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광복후에 미군정이 돈을 많이 찍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군정이 1946년부터 재정 적자를 보전하고자 조선은행으로부터 거액의 자금을 정부 대상금 형식으로 차입함에 따라 통화 남발이 지속되며, 조선은행이 미군정하의 재정 적자를 보전하기 위해 정부 대상금으로 대출하게 되고 식량을 확보하기 위해 거액의 대출을 하게 됨으로 통화 남발이 계속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2
0
0
척준경이 고려제일검이라고 불리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척준경은 인간이라고 볼수없는 활약도를 보여준 한반도 역사상 최강 무력의 소유자로 한국사에 등장하는 명장들은 대부분 최고 사령관의 위치에서 활동, 따라서 일신의 무력보다 전략, 전술에 능한 유형이었으나 척준경은 본인의 무력 그 자체가 유난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2.02
0
0
우리나라 학생들이 최초로 교복을 입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성균관의 청금복이 교복의 원조로 볼수 있습니다. 청금복은 태종 11년인 1411년 6월 처음 제정, 이때 청금복은 청금난삼을 의미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2
0
0
정유재란은 임진왜란이 끝난 후 발생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 중 강화 교섭의 결렬로 왜군이 정유년에 다시 침략했습니다.명칭 자체는 정유년에 발생한 일본의 재침략만을 의미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2
0
0
신사임당의 초충도 등을 많이 그렸는데 작품은 어디에 전시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사임당의 초충도는 16세기 만들어진 것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12.02
0
0
스위트홈2 자녀와함께 봐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녀의 연령이 어찌 될지 모르겠으나 스위트홈 2는 19세 이상입니다.잔인하거나 자극적인 장면들이 많아 아무래도 같이 보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학문 /
문학
23.12.02
0
0
노예제도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존재하였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33년 영국을 시포로 1847년 오스만제국, 1848년 프랑스, 스페인어권 라틴아메리카에 이어 남북전쟁으로 미국에서 노예제 폐지, 이때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노예제도가 폐지되고 이들은 자치구에 합류합니다. 2000년대 들어 자치구들에서 흑인들의 거주를 금지하는 안건들이 통과되나 법원과 미국 정부가 반대해 논란이며, 1886년 쿠바, 마지막으로 1888년 5월 22일 브라질에서 노예제 폐지가 되면서 모든 서구 국가에서 노예제가 사라지며 이후 서구 열강들이 새로 차지하는 모든 식민지에서 노예제가 폐지됩니다.
학문 /
역사
23.12.02
0
0
제정 일치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교와 정치권력이 분리되지 않고 한 사람에게 집중된 체제를 말합니다.이슬람권 국가들의 경우 대부분 제정일치로 종교가 국가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구조입니다.
학문 /
역사
23.12.02
0
0
신라시대 화랑들이 성과를 올렸던 전쟁은 어떤 전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라가 어려울 때 학도병처럼 화랑이 실전 전쟁에서 나서기도했으나 화랑의 본래 의도는 세계의 고대 사회에서 흔히 보이는 청소년층 집단 교육 풍습이 국가기관화 된 것으로 삼국 말기 전쟁에서의 활약은 대부분 보조 병력으로 참여했습니다.신라의 국방이 위태로운 상황이 되면서 화랑이 나서는 일이 많아졌고, 어린 화랑이 공을 세우는 특별한 상황이 기록에 많이 남아있는데 본업이 군인이 아니고 황산벌 전투의 관창은 화랑으로서도 특별한 것이었습니다. 이들은 한창 성장하는 청소년들이었고 전쟁에 황산벌 전투 같이 대단히 중요한 전투나 나라가 위태한 상황에만 제한적으로 참가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2
0
0
수양제 양광은 왜 중국 역사상 최고의 폭군이라는 평가를 받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광은 낙양에 동경을 쌓는데 매월 2백만명의 백성을 동원, 각지에서 희귀한 석재와 목재를 수집해 낙양으로 보내지는데 이 과정에서 수십만명의 사람이 줄게됩니다.양광은 대운하를 건설 시 40여개의 행궁을 지었고 운하 옆에 대로를 건설해 그 옆에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심었습니다. 대운하 건설에 숨많은 백성들이 동원, 운하에서 얕은 지배가 발견되자 양광은 관리 책임자와 인부들을 강가에 생매장하기도 했습니다.극심한 폭정으로 백성들은 토목 공사나 전쟁에 동원되어 죽느니 차라리 불구로 산다 해도 노역이나 징집은 면하고 싶다고 하여 스스로 팔이나 다리를 잘라 복수복족 이란 말이 생겼습니다.이는 팔이나 다리가 잘린 사람은 노역이나 징집에서 면죄되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2.02
0
0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