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세상에서 가장 큰 악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확히는 모르겠으나제가 알기로는 세상에서 제일 큰 악기는 파이프오르간이 아닐까합니다.파이프오르간은 음계에 따른 다양한 길이의 관을 지나는 바람으로 소리를 내는 악기로 정밀하고 복잡한 건반악기이자 관악입니다.다채롭고 흥미로운 음색과 주법으로 ‘악기의 제왕’이라고 불린다고합니다.중세 유럽에서는 도시 재력을 과시하는 수단이었고, 교회의 서열을 정하는 구실을 했다고 하네요.파이프오르간은 건축설계 단계에서 구조와 용도를 고려해 맞춤형으로 제작되며, 제작 과정이 건축과 비슷해 악기를 ‘만든다’가 아니라 ‘짓는다’로 표현한다고 합니다.
학문 /
음악
23.03.11
0
0
대부분의 절은 왜 산속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에는 불교를 장려하여 대부분의 절이 사람들과 가까운 곳에 있었습니다.그러나 고려가 멸망하면서 조선이 들어서게 되고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하는 숭유억불 정책을 펴면서 대부분의 절들이 산 깊은 곳에 세워지게 되었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철학
23.03.11
0
0
저금통이 돼지모양이 많은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는 옛날부터 돼지를 부를 상징하는 동물로 여겼습니다. 돼지는 새끼를 많이 낳고, 돼지 꿈을 꾸면 좋을 일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돼지 저금통은 중세 유럽에서 ‘pigg’라는 오렌지 빛 점토로 돈을 담는 그릇이 있었는데 이것을 ‘piggy bank’라 했고, 돼지 저금통이 되었다는 유래가 있고, 또 하나는 미국 캔자스 주의 한 소년은 한센병에 걸려 고생하는 가난한 이웃을 돕기 위해 용돈으로 돼지를 사서 열심히 키웠고, 그걸 통해 모은 돈으로 이웃을 도왔다네요. 이러한 이야기가 널리 알려지면서 사람들은 그 의미를 새기기 위해 돼지 모양의 저금통을 만들게 됐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음악
23.03.11
0
0
드라마,영화 시리즈중 후속작이 더 잘된작품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터미네이터의 경우 1편보다 2편이 더 재미있었습니다.개봉한지 꽤 오래된 영화로 상영 당시 무척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3편부터는 별로였구요.
학문 /
역사
23.03.10
0
0
실화를 바탕으로한 영화 대표작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석훈 감독 '히말라야'는 황정민 배우가 주연한 영화로 해발 8,750 미터 히말라야 에베레스트 데스존에 묻힌 동료 후배의 시신을 찾기 위한 엄홍길 대장과 휴먼원정대의 감동 실화를 영화로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3.10
0
0
유럽 유일의 불교 국가인 칼미크 공화국은 어떤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칼미크 민족은 오래전부터 카스피 해 북쪽 연안 저지대에 거주하고 있으며 현재 러시아 연방의 일원으로서 공화국을 구성하고 있습니다.‘칼미크’의 뜻은 ‘남아 있는 자들’로서, 18세기 중엽 제정 러시아로부터 집단 탈주 과정에서 얻은 용어로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고 하네요.칼미크 공화국은 유럽 유일의 불교국가로 동양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 ‘신비의 공화국’이라 불리고 있습니다.국토는 우리나라보다 약간 작으며, 인구는 2010년 기준 29만 명이라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3.09
0
0
새옹지마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새옹지마(塞翁之馬)는 새옹의 말이라는 뜻으로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입니다.이 말은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로써 그 유래를 살펴보면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입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3.09
0
0
"어안이 벙벙하다"의 어안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안이 벙벙하다는 뜻밖에 놀랍거나 기막힌 일을 당하여 어리둥절하다는 뜻으로 이때 어안은 어이없어 말을 못 하고 있는 혀 안을 말한다고 하네요.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3.09
0
0
역사에서 삽살개가 귀신을 쫓는 개로 된 것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삽사리라고도 불리는 삽살개는 국산 개의 품종 중에 하나라고 합니다.신라시대부터 키웠던 개로 경북 경산 등 한국 동남 지방에서 서식을 했으며, 1992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민담이나 그림 속속에도 자주 나오는대요. 귀신과 액운을 쫓는 퇴마개로 알려진 삽살개는 이름 뜻이 삽(쫓다), 살(액운)로 그 이름에서도 알 수있듯이 옛날부터 잡귀를 쫓는 개였다고 합니다.구전동화에서는 청삽살개를 사자방이라고 불렀는데 털이 사자처럼 생겼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3.08
0
0
동화는 소설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화도 소설입니다. 아동소설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보통 소설은 꾸며낸 이야기로 허구성을 특징으로 합니다.수필은 손 가는 대로 쓰는 일정의 형식이 없는 글로 수필로된 동화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배창호 작가님의 '창덕궁 꾀꼬리'와 '엄마'라는 동화가 수필동화로 나오네요.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3.05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