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반도 철기 문화는 전국시대 연나라를 비롯한 황해안과 인접한 지역권 간의 인적, 물적 교류 관계 속에 등장합니다.
그 중 연나라 철기 문화의 확산과 관련해 주로 인용되는 한나라의 문헌인 염철론에 연은 동호를 엄습하여 퇴각시키고 천 리의 땅을 개척하였으며 요동을 지나 조선을 공격하였다. 라는 진개의 동쪽 진출관련 기록이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철기 문화의 확산은 전국시대 연나라 철기 문화와의 관련성이 깊다는 점을 추정, 한반도의 초기 철기는 중국 동북 지역, 구체적으로 연나라의 철기에 계통으로 보고 연계 철기, 전국계 철기라고 부릅니다.
전국시대 철기문화는 서기전 3세기경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 확인, 평북 위원 용연동 유적은 한반도 철기 문화의 등장과 관련된 대표적인 유적입니다.
한반도 남부 지역 내 철기 등장은 역사적 사건과 귀결시켜 해석하는데 그는 위만조선의 성립과 그에 따른 고조선 준왕의 남천으로 한반도 남부 지역 내 새롭게 철기가 유입되는 곳은 마한권역으로 특히 금강, 만경강 유역이 두드러집니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서 준왕은 그의 근신과 궁인들을 거느리고 도망하여 바다를 경유하여 한의 지역에 거주하면서 스스로 한왕이라 칭하였다 라는 기사의 한지가 그곳으로 위만조선이 세워진 서기전 194년 이후 철기가 들어온 것으로 당시의 철기는 전량 수입품이었으며 철기의 기종 구성과 형태는 전국계 철기 속에 속하는 것이며 한반도 북부 지역에 확산된 전국계 철기과 같은 맥락으로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