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철기를 발명한 히타이트는 왜 갑자기 멸망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투실리 3세 시대를 기점으로 점차 약화되는데 이는 당시 기후 변동으로 오리엔트가 점점 건조해져 현재의 기후로 변해가고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 , 수도인 하투샤 근처에 흐르는 크즐으르막강 정도의 수자원으로는 건조화에 제대로 대응할수 없었습니다.청동기 시대 종말을 고하는 대규모 바다 민족의 이동이 유럽 대륙에서 시작되면서 히타이트는 미케네와 윌루샤등과 함께 멸망, 마지막 왕인 수필룰리우마 2세의 운명 역시 내전 중 기록이 끊기는데 이후 히타이트는 유프라테스강 어귀의 카르케미쉬에서 부활해 이 시기를 신히타이트라고 부릅니다. 이전과 같은 제국이 아닌 몇몇 도시 국가들로 잔존, 군사적인 정복보다 상업 등에 주력했습니다.기원전 717년 잔존 세력마저 당시 오리엔트 대부분 지역을 평정했던 아시리아에 의해 정복되어 완전히 멸망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6
0
0
국수는 세계 역사상 언제부터 먹기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최초로 국수를 만들어 먹었다고 추정합니다.밀을 최초로 대량 재배한 곳으로 여겨지는 만큼 국수와 만두가 최초로 만들어진 곳으로 추정됩니다.인류 최고 문명 발상지와 가까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국수를 발견, 여기서 서쪽으로 퍼진 것은 최초의 국수와 가까운 형태인 파스타, 동쪽으로 퍼진것은 쌀국수, 탕면 등 각기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6
0
0
우리나라 절에 가면 석탑들을 세워놓은 이유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탑은 본래 부처님의 사리를 묻고 그 위에 흙과 돌을 높이 쌓은 무덤으로 석가모니가 가섭불의 사리를 위해 흙을 쌓아 탑을 만든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후세에는 부처님과 큰 스님들의 사리를 봉안하고 그 덕을 존경하여 예배의 대상으로 탑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6
0
0
아라비아숫자의 시작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십진법의 위치 기수법을 사용한 인도-아라비아 수체계는 기원후 538년 무렵 인도에서 시작되었으며 위치 기수법의 사용을 위해 0 이 도입되었습니다.숫자의 글자체는 계속 변화를 겪었고 현재 인도에서 사용되는 글자체로 정착된 것은 9세기 무렵이며, 9세기 페르시아의 수학자 콰리즈미는 인도 숫차 체계를 받아들여 사칙연산의 계산에 도입했습니다.서유럽에 전해져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아라비아 숫자는 북아프리카 마그레브와 스페인 알안달루스에서 형성, 이를 기존의 동아라비아 숫자와 구분해 서아라비아 숫자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26
0
0
조선시대 왕이나 왕비, 후궁들도 녹봉이라고 월급을 받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임금의 월급은 따로 없었고, 왕실재산과 국가재산이 분리 되지 않았으며 왕권이 강력하던 시절이므로 임금의 월급이란 개념이 없었습니다.후궁은 왕실 내명부 소속으로 정 1품 빈 부터 종 4품 숙원까지 8품위의 품계를 가지며 , 품계와 왕실 기여도에 따른 별도의 녹봉을 받았습니다.이는 품계에 따라 달라지나 같은 품계라도 왕손을 낳은 후궁은 녹봉을 더 받았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26
0
0
옛날에는 사유재산을 어떻게 보관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의 경우에는 고려의 경우 내고, 조선의 경우 내수사라는 기관을 만들어 왕의 사유재산을 관리했습니다.이는 왕의 직속 기관으로 운영 또한 환관들이 맡아 운영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6
0
0
태극기는 어떻게 만들어 지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극기는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조인식에서 역관 이응준이 최초로 사용했습니다. 본래 조선은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처럼 국가적 상징으로서의 국기개념이 없었으며 강화도 조약을 체결한 이후 국기 제정 문제를 두고 논의했으나 계속해 도안을 정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1882년 5월 14일 미국 공사 로버트 슈펠트는 5월 22일 있을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인을 앞두고 조인식에 사용할 국기를 지정해 달라 요청, 이에 통리기무아문의 김홍집이 역관 이응준에게 국기를 그리게 했고 이것이 최초의 사용례인 이응준 태극기 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6
0
0
유대교의 코셔라는 것은 무었인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코셔란 유대교 율법에 의해 식재료를 선정하고 조리 등의 과정에서 엄격한 절차를 거친 음식을 말합니다.사전적으로 적당한, 합당한 이라는 의미로 유대인의 율법에 상응하는 정결한 음식을 칭합니다.
학문 /
음악
23.11.26
0
0
실로 진맥하는 것이 실제로 역사에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실제로는 진맥을 실로 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남녀유별의 사회에서 왕후등을 진맥할 때 천에 손목을 올려 진맥을 하거나 환자가 여자이고 의관이 남자일 경우에는 어의녀 등을 시켜 대신 직맥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학문 /
역사
23.11.26
0
0
과거 조선시대 오랑캐라고 부른 나라들은 어떤 나라들이 있었는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통 몽골계 민족과 퉁구스계 여진족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오랑캐라고 불렀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6
0
0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