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에는 어떤 교통수단을 주로 사용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로 걸어서 다니는것이 많았고, 물길에서는 배를 사용했습니다.귀족이나 고위관리들은 말을 타고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중상층 이하의 사람들도 말을 이용하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크리스마스 트리의 유래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 보니파티우스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로 그는 게르만족이 해마다 숲 속의 전나무에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것을 보고 옳지 않은 일이라 생각해 이 나무를 베어내 향후 제물이 될 사람을 구합니다 .제물로 바쳐질 위기에 빠졌던 사람들은 이에 안도하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무를 베어낸 결과로 재앙이 닥칠 것을 두려워했지만 그 나무는 다음해 봄에 다시 싹을 틔운 것은 물론 어떤 재앙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이에 감복한 사람들은 이 나무를 둘러싸고 감사를 드리게 되며 이때부터 이 나무에 모여 예배를 보는 관습이 생겼습니다.이것이 뒤에 크리스마스의 장식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제기차기는 언제부터 시작된 전통놀이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기는 이미 고대의 공차기인 축국에서 비롯된 것으로 제기 또는 제기차기 또한 축국을 우리말로 표현한 것입니다.공을 차는 축국을 조선 초 뎌기 라고 했고 18세기 이후 져기, 젹이 를 거쳐 제기로 바뀌었습니다.고구려, 백제, 신라 세 나라 모두 축국을 즐겼는데 특히 신라의 축국 기록에서 확인되는 놀이 형태는 제기차기 방식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풍산개는 어디지역에서 유래된 전통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풍산개는 북한의 개마고원에 위치한 함경남도 풍산군 일대에서 길러지던 고유의 토종개이며 고산지대에 적응해 긴 세월을 거주민과 함께한 경비견 및 큰 짐승이나 맹수를 사냥하기 위한 사냥개 입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조선시대에는 공룡이라는 존재를 아예 몰랐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공룡의 개념이 없었습니다.자연환경과 동물들에 대해 지식은 있었으나, 민간 신화나 전통적인 사상 등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공룡이라는 개념의 화석 등의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소리와 함께 이쁜 오르골에 유래에 대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처음 오르골은 시간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중세 교회의 시계탑에서 유래됩니다.한때 유럽 뿐 아니라 중국에까지 널리 유행해 스위스의 기간산업으로 발전했던 오르골은 에디슨의 축음기 발명과 1차 세계대전, 경제 대공항 등으로 소멸위기를 맞으나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럽에 주둔한 미군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어 오르골 산업이 다시 일어나게 됩니다.1950년 대부터 일본에서 소형 오르골의 대량 생산이 시작되며 스위스 위주의 오르골 산업이 일본으로 넘어가게 되었습니다.이에 오르골은 일본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손으로 돌려 소리를 내는 오르겔이 네덜란드에서 일본으로 전해지면서 일본식 발음으로 굳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신라의 시득 장군은 어떤 인물이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득 장군은 신라의 중대의 장군으로 관등은 사찬에 이르렀습니다.문무왕은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후 당나라 세력의 축출을 위해 대당투쟁을 벌입니다.676년 11월 그는 선병을 이끌고 소부리주 기벌포에서 당나라의 장군 설인귀와 대적하여 크고 작은 전투를 22회 걸쳐 일진일퇴를 거듭하면서 4000여 명의 목을 베어 당군을 격최하는데 공헌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아기공룡둘리에 역사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기공룡둘리는 1983년 4월호부터 육영재단에서 발행하던 월간 만화잡지 보물섬에 1983년 4월 23일부터 1993년 8월8일까지 10년간 연재되었습니다.1996년 7월 24일 개봉한 만화 아기공룡 둘리의 극장판인 아기공룡둘리: 얼음별 대모험 입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한복이 예쁘다고 하면서 잘 입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복의 특징 상 현대의류와 다르게 불편한 점이 많기 때문입니다.전통적이면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일상에서 활동하기 불편하기 때문이며 고가의 의상이라는 이유와 관리가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2.23
0
0
크리스마스를 공휴일로 한 최초의 나라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마제국입니다.기원전 4세기 기독교가 로마제국에 퍼지게되면서 그리스도의 탄생일은 12월 25일을 기념하는 축제가 시작되었고, 이 축제는 후에 로마 제국의 공휴일로 지정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2.23
5.0
1명 평가
0
0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