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매파적 발언을 했을때 시장에는 어떤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파의 입장은 우선 증시와 상관없이 금리를 올려서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오를 경우 증시 등에 악영향이 있고, 실물경제에도 타격이 올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3
0
0
두려움 언제나 날 불안하게 만드네요 헤쳐나갈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많이 걱정이 생기셨을것 같습니다. 일단 고점에 집값을 잡으신것 같은데, 집값에 신경쓰시지 마시고 이자 및 원금 부담 문제에 해결하는데 집중하시길 바랍니다. 금리는 계속 오를수는 없습니다. 내년까지는 부동산가격에 신경쓰시지 말고 본업에 집중 바랍니다.
경제 /
대출
22.12.13
0
0
'페이퍼컴퍼니'? 정확히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리적 실체 없이 회사 기능만 수행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페이퍼 컴퍼니의 목적은 조세회피지역에서 회사를 설립하여 사업활동에서 나오는 소득, 기타 합산소득에 대한 세금을 절감하면서 기업 활동 유지를 위해 소요되는 제반 경비를 절감하기 위해서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13
0
0
경제적인 측면에 인플레이션과 금리는 어떤 관계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을 경우 금리를 올려야하는게 정석입니다. 다만 현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가 수요인플레이션인지 공급인플레이션인지를 확인해봐야 합니다. 현재는 미국의 경우 경우 실업률이 낮아지고 봉급이 상승세입니다. 이는 미국의 이민자 제한으로 인한 것입니다. 따라서 금리 뿐 만 아니라 미국에서 이민법에 대한 규정도 바꾸어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3
0
0
내년도 경기부양보다는 물가잡기로 갈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는 경제가 나쁘지 않으면서 인플레이션이 높아 물가안정을 우선적으로 하겠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개인 대출이 너무 높아서 금리를 많이 올리는 정책을 미국과 같이 쓴다고 하면 오히려 경제 불황이 심각해질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기부양 또는 물가안정 양쪽의 토끼를 다잡아야하는 처지입니다.
경제 /
대출
22.12.13
0
0
주식,증권 분야에서 PER가 높으면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그 기업 의 순이익 대비 주가가 높으면 고평가가 되었다고 합니다. 다만 산업군마다 PER이 천차만별임으로 같은 산업군끼리 PER을 비교하여 낮은 것을 사는 것이 정석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주식에서 유상증자 무상증자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추가 발행하여 주주로부터 자금을 받아 자본금을 늘리는 방식이며 무상증자는 주식을 추가 발행하나 기존 주주들에게 자금을 받지 않고 나누어주는 방법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베네수엘라 경제는 지금 어떻게 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주 엉망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문제는 베네수엘라는 석유만을 팔아먹고 사는 나라인데 석유의 질이 좋지 않아서 고도의 정유시설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미국의 셰일가스 혁명으로 인해 베네수엘라 석유를 팔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3
0
0
경제 뉴스의 비둘기파 매파의 뜻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둘기파는 시장, 증시 친화적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매파는 시장 증시 친화적이 아니라고 볼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3
0
0
펀드환매시기는 언제가 적당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당히 어려운 문제입니다. 미국 금리 상승을 봐가며 환매시점을 잡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재까지 전망은 주식시장이 매우 어둡습니다. 이에따라 납입은 중지하시고 환매시점을 잡으셔서 대응바랍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