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의 활은 언제부터 쓰였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고유의 활은 국궁이라 부르며 한반도나 만주 중남부 일대의 한민족은 고대부터 활을 주된 무기로 삼았습니다.고조선과 동시대에 있던 동예에서 박달나무로 만드는 목궁인 단궁이 중국까지 알려졌다고 하며 부여의 건국신화에서 동명왕과 활 관련 이야기가 나옵니다.
학문 /
역사
23.12.10
0
0
식민지를 가장 많이 보유했던 국가는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영제국은 1607년 최초의 13개 식민지 건설을 시작으로 1997년 홍콩 반환까지 지구상의 모든 대륙에 걸쳐 있던 식민 제국이었습니다.최전성기에 전세계 육지 면적의 1/4과 전세계 인구의 1/6을 보유, 영토 면적으로 세계 최대, 인구 수로도 당대 최대의 규모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12.10
0
0
트로이의 목마는 실제로 일어난일인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트로이 목마는 트로이 전쟁에서 사용된 작전인데요트로이 전쟁은 신들과 영웅들이 개입한 것으로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전쟁입니다.
학문 /
역사
23.12.09
0
0
부여의 건국신화는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여는 고리국의 동명성왕이 건국한 예맥족 국가 입니다.부여의 건국신화는 동명이 탁리국을 벗어나 부여를 건국하는 과정에 대한 설화로 서기 60년 후한의 왕충이 쓴 논형에 기록되어있습니다.고구려 건국 신화인 주몽 설화와 거의 내용이 일치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9
0
0
신을 믿는 종교는 언제부터 처음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로아스터교는 페르시아 지역에서 발원한 이란 계통의 종교로 자라투스트라의 가르침을 따르며 인류 역사상 최고의 일신교로 꼽힙니다.그러나 엄밀히 보면 선한 신과 악한 신을 두고 이원적으로 세상을 보는 단일신교에 해당됩니다.
학문 /
역사
23.12.09
0
0
흑사병이 유럽 인구에 미친 영향은 어떠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 흑사병은 남유럽인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DNA분석 결과 페스트의 병원균인 페스트균이 병원균으로 밝혀졌습니다.흑사병은 중앙아시아의 건조한 평원지대에서 시작되어 비단길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해 1343년 경 크림반도에 닿았고 여기서부터 화물선에서 들끓던 검은쥐에 기생하던 동양쥐벼룩을 기주로 해 지중해 해운망을 따라 유럽 전역으로 처지게 됩니다.이 흑사병으로 유럽 총 인구의 30~60%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9
0
0
정규노선으로 다닌 우리나라에 첫버스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28년 서울 시내 전차 노선이 확장되면서 경성부청 앞 정거장~ 동대문 정류장 구간 처음 노면 전차가 운행됩니다.당시 일본인 사업가이자 조선총독부 철도국 이사였던 고바야시 이치조가 1926년 12월 1일 경성전기주식회사를 설립하면서 경성의 대중교통 체계 개편 작업이 추진, 이를 위해 1930년 4월 10일 남대문 정류소~ 동대문 정류소 간 2.8km간에 개통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9
0
0
영국의 국기는 언제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의 디자인이 정해진 것은 1800년 합병령으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과 아일랜드 왕국이 통합해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이 되면서부터 입니다.
학문 /
역사
23.12.09
0
0
신라시대의 화랑은 어떤일들을 했고 화랑이 되기위해선 어떤 자격조건같은것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랑은 고대 신라에 있던 소년들로 이루어진 심신 수련 및 교육단체로 , 주 목적이 심신수련이지만 창설 초창기부터 주 목적은 관리, 군인 양성이었습니다.화랑은 전신 원화의 편성 목적에서 알수있듯 전국의 인재를 화랑의 매력으로 모으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렇게 모인 인재를 화랑과 휘하에 모인 낭도들간의 공동 생활로 결속력과 단합력을 다지고 교육해 그 중 능력이 우수한 자를 천거해 뽑아 신라의 군인 즉 문무관직에 올리는 역할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9
0
0
문득 궁금해 지는데 돌잔치에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돌잔치를 행한 기록은 국조보감, 지봉유설에 기록되어있습니다.이를 보아 조선시대부터 행해졌음을 알수있으며 과거 영아 사망률이 높았으므로 1년을 살아남으면 앞으로도 살 가능성이 높다 여겨 잔치를 벌였습니다.1990년대까지만 해도 보통 집에서 행해졌으나 요즘은 밖에서 치르는 돌잔치로 추세가 바뀌었습니다.시대와 가치관에 따라 돌잡이 품목이 달라지며 요즘은 부모가 원하는 품목을 설정해 넣기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9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