 작품은 연합군의 승리를 염원하는 의도고 그린 것이라 합니다.
학문 /
문학
23.08.14
0
0
과거에도 지진의 역사적 기록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기 2년 고구려 유리왕 21년 ,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에 지진에 관한 기록이있습니다.가장 강력한 것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것으로 1643년 7월 24일 울산 근처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서울과 전라도에서 지진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선조실록 29년 '평창에 우레와 같은 지진이 일어나 집이 흔들리다가 한참 후에 그쳤다. 정선 땅에서도 지진이 일어나 서쪽으로부터 동쪽을 향하여 울리는 소리가 하늘을 진동했고, 지붕의 기왓장이 흔들려 거의 무너질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사람들은 모두 놀라 정신을 잃었다고 묘사되어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고려시대 공민왕의 업적을 요약해보자면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징비록을 편찬해 국가의 역사와 국민의 지혜를 기록, 전승함으로써 국가의 정체성을 강화, 반원자주정책으로 쌍성총관부 탈환, 몽골풍 금지,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기철 등의 친원 세력 숙청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조선시대에 태어난 신분, 변경이 가능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 부유한 상민들이 공명첩을 사거나 족보 매입, 또는 위조로 양반 신분을 획득해 양반의 수가 증가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고려 혜종의 출생 설화의 내용이 지저분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혜종의 탄생설화가 조선 세종대왕 시대 활동하던 학자들이 고려사를 편찬할 때 저본으로 삼았던 사료에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고려 시대에는 이러한 이야기가 입에서 입을 통해 주변에 널리 퍼져있던 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 혜종 사후 이복동생 정종이 즉위하자 일어난 왕규의 난 이 고려사에서 볼수있는 승자에 의해 왜곡된 대표적인 사례들 중 하나로 언급되는것으로 보아 혜종의 정통성을 깎아내리는 목적에서 이뤄진 서술보 볼 개연성이 매우 높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는 정말 폭군이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재위 말년 가혹한 폭정을 실시, 각종 전쟁과 후삼국의 정치를 겪으며 망상, 환각, 의심 등의 이상행동이 악화되며 폭군이 되었습니다.고려사에 의하면 집권 후반기에 스스로를 미륵이라 자칭했으며 관심법으로 인간의 생각을 꿰뚫어본다고 주장하고 법봉을 사용하여 가신들을 때려 죽이는 등 광기를 일으켰다 고 기록되어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고려시대의 사원경제는 구체적으로 어떠했는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기 사원은 대토지를 지배했습니다. 사원은 식리 활동이나 상업활동을 통해서도 많은 수입을 확보했지만 토지로부터의 수입이 가장 안정적이었는데 사원은 농지를 경영하면서 상당한 재정 수입을 꾀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축적한 부는 상업, 식리 활동의 바탕이 되었습니다.사원의 토지는 여러 계통으로 마련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로부터 분급받는 것으로 국가는 태조 대 개경에 조영한 여러 사원, 이후 조영된 현화사, 흥왕사 등 중요 사원에 토지를 지급, 받은 토지는 경작자로부터 소출의 10분의 1을 거두어들이는 수조지였습니다.사원은 개간이나 매입, 신자의 시납 등 스스로의 노력으로 토지를 확보하기도 했는데, 사적인 노력으로 확보한 토지는 원칙상 국가에 조세를 부담해야 했고 고려 후기 사원이 탈점과 겸병을 통해 토지를 확대하는 것이 보이며 몽골과의 전란 후 주인 없는 토지를 사패전으로 받아 개간 하는 일이 많았습니다.또한 주변의 산림을 지배하는 수가 많았고 산림에서 땔나무를 확보, 숯, 재목, 솔방울 , 도토리, 과일, 버섯 등을 얻을수 있었으며 산림은 원래 주변의 모든 민인이 함께 사용할수 있어 사원이 배타적으로 이용한 것은 아니나 사원이 산곡 간에 세워진 경우 인접한 산림을 거의 독점적으로 활용했습니다.또한 사원은 활발한 식리 활동을 전개, 식리 활동을 통한 수입은 사원의 재정 수입의 중요한 원천으로 식리 활동을 위해 쓰이는 자산은 여러 방식으로 마련되었습니다. 국가로부터 사여되는 곡물이나 포는 중요한 원천으로 국가과 국왕은 중요 기능을 수행하는 사원에 대해 일정한 재물을 사여해줌으로 식리 활동을 가능케 했습니다.또한 상업활동을 했는데, 불교 교설은 상업활동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었고 고려 시기 사원과 상인이 밀착관계를 맺은 것도 사원이 상업에 활발하게 참여한 하나의 배경이 됩니다.사원은 다량의 물품 구매자임과 동시에 판매자로 사원 건축 시의 자재, 불구 제작을 위한 재료, 불교 행사에 필요한 물품, 승려들의 용품 등의 일부를 구매에 의해 조달, 사원이 소유한 잉여물품과 가공품을 판매, 적극적으로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 상품판매에 참여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임진왜란 시기 조선의 판옥선의 건조 기간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상남도에서 진행된 거북선 복원사업을 보면 15개월 정도로 추정되며, 네모진 통나무 15개를 이어 붙여 배 밑을 만들고 양현에 판재 7쪽 하나하나에 서양의 클링커 이음과 유사하게 턱을 따서 이를 짜맞추고 나무못을 박아 고정시켜 뱃저을 형성,이물비우는 직판 널빤지로 15쪽을 이어 붙이고 고물비우와 영현을 붙이고 뱃전 위에 멍에를 걸고 그 위에 귀틀을 짜 겻집을 깔아 1층 갑판을 만들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신라에서는 닭을 신성시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는 닭신을 공경하여 높이기 때문에 관에 깃을 올려서 장식, 이는 절풍에 새깃을 꽂아 장식하는 조우관이나 조미관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며 신라는 알영부인 설화에 계룡이 등장하고 김알지 탄강 신화에 흰 닭이 등장, 여기에서 계림 이라는 국호가 파생되기도 한것으로 보아 닭을 나라의 상징동물 국수급으로 신성시 했던 것으로 여겨집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한반도 전역에 철기가 보급되고 생산되는것이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반도 철기 문화는 전국시대 연나라를 비롯한 황해안과 인접한 지역권 간의 인적, 물적 교류 관계 속에 등장합니다.그 중 연나라 철기 문화의 확산과 관련해 주로 인용되는 한나라의 문헌인 염철론에 연은 동호를 엄습하여 퇴각시키고 천 리의 땅을 개척하였으며 요동을 지나 조선을 공격하였다. 라는 진개의 동쪽 진출관련 기록이 있습니다.이를 근거로 철기 문화의 확산은 전국시대 연나라 철기 문화와의 관련성이 깊다는 점을 추정, 한반도의 초기 철기는 중국 동북 지역, 구체적으로 연나라의 철기에 계통으로 보고 연계 철기, 전국계 철기라고 부릅니다.전국시대 철기문화는 서기전 3세기경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 확인, 평북 위원 용연동 유적은 한반도 철기 문화의 등장과 관련된 대표적인 유적입니다.한반도 남부 지역 내 철기 등장은 역사적 사건과 귀결시켜 해석하는데 그는 위만조선의 성립과 그에 따른 고조선 준왕의 남천으로 한반도 남부 지역 내 새롭게 철기가 유입되는 곳은 마한권역으로 특히 금강, 만경강 유역이 두드러집니다.삼국지 위서 동이전에서 준왕은 그의 근신과 궁인들을 거느리고 도망하여 바다를 경유하여 한의 지역에 거주하면서 스스로 한왕이라 칭하였다 라는 기사의 한지가 그곳으로 위만조선이 세워진 서기전 194년 이후 철기가 들어온 것으로 당시의 철기는 전량 수입품이었으며 철기의 기종 구성과 형태는 전국계 철기 속에 속하는 것이며 한반도 북부 지역에 확산된 전국계 철기과 같은 맥락으로 봅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