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적토마는 실제로 존재했던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붉은 색을 띠고, 체력이 뛰어나다는 점을 근거로 현대에도 명마로 유명하고 붉은 빛이 감도는 털빛을 가진 중앙아시아산 아할 테케의 일종으로 추측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한국의 어린이날은 언제 누구에 의해 제정이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어린이들에게 민족정신을 일깨워주고자 진주를 시작으로 각 지역에 소년회가 창설, 일본의 도요 대학의 아동 미술과에 입학한 방정환은 아이들이 사회에서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에 눈을 뜨고 1921년 김기전, 이정호 등과 함께 천도교소년회를 조직해 소년운동을 했고 아이를 인격을 가진 한 사람의 독립된 사회 구성원으로 대해야 한다는 의미로 어린이 라고 불렀습니다.1922년 4월 각 소년운동단체, 신문사 등이 모여 논의한 결과 어린이날은 새싹이 돋아난다는 의미로 새싹이 돋아나는 5월 1일을 어린이날로 정하고 그래 천도교소년회에서 5월 1일을 어린이날로 선포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야인시대의 김두한이 김좌진 장군의 아들이란 것이 팩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좌진 장군의 친자인지 아닌지에 다양한 설이 있으나 결론은 김두한이 김좌진의 친아들이라는 것은 사실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세계 전쟁사에 관심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피오나 맥도널드의 십자군 전쟁 이야기, 김제현의 십자군 전쟁의 진실, 김광채의 제 1차 십자군 전쟁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김좌진 장군의 청산리 대첩 현재 장소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20년 10월21일 부터 10월 26일까지 만주 가도 지역에서 벌어진 한일간의 전투 입니다.김좌진이 지휘하는 북로 군정서군, 홍범도가 지휘하는 대한 독립군 등이 연합해 중화민국 길림성 화룡현 삼도구 청산리 백운평, 천수평, 완루구 등지에서 10여 차례 걸쳐 구 일본군과 교전한 일련의 전투 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한국 원불교의 역사가 그렇게 오래지는 않은 것으로 앎니다 누가 원불교를 창시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불교는 1916년 소태산, 박중빈이 창시한 한국의 신 불교입니다.20살이 되던 1910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22살때 부터 도사를 만날 생각을 접고 근심에 가득찼는데 이후 혼자 수행을 계속하나 상황은 악화되고 몸도약해져 온 몸에 종기가 나고 밥도 제대로 못먹는 등 폐인처럼 지내다가 1916년 음력 3월 26일 새벽 조용히 묵상하던 중 큰 깨달음을 얻으며 그동안의 의심이 풀리고 정신이 맑아지며 기운을 차렸습니다.이후 불교 , 동학, 유교, 도교, 기독교의 경전들을 구해 열람했고 내가 깨달은 바는 옛 성인들이 먼저 깨달았구나 하며 그중 석가모니의 가르침이 제일이며 석가모니는 성인들 중의 성인이라 했습니다.내가 스승의 지도 없이 도를 얻었으나, 발심한 동기로부터 도 얻은 경로를 돌아 본다면 모든 일이 은연 중 과거 부처님의 행적과 말씀에 부합되는 바 많으므로 나의 연원을 부처님에게 정하노라 하고 불법을 주체로 삼아 완전 무결한 큰 회상을 이 세상에 건설한다고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일제시대 창시개명 은 강압적인 의무 사항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표면적으로는 일정기간 신청을 받아 개명하도록 했으나, 개명에 응하지 않을 경우 다양한 불이익을 주었습니다.그래서 반강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일제시대 조립된 진단 학회는 어떠한 성격의 학회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강점기 하에서 한국인 스스로 한국문화의 개척, 발전,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한국은 물론, 인근 지역의 문화에 대해서까지 관심의 영역을 두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년에 4회 학보를 발간, 수시로 강연회, 간담회 , 그 밖에 필요한 사업을 추진하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부여의 '순장'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 사람들은 죽은 사람의 영혼이 살아있다 생각하여 높은 계급에 있던 사람들이 죽어 땅에 묻힐때 그 사람의 유품, 금은품, 그 사람을 모셨던 노비를 함께 묻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1926년 6.10만세 운동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26년 4월 26일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이 승하하면서 조선 왕실의 역사는 끝이나며 많은 사람들이 서울로 몰려가 황제의 죽음을 슬퍼했지만, 사람들이 뭉칠 것을 우려한 일본 경찰들이 강제로 사람들을 해산시킵니다. 그러면서 일제는 영친왕을 이왕으로 봉하고 항일 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를 펼치게 됩니다.애국자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사람들을 모아 다시 한번 독립운동을 궐기했고 순종의 장례식인 6월 10일 전국적인 만세운동을 하기로 결의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955
956
957
958
959
960
961
962
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