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어떤 정부를 문민정부라고 칭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민정부라는 것은 직업 군인이 아닌 일반 국민이 수립한 정부를 뜻하는 용어 입니다.
학문 /
역사
23.12.26
0
0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오래된 건축물 중 하나로 이집트의 피라미드가 꼽힙니다.피라미드는 기원전 약 2580년~ 2560년 사이 건립된 햄프쿠 피라미드가 가장 오래된 건축물 중 하나로 꼽힙니다.
학문 /
역사
23.12.26
0
0
한국 최초 미장원은 어디에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 미장원은 공식적으로 1930년 오엽주라는 신여성이 일본에서 배워온 파마 위주의 미용기술을 이용해 개업한 오엽주 미장원으로 기록되어있습니다.당시 화신상가안 오엽주 미장원이라는 간판을 걸고 영업했습니다.그러나 김은신이 지은 한국 최초 101장면이라는 책을 보면 이보다 훨씬 전 경성 미용원이라는 상호로 광고를 한 곳 소개하는데 1920년 7월 29일 동아일보에는 '경성미용원은 얼굴을 곱게 하는 곳이올시다'로 되어있습니다.상호가 나와있는 것을 보면 분명 엽업을 목적으로 했으며 미용원이란 용어를 썼으므로 우리나라 최초 미장원은 이곳으로 보기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12.26
0
0
반고흐의 파이프를 물고 귀에 붕대하고 있는 그림에 주인공은 왜 귀가 다쳤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는 자화상 입니다.반고흐가 왜 귀를 잘랐는지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고 여러 가설이 있습니다.재정적으로 어려웠던 고갱은 반고흐의 동생 테오와 관계를 적극적으로 이어나갔고, 테오는 형을 후원하고 돌보는 일에 지쳐있었습니다.그래서 테오는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고갱에게 형과교류할 것을 요청, 이때부터 이 둘은 예술관으로 교류하고 서로의 자화상까지 교환하며 함께 생활하기로 약속하며 동거를 시작합니다,그러나 이 둘의 성격은 정 반대였고, 이 성격차이로 서로 멀어지게 되면서 서로 다툼으로 이어져 날카로운 말이 오가기 시작합니다.결국 동거생활을 마무리 짓기로 결정, 반 고흐는 분노를 삭히지 못하고 고갱으로부터 들었던 욕이 귀에 멤돌아 결국 귀를 잘라냈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12.26
0
0
채충순의 생애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충청북도 음성 출신으로 추정되며 목종 때 중추원부사가 됩니다. 1009년 왕이 병중에 있을 때 김치양이 천추태후와 사통해 얻은 아들을 왕위에 올리려는 역모를 꾸미자 왕명으로 중추원사 최항 등과 함께 대량원군 왕순을 영입했습니다.현종이 즉위하자 직중대가 되었고 이어 이부시랑 겸 좌간의대부를 지냈으며 1011년 거란이 침입하자 왕을 호종해 나주로 피난, 거란이 퇴거한 뒤 비서감을 거쳐 중추사에 올랐습니다. 이듬해 예부상서, 중추원사가 되고 그 해 사신으로 거란에 다녀왔습니다.1016년 예부상서 좌산기상시 중추사를 거쳐 1018년 이부상서 참지정사에 올랐으며 이듬해 추충진절위사공신이 되고 제양현개국남에 봉해졌습니다. 이때 왕에게 아뢰어 부모의 나이가 80이상이 된 군사는 병역을 면하여 취양하게 하고, 부모의 나이가 70이 넘고 다른 형제가 없는 문무관은 외직에 보 하지 말것이며, 그 부모에게 병이 있으면 200일의 휴가를 주어 보살피게 했습니다.1021년 검교태위에 올라 제양현개국자에 봉해지고 보국공신이 더해졌으며 1022년 내사시랑평장사 겸 서경유수가 되고 이듬해 태자소사, 1025년 판상서예부사를 역임합니다.1027년 문하시랑평장사에 승진, 1030년 판서경유수사가 되며 이듬해 병으로 치사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6
0
0
나폴레옹에 대한 요즘 프랑스의 평가는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랑스에서는 국가의 영웅이라는 찬사와 나라를 전쟁으로 이끈 전쟁광이라는 비난이 공존합니다.
학문 /
역사
23.12.26
0
0
고려의 마지막왕 공양왕은 어떻게 폐위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성계 일파의 압력과 간섭으로 우왕, 창왕 부자를 살해케하고, 이성계에게 실권을 빼앗겼다가 정몽주가 살해된 후 이성계 일파에 의해 덕이 없고 어리석다는 이유로 폐위당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6
0
0
아리스토텔레스는 어떤 위업을 남겼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리스토텔레스는 이전의 모든 학문을 집대성한 지적 거인으로서, 스스로가 자신이 고대 학문의 정점을 이룬다 생각했습니다.이런 관점에서 최초로 철학사를 썼으며 처음으로 학문을 체계적으로 분류, 오늘날 우리가 쓰는 학문 이름들도 모두 그에게서 유래되었습니다.이론 학문에 관심이 많았으며 자연철학에 노력을 기울였는데 그 중 생물학은 그의 주된 분야였으며 당시 모든 학문을 집대성, 근대 이전 가장 합리적이고 방대한 체계를 이루었습니다. 체계론의 원형적인 모습을 제공, 그는 학문을 분류하고 세분화하여 물리학, 경제학, 정치학, 시학, 윤리학 등 학문의 명칭을 붙였습니다.담론세계를 처음으로 분류, 정비했으며 예비학을 논리학으로, 이론철학을 자연철학 및 형이상학으로 , 실천철학을 윤리와 정치로, 기타 시학이나 수사학까지 학문 세계를 조직화했습니다.
학문 /
철학
23.12.26
0
0
다른 문명은 청동기에서 철기로 잘 넘어갔는데요 이집트는 왜 이렇게 늦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집트는 주로 널리 퍼진 토양이 아닌 아래부분에서 물을 받아들이는 질척한 토양인 흙으로 덮여있었습니다.이에 철기시대의 농업 활동을 어렵게 했기 때문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이집트 농업생산성이 낮아 철기문화가 늦게 발전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6
0
0
탐라국의 건국신화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탐라국은 전라도의 남해바다 가운데 있으며 옛 기록에 의하면 태초에는 사람들이 없었으나 그 후 어느때인가 세명의 신인이 땅속에서 지상으로 솟아나왔다 합니다. 그 맏이를 양을나, 둘째를 고을나, 셋째를 부을나 라고 하며 세 사람은 산간 유벽한 곳으로 다니면서 사냥을 하여 가죽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살았습니다.하루는 붉은 진흙으로 봉한 나무궤 하나가 동햇가로 떠들어와 닿는 것을 발견, 세사람이 달려가 그 궤를 열어보았더니 그 안에 또 돌함이 들어있었고 자지옷에 붉은 띠를 띤 사자 한사람이 따라 나왔습니다. 그가 돌함을 여니 돌함속에는 푸른 옷을 입은 세 처녀와 망아지, 송아지 및 오곡종자 등이 나왔습니다.사자는 세사람에게 자기들의 내력을 소개, ' 이 처녀들은 저의 나라 왕의 딸들인데 왕의 말씀이 서해 가운데에 섬이 있어 거기에 신의 아들 세사람이 하강하여 장차 나라를 창건하려 하고 있으나 배필이 없다고 하시면서 저더러 분부하기를 세 딸을 데리고 가라고 하시기에 제가 명령을 받들고 여기에 왔습니다. 바라옵건대 그들로 배필을 삼으시고 대업을 성취하옵소서' 하고 세 여자를 바치고 문뜩 구름을 타고 가버렸습니다. 세 신인은 나이 순서대로 각각 세 처녀를 아내로 삼았습니다.그리하여 각기 세사람은 샘물이 달고 땅이 비옥한 곳을 찾아가서 살곳을 정하게 되었는데 양을 나가 사는 곳을 제일도라 하고, 고을나가 사는 곳을 제이도라 하고 부을 나가 사는 곳을 제삼도라고 했습니다 . 이때부터 처음으로 오곡을 파종하고 또 망아지와 송아지를 길렀는데 날이 감에 따라 그들은 점차 부유하고 번영하게됩니다.
학문 /
역사
23.12.26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