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대이집트에선 제모크림을 사용했었는데 어떻게 만들어서 사용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 시기 제모는 밀랍, 점토, 꿀, 백단향, 설탕 , 석회가루, 조개껍질, 청동이나 돌로 만든 칼 등을 이용해 제모를 했으며 기록 중 클레오파트라는 뜨거운 왁스를 사용해 제모했다는 내용이 전해집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로마시대이후 유럽에서 면도는 어느시기부터 다시 하게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염은 남자다움의 상징으로써 면도를 하지 않았으나 알렉산더 대왕이 면도를 하면서 인기를 끌게됩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로마시대에는 목욕탕에서 면도를 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알렉산더 대왕이 수염을 밀고 다니자, 로마에서도 점점 면도 열풍이 불기 시작했으나 면도 기술이 없다 보니 시도 중 턱에 흉터가 나는 경우가 빈번했고 감염으로 인해 턱뼈를 자르기도 했습니다.로마는 이에 대해 고민을 거듭하다 따뜻한 습기가 있을 때 면도를 하면 보다 수월했었던 기억을 통해 bath라는 문화를 정착하게 되며 목욕탕에 가면 이발소가 있는 것 또한 로마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유럽 고대의 신들의 조각상을 보면 얼굴이 수염이 없는게 보편적인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500년경 까지 그리스 세계에서는 수염을 기르는 관행이 일반적이었으나 그 후 고대 그리스의 영웅 조각에 있던 남성성과 지혜를 상징하던 수염이 점차 사라지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남성다움의 일종으로 본보기로 통하는 헤라클레스, 아킬레스를 표현한 조각상들에서 수염이 사라지기 시작합니다.이때부터 수염 없는 모습을 일종의 젊은 활력으로 상징화하게 됩니다.또한 그리스의 신이나 유명인들의 조각상을 보면 수염이 없는 경우나 꽤나 보이는데 그것은 소년일 당시 신이 되었기 때문으로 알렉산더 대왕은 자신을 신과 동일시 했다고 보여집니다.
학문 /
미술
23.11.28
0
0
뉴질랜드의 총리와 총독의 역할은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뉴질랜드 총리는 뉴질랜드의 정부 수반으로, 뉴질랜드 총독이 뉴질랜드 국왕을 겸임하는 영국 국왕을 대신해 총리를 임명, 과반을 차지한 다수당의 다수나 연립정권의 제 1당 당수를 총리로 임명합니다.뉴질랜드 총독은 뉴질랜드 국왕이 해외에 나가 있을 때 왕을 대리하는 사람으로서 뉴질랜드의 상징적 국가원수로 간주됩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옛날 언제부터 왜 할머니들은 다 뽀글뽀글 파마를 하셨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리가 편하고 특별한 손질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유와 함께 나이가 들면 머리카락이 빠지거나 가늘어지기 때문에 뽀글파마머리 말고는 다른 선택을 하기 힘들었기 때문입니다.또한 뽀글파마의 지속시간이 길다는 점과 가격이 다른 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신라의 화랑 중에 사다함이라는 화랑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 은 김으로 내물왕의 7대손입니다.급찬 구리지의 아들로 화랑으로 추대되어 1000여 낭도를 거느렸으며 562년 이사부가 가야국을 정벌 시 15세로 귀당비장으로 출정하여 전단량으로 들어가 멸망시키는 데 공을 세웠습니다.그 공으로 밭과 포로 가야인 300명을 상으로 받으나 밭은 병사에게 나눠주고 포로는 모두 풀어주었습니다. 어릴때 무관랑과 우정을 맺어 죽음을 같이 하기로 했는데 무관량이 병사하자 7일동안 통곡하다 죽었다고 전해집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오랑캐라는 단어의 어원은 어떻게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비 사막의 북방 즉, 막부의 동부에 할거하던 몽골계 종족인 우량카이족에서 유래한 이민족에 대한 한국어 멸칭으로, 우랑카이라는 이름은 명나라때 북방 이민족을 가리키는 대명사가 되었고, 이것이 조선에서 오랑캐로 불리기 시작했는데 /ㅗ/[u>o]/ ㅐ/[ai~aj>ε]의 발음 변화를 거쳐 오늘날의 원형이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분배의 공평성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분배의 공평성에는 어떤 예시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평한 분배는 자원과 혜택을 각 개인의 기여에 따라 공정하게 나누는 원칙을 내포하며 이는 개인의 고유한 기능과 역량, 노력, 창의성, 기타 다양한 개인적인 특성들을 종합해 고려하여 자원이 어떻게 할당되는지 규정합니다. 이는 자유민주주의 체계 내에서 경제적 활동과 리소스 분배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원리 중 하나입니다.예를들어 군입대의 경우 대한민국 남성이라면 누구나 병역의 의무를 해야 하나 , 건강이 좋지 않은 남성이라면 군대에서의 기간동안 훈련을 견디기 무리가 있으므로 면제를 받게 됩니다.이는 건강이 좋지 않은 남성을 일반 건강한 남성과 다르게 취급하는 것입니다.
학문 /
문학
23.11.28
0
0
베트남전쟁의 꾸지터널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찌터널이 만들어진 것은 프랑스 식민지시대에 만들어졌으며 당시 프랑스의 식민통치를 반대하던 베트남인들이 게릴라 활동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처음입니다.베트남전쟁이 발발하자 상대적으로 모든 것이 열세인 베트남군은 미군과의 효과적인 전투를 위해 구찌터널을 이용, 구찌는 호찌민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미군을 상대로 적지에서 산발적인 게릴라 전술을 펼치기에 유리한 지역이었습니다.구찌터널의 길이는 250km에 이르고 깊이는 지하 3m~8m까지 만들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여러층과 방들이 만들어져 있고 4층구조로 넓게 만들어진 공간도 있습니다.터널의 통로는 세로 약 80cm 가로 50cm로 좁고 협소해 이동하기 불편하나 체구가 작은 베트남인들에게는 견딜만한 공간이었고 덩치가 큰 미군들은 접근조차 힘들었습니다. 터널의 입구는 나뭇잎 등으로 정교하게 위장이 되어있어 외부에서 쉽게 발견되지 않으며 터널의 규모를 짐작하기도 어렵습니다.베트남 전쟁 당시 터널 위에 미군 기지가 있었으나 미군들은 터널의 존재를 몰랐다고 하며, 나중에 터널이 발견되어 이를 소탕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으나 입구 몇곳만 찾아 파괴하는데 그쳤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